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VR 기반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세 자폐스펙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4725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5-170(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VR 기반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세 자폐스펙트...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VR 기반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세 자폐스펙트럼장애 남학생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행동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대상 학생의 도전적 행동을 파악하고, 수업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VR 기반 사회상황 이야기를 제작하였다. 자료는 사건기록법을 활용하여 행동의 발생 빈도를 측정하였다. 중재 결과, 반응하기, 시작하기, 요구하기 3가지 의사소통기술 모두 증진되고 유지되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가 가진 시각 정보처리 강점을 활용한 VR 기반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가 긍정적인 결과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VR 기반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기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comprehensiv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a social story intervention employ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specifically targeting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mo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
This comprehensiv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a social story intervention employ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specifically targeting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mo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focal point of this inquiry centered on a 13-year-old male student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was enrolled in a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search design encompassed a meticulous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methodology, comprising distinct phases includ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e identified the student‘s challenging behavior and crafted a virtual reality-based social story to help him learn communication skills that can be properly used in the class.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tilizing the event recording method, enabling the precise measurement of behavioral frequency. The findings of this intervention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across all three domains of communication skills: responsiveness, initiation, and requests. Notably, the innovativ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within the social story framework appeared to harness the uniqu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trengths commonly found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ontributing to the positive outcomes observed. This investigation’s outcomes have noteworthy implications, suggesting that a social story intervention center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serve as a potent and efficacious strategy for augment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grappling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sult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technology-assisted interventions to usher in positive transformations in the realm of special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se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2 이동현 ; 김은경 ; 전상신, "태블릿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558-583, 2018
3 장은진 ; 김향지, "태블릿 PC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247-268, 2016
4 최선미 ; 곽승철, "태블릿 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 청소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277-298, 2014
5 허은지 ; 허명진, "취학전 일반아동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내면적 특성과 정서행동 비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45-58, 2022
6 오혜정, "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부모지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31-49, 2013
7 이태수 ; 김연표,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42-353, 2017
8 김민규 ; 한경근,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모의수업 학습매체로서 360도 가상현실(VR) 영상의 효과성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231-256, 2019
9 오혜정, "장애자녀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에 대한부모의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75-196, 2018
10 강지혜 ; 이영선, "자폐성장애인의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국외 문헌분석" 한국자폐학회 14 (14): 93-118, 2014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2 이동현 ; 김은경 ; 전상신, "태블릿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558-583, 2018
3 장은진 ; 김향지, "태블릿 PC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247-268, 2016
4 최선미 ; 곽승철, "태블릿 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 청소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277-298, 2014
5 허은지 ; 허명진, "취학전 일반아동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내면적 특성과 정서행동 비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45-58, 2022
6 오혜정, "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부모지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31-49, 2013
7 이태수 ; 김연표,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42-353, 2017
8 김민규 ; 한경근,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모의수업 학습매체로서 360도 가상현실(VR) 영상의 효과성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231-256, 2019
9 오혜정, "장애자녀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에 대한부모의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75-196, 2018
10 강지혜 ; 이영선, "자폐성장애인의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국외 문헌분석" 한국자폐학회 14 (14): 93-118, 2014
11 김은경, "자폐성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고찰" 2 (2): 79-103, 2002
12 양일 ; 이숙향 ; 서민경, "자폐 범주성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동향 및 중재 특성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23-636, 2017
13 박인숙, "스크립트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2020 (2020): 597-601, 2020
14 박성혜, "손인형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활동이 자폐성 중학생의 자발적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7 : 1-20, 2009
