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아 가족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Family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4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장애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 가족지원에 대해 인식하고 실행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3인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문제에 따른 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먼저,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장애아 가족지원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으나, 가족지원의 원리는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수교사가 가족지원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대부분 부모상담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애아동의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위해 가족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이 학급에서 실행한 가족지원 경험은 대부분 부모상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가 학급에서 아동과 부모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가족지원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재정지원이 요구되며, 다양한 가족지원 실행 방법 및 부모상담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사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 가족지원 실행에 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장애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 가족지원에 대해 인식하고 실행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3인을 대상으로 개별 ...

      이 연구는 장애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 가족지원에 대해 인식하고 실행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3인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문제에 따른 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먼저,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장애아 가족지원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으나, 가족지원의 원리는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수교사가 가족지원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대부분 부모상담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애아동의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위해 가족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이 학급에서 실행한 가족지원 경험은 대부분 부모상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가 학급에서 아동과 부모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가족지원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재정지원이 요구되며, 다양한 가족지원 실행 방법 및 부모상담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사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 가족지원 실행에 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duc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 recognize and implement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eight sub-subjec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understood the concept of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were not familiar with the specific principles. They recognized that the way special teachers can provide family support is mainly through parent counseling, and mentioned that family support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unable to plan and implement family support, and the family support method being implemented was found to be in the form of parent counseling,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awareness survey. They emphasized that the government must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rovide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needs and demands of children and parents in the classroom, and that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o equip them with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various family support implementation methods and parent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various and specific support method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school and classroom level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duc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 recognize and implement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duc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 recognize and implement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eight sub-subjec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understood the concept of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were not familiar with the specific principles. They recognized that the way special teachers can provide family support is mainly through parent counseling, and mentioned that family support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unable to plan and implement family support, and the family support method being implemented was found to be in the form of parent counseling,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awareness survey. They emphasized that the government must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rovide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needs and demands of children and parents in the classroom, and that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o equip them with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various family support implementation methods and parent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various and specific support method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school and classroom level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혜, "함께 생각하는 지체장애 학생교육" 학지사 2018

      2 김수현 ; 이병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부모와 교사의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81-215, 2020

      3 고유경, "특수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공감능력 및 가족지원 필요성의 구조 관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109-125, 2022

      4 김선해 ; 박지연,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5 이수정 ;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유치부 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75-99, 2008

      6 신경림, "질적연구방법: 포커스 그룹" 현문사 2004

      7 오혜정, "지체․중복장애아의 가족지원에 관한 연구 분석"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0 (10): 173-197, 2019

      8 정현주 ; 이병인, "중도·중복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부담과 가족 지원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09-135, 2020

      9 이원희 ; 권혁상 ; 곽승철, "장애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통합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 부모의 가족기능과 가족역량,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89-110, 2019

      10 백은령, "장애인가족지원" 양서원 2010

      1 박은혜, "함께 생각하는 지체장애 학생교육" 학지사 2018

      2 김수현 ; 이병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부모와 교사의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81-215, 2020

      3 고유경, "특수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공감능력 및 가족지원 필요성의 구조 관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109-125, 2022

      4 김선해 ; 박지연,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5 이수정 ;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유치부 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75-99, 2008

      6 신경림, "질적연구방법: 포커스 그룹" 현문사 2004

      7 오혜정, "지체․중복장애아의 가족지원에 관한 연구 분석"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0 (10): 173-197, 2019

      8 정현주 ; 이병인, "중도·중복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부담과 가족 지원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09-135, 2020

      9 이원희 ; 권혁상 ; 곽승철, "장애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통합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 부모의 가족기능과 가족역량,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89-110, 2019

      10 백은령, "장애인가족지원" 양서원 2010

      11 Oshea, D. J., "장애인 가족지원" 학지사 2006

      12 노진아, "장애영유아가족지원" 학지사 2011

      13 김경민 ; 이미숙 ; 노진아,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01-120, 2013

      14 이미지 ; 장세영, "장애아동 부모 대상 프로그램 메타분석 : 2000년 이후 연구를 대상으로" 열린부모교육학회 12 (12): 123-147, 2020

      15 최민숙,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가족참여와 지원" 학지사 2007

      16 전혜인, "장애아동 가족지원 관련 교과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71-94, 2013

      17 Turnbull, A., "장애아 가족지원" 학지사 2013

      18 배지희 ; 조미영 ; 봉진영 ; 김은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및 참여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기대"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77-302, 2011

      19 김이경, "우리나라 장애아동부모 연구 동향 : 2000년∼2011년 학술지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20 Hooper, S. R., "영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11

      21 김지혜, "어머니의 양육불안, 우울과 시각장애아동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장애아동가족지원 사업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7 (37): 135-160, 2021

      22 이미자, "부모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장애유아 어머니의 요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3 강혜원 ; 박지연,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5, 2011

      24 김성진, "놀이치료사의 상담 역량 강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25 오혜정, "국내 청각장애아 부모 및 가족지원에 관한 문헌 고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5 (5): 21-35, 2014

      26 Bogdan, C. R., "교육연구의 새 접근: 질적연구" 교육과학사 1991

      27 교육부,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2023

      28 김영준 ; 김진호, "가족지원서비스 관점에서 본 유아특수교육교사와의 협력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75-310, 2009

      29 Osher, T. W., "The paradigm shift to true collaboration with families" 11 (11): 47-60, 2002

      30 Maxwell, J. A., "The Sage handbook of 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s" Sage 214-253, 2009

      31 Spann, E., "Supports and Empowermen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extensive support needs throughout the COVID-19 Pandemic" 48 (48): 139-156, 2023

      32 Cohen, S. R., "Support and self-efficacy among Latino and White parents of children with ID" 120 : 16-31, 2015

      33 Jackson, C. W., "Impact of deafness on family life: A review of the literature" 24 (24): 15-29, 2004

      34 Vanegas, S. B., "Characterizing the systems of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19 (19): 286-327, 2016

      35 이송희 ; 홍승주, "COVID-19에 따른 장애아동 사회적 돌봄 과제와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한국보건복지학회 23 (23): 39-63, 2021

      36 Wright, K., "Building school and community partnerships through parent involvement" Merrill Prentice Hall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