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 belite cement clinker 합성을 위하여 안정제로 borax (3 wt%)를 사용하였으며, 1300, 1350, 140$0^{\circ}C$에서 소성하고, 각각의 소성온도에서 아세톤 급냉, 공냉, 로냉의 3가지 방법으로 냉각속도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03887
김진호 ; 박현 ; Kim, Jin-Ho ; Park, Hyun
2001
Korean
SCOPUS,KCI등재,SCIE
학술저널
68-7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Active belite cement clinker 합성을 위하여 안정제로 borax (3 wt%)를 사용하였으며, 1300, 1350, 140$0^{\circ}C$에서 소성하고, 각각의 소성온도에서 아세톤 급냉, 공냉, 로냉의 3가지 방법으로 냉각속도를 ...
Active belite cement clinker 합성을 위하여 안정제로 borax (3 wt%)를 사용하였으며, 1300, 1350, 140$0^{\circ}C$에서 소성하고, 각각의 소성온도에서 아세톤 급냉, 공냉, 로냉의 3가지 방법으로 냉각속도를 달리하여 합성하였다. 클링커의 특성분석은 TG-DTA, XRD, FT-IR, SEM-EDS로 조사 분석하였으며, free-CaO 함량은 KSL 5120의 ethylene glycol법으로 정량하였다. Borax(3 wt%)를 첨가한 시료의 시차열분석에서 ${\gamma}$상으로의 전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각각의 소성온도와 냉각속도에 따른 free-CaO 분석에서 0.07~0.14%의 범위로 낮게 나타났으며, borax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는 140$0^{\circ}C$에서 소성하고 급냉시켰지만 ${\gamma}$상으로 전이되어 dusting 현상을 나타내었다. Borax(3 wt%) 첨가된 시료의 SEM 미세구조는 140$0^{\circ}C$에서 소성하고 급냉시켰지만 ${\gamma}$상으로 전이되어 dusting 현상을 나타내었다. Borax(3 wt%) 첨가된 시료의 SEM 미세구조는 140$0^{\circ}C$에서 소성된 모든 시료와 135$0^{\circ}C$에서 소성하고 급냉과 공냉시킨 시료는 type I belite, type III belite($\alpha$상) 구조를 나타낸다. 135$0^{\circ}C$에서 소성하고 로냉한 시료와 130$0^{\circ}C$에서 소성된 모든 시료는 type II belite($\beta$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선택적 가스분리를 위한 활성탄소섬유의 분자체 특성 연구
전이금속이 첨가된 $SiO_2$/ITO 나노박막의 전자파 차폐특성
$\beta$-$Si_3$$N_4$종자입자 첨가 SiC-$Si_3$$N_4$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