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젠더 전시인가? 한국의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과 분담 = Gender Display? Housework Time and Share of Married Women with a Preschool Chi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8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gender display in housework of married women with a preschool child in Korea. Analyses on Korean Time Use Survey in 2004 and 2014 showed that Korean women’s housework time was explained by dependency thesis. However, in 2004 among economically independent women, those with traditional gender-role ideology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than those with progressive ideology and this was found for low educated women. In 2014, the gender display was found among the highly educated women. In addition, among economically dependent and highly educated women, those with progressive ideology spent more time than those with traditional ideology.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gender display in housework of married women with a preschool child in Korea. Analyses on Korean Time Use Survey in 2004 and 2014 showed that Korean women’s housework time was explained by dependency thesis. However, in 2004 am...

      This article examines gender display in housework of married women with a preschool child in Korea. Analyses on Korean Time Use Survey in 2004 and 2014 showed that Korean women’s housework time was explained by dependency thesis. However, in 2004 among economically independent women, those with traditional gender-role ideology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than those with progressive ideology and this was found for low educated women. In 2014, the gender display was found among the highly educated women. In addition, among economically dependent and highly educated women, those with progressive ideology spent more time than those with traditional ideo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미영, "한국 중장년 기혼 여성의 일가족양립에 관한 연구: 성역할 보완의 결과인가?"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48) : 219-247, 2015

      2 오지혜, "한국 여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상대소득 및 절대소득 효과 - 교환이론과 젠더보상이론을 넘어서 -" 한국가족학회 28 (28): 233-270, 2016

      3 안미영,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12) : 14-40, 2016

      4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5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6 안미영, "자원의 상대성과 가족 내 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 한국 유급노동자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14 (14): 83-102, 2017

      7 최종후, "인구특성별·행동분류별 국민의 생활시간대분석" 고려대학교 2015

      8 김소영,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 -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34 (34): 65-84, 2016

      9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177-211, 2008

      10 김진욱, "맞벌이 부부의 가정 내 무급노동시간 영향요인 국가비교: 노르웨이, 독일, 영국, 프랑스, 한국"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85-212, 2014

      1 안미영, "한국 중장년 기혼 여성의 일가족양립에 관한 연구: 성역할 보완의 결과인가?"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48) : 219-247, 2015

      2 오지혜, "한국 여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상대소득 및 절대소득 효과 - 교환이론과 젠더보상이론을 넘어서 -" 한국가족학회 28 (28): 233-270, 2016

      3 안미영,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12) : 14-40, 2016

      4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5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6 안미영, "자원의 상대성과 가족 내 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 한국 유급노동자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14 (14): 83-102, 2017

      7 최종후, "인구특성별·행동분류별 국민의 생활시간대분석" 고려대학교 2015

      8 김소영,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 -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34 (34): 65-84, 2016

      9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177-211, 2008

      10 김진욱, "맞벌이 부부의 가정 내 무급노동시간 영향요인 국가비교: 노르웨이, 독일, 영국, 프랑스, 한국"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85-212, 2014

      11 배호중,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51-182, 2015

      12 안미영, "가족정책의 개인화와 젠더화된 무급노동 분담: 한국, 네덜란드, 독일 비교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105-124, 2018

      13 Bittman, M., "When does gender trump money? Bargaining and time in household work" 109 (109): 186-214, 2003

      14 An, M. Y., "Welfare states and care arrangements : Care time mix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to Japan and Korea" 16 (16): 183-198, 2017

      15 Spitze, G., "The division of task responsibility in U.S. households: jongitudinal adjustment to Change" 64 : 689-709, 1986

      16 Sechiyama, K., "Patriarchy in East Asia" Brill 2013

      17 Sørensen, A., "Married women’s economic dependency 1940-1980" 93 : 659-687, 1987

      18 Brinton, M. C., "Married women's employment in rapidly industrializing societies : Examples from East Asia" 100 (100): 1099-1130, 1995

      19 윤자영, "Labor market outcomes for women in East Asia" 아시아여성학센터 21 (21): 384-408, 2015

      20 Bianchi, S. M.,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79 (79): 191-228, 2000

      21 Esping-Andersen, G., "Incomplete Revolution : Adapting Welfare States to Women's New Roles" Polity 2009

      22 Blood, R. O., "Husbands and wives: The dynamics of married living" Free Press of Glencoe 1960

      23 Brines, J., "Economic dependency,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at home" 100 (100): 652-688, 1994

      24 Greenstein, T. N., "Economic dependence,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home : A Replication and Extension" 62 : 322-335, 2000

      25 Kan, M. Y., "Does gender trump money? Housework hours of husbands and wives in Britain" 22 (22): 45-66, 2008

      26 An, M. Y., "Diverging paths? A comparative look at childcare policies in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50 (50): 540-558, 2016

      27 Kamo, Y., "Determinants of household division of labor: Resources, power, and ideology" 9 : 177-200, 1988

      28 Evertsson, M., "Dependence within families and the division of labor : Comparing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66 (66): 1272-1286, 2004

      29 김영미, "Dependence on Family Ties and Household Division of Labor in Korea, Japan, and Taiwan" 아시아여성학센터 19 (19): 7-35, 2013

      30 Delphy, C., "Close to home: A materialist analysis of women's oppres s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4

      31 통계청, "2014 생활시간조사 이용자 가이드라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 1.36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