15 김설아 ; 김은경,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과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7 (17): 141-170, 2017
16 김해선 ; 김은경 ; 전상신,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아동의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283-312, 2016
17 전상신 ; 김은경,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자발적 발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49-173, 2009
18 이효신 ; 이정남, "사회상황이야기 활용이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19-46, 2009
19 이상복 ; 이상훈 ; 조재규, "비디오 활용 사회상황이야기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103-128, 2007
20 이소라 ; 문현미,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77-99, 2011
21 허은정 ; 김은경,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와 문자카드를 이용한 비연속개별시행 중재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특수교육학회 52 (52): 181-208, 2018
22 전인순 ; 정대영, "멀티미디어 기반의 또래 모델링-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35-267, 2011
23 이안나 ; 김은경, "기능평가에 근거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고기능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및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65-93, 2012
24 김보람, "기능적 의사소통 중재(FCT)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대체 의사소통 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3 (3): 31-58, 2022
25 김효정 ; 김은경, "기능적 의사소통 중재(FCT)가 발달지체 유아의 대체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37 (37): 205-226, 2021
26 한은선 ; 김은경,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3 (3): 17-41, 2016
27 김효남 ; 김은경, "국어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병행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8 (38): 337-363, 2022
28 이선희 ; 백은희 ; 박계신,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교 중증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자해, 공격, 요청 및 전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8 (8): 61-87, 2021
29 문소영 ; 이상훈,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사회상황 이야기(Social StoriesTM)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249-270, 2017
30 최보윤 ; 강경선, "가상현실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식사행동수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1-19, 2019
31 김금영,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전시 표현기법 -직지 박물관 360도 VR 영상 온라인 전시 제작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5) : 367-391, 2021
32 유연호, "가상현실 스포츠 참여가 지적장애인의 운동 몰입도와 하지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6 (56): 613-623, 2017
33 이태수,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융합학회 12 (12): 155-162, 2021
34 Kozleski, E. B., "Visual symbol acquisition by students with autism" 2 (2): 173-194, 1991
35 Swaggart, B. L., "Using social stories to teach social and behavioral skills to children with autism" 10 (10): 1-16, 1995
36 Smith, C., "Using social stories to enhance behaviour in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fficulties" 17 (17): 337-345, 2001
37 Khantreejitranon, A., "Using a social story intervention to decrease inappropriate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39 (39): 90-97, 2018
38 Crozier, S., "Using a modified social story to decrease disruptive behavior of a child with autism" 20 (20): 150-157, 2005
39 Wetherby, A. M., "Understanding and measuring social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8 (18): 3-34, 2006
40 Ivery, M, L, "The use of social stories to promote independent behaviors in novel event for children with PDD–NOS" 19 (19): 164-, 2004
41 Joseph, R. M., "The relationship of theory of mind and executive functions to symptom type and severity in children with autism" 16 (16): 137-155, 2004
42 Gray, C., "The new social story book" Future Horizons 2015
43 Delano, M., "The effects of social stories on the social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8 (8): 29-42, 2006
44 Preis, J., "The effect of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on the verbal comprehension of commands by young children with autism" 21 (21): 194-208, 2006
45 Cobley, P.,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John Wiley & Sons 2008
46 Almumen, H., "Technology-enriched social story intervention: Engag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social communication" 12 (12): 96-119, 2020
47 Thiemann, K. S., "Social stories, written text cues, and video feedback : Effects on soci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34 (34): 425-446, 2001
48 Gray, C. A., "Social Stories: Improving responses of students with autism with accurate social information" 8 (8): 1-10, 1993
49 Rao, S. M., "Learning through seeing and doing : Visual supports for children with autism" 38 (38): 26-33, 2006
50 Quill, K. A., "Instructional considera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 The rationale for visually cued instruction" 27 (27): 697-714, 1997
51 Von Brock, M. B., "Influence and treatment of effective information on the acceptability of classroom interventions" 25 (25): 131-144, 1987
52 Olçay-Gül, S., "Family generated and delivered social story intervention: Acquisi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social skills in youths with ASD" 51 (51): 67-78, 2016
5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 S. M. T. 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Vol. 5, No.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54 Scattone, D., "Decreasing disrup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using social stories" 32 : 535-543, 2002
장애아 가족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장애학생 지도 경험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교수 효능감 및 인식 변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어의 숙달도가 교수학습 방법과 근접발달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구조 관계
전일제 통합학급 청각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수립 및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Engineering Diploma: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Special Schools: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Hair and Beauty Diploma: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가상현실
이화여자대학교 오유란How to Improve You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Speaking, Vocabulary and Grammar
한서대학교 Shaneil Dipasup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