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이란 암이나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독성을 갖고 있으며, 환경 중에 오랜 기간 동안 잔류하며, 먹이 사슬을 따라 체내축적이 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2585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이란 암이나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독성을 갖고 있으며, 환경 중에 오랜 기간 동안 잔류하며, 먹이 사슬을 따라 체내축적이 되고, ...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이란 암이나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독성을 갖고 있으며, 환경 중에 오랜 기간 동안 잔류하며, 먹이 사슬을 따라 체내축적이 되고, 대기와 해양을 통한 장거리 이동성을 갖고 있는 유해화학물질을 통칭한다.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한 독성물질인 다이옥신류 등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그리고 각종 휘발성 유기물질의 발생원인과 거동, 분석 및 처리에 관한 연구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POPs의 규제를 위해, 2001년 UN의 주도 하에 "스톡홀름 협약"이 채택되었으며 2004년 5월 17일에 정식으로 발효되었습니다. 최근 환경부에서는 “다이옥신 등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따라서 환경중으로 배출되는 POPs를 확인하고, 대기확산으로 인한 주변영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분야의 국내 선두주자로서, 최고수준의 고성능 분석기기들로 구축된 환경분석 인프라와 다년간의 연구경험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경 오염물질 분석 및 모니터링 미생물을 이용한 생화학적 분해 및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중이다. 대기 중 POPs 시료채취의 경우, 일반적으로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다량의 공기를 흡인하는 방법을 사용하나, 다수 지점에서의 장기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외에서는 2-3년 전부터 passive air sampler (PAS)를 이용한 POPs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본 연구실에서는 국내 최초로 PAS를 사용한 POPs 모니터링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물질로 브롬화 난연제 (BFR) 이외에, perfluorinated chemical (PFC)과 polychlorinated naphthalene (PCN)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Ps 물질중 PCNs의 환경중 PCNs의 농도분포 및 현황파악을 진행하여 PCNs의 확산경황을 파악하고 대기확산모델링을 수립하고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