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은여), -○○/○(을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은 문장에서 절과 절을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①배경 상황 제시, ②설명?부연, ③대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은여), -○○/○(을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은 문장에서 절과 절을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①배경 상황 제시, ②설명?부연, ③대립...
본고에서는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은여), -○○/○(을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은 문장에서 절과 절을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①배경 상황 제시, ②설명?부연, ③대립 또는 양보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동명사어미#의존명사+여’로 구성된 ‘-○○(리여)’, ‘-○○(은뎌)’도 ‘-○○/○(은여), -○○/○(을여)’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대화구문과 사유구문에 나타나는 ‘-○○(을뎌)’ 역시 ‘-○○(리여)’, ‘-○○(은뎌)’와 평행한 형태라는 사실을 논의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orpheme ‘yeo(○/○)’ represents various meanings and fuctions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The ‘yeo(○/○)’ along with a gerund ending ‘-eun(○) or -eul(○)’ can be used to join clause to clause in the form of ‘-eunyeo, -euly...
A morpheme ‘yeo(○/○)’ represents various meanings and fuctions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The ‘yeo(○/○)’ along with a gerund ending ‘-eun(○) or -eul(○)’ can be used to join clause to clause in the form of ‘-eunyeo, -eulyeo’. This article makes it clear that ‘-eunyeo, -eulyeo’ are used as a conjunctive form, not a sentence ending form, and analyzes its exact meanings in the context.
The meanings are followings:
① Suggesting the background
② Explanation
③ Contrast or Concessive
Also it is discussed that ‘-riyeo(○○)’, ‘-eundyeo(○○)’ and ‘-euldyeo(○○)’ which consisted of a gerund endings and a bound noun and "yeo" have the same functionality as the ‘-eunyeo, ‘-eulye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희, "「‘-는데’로 표현되는 배경과 모습 관계의 특성" (13) : 1103-1122, 1995
2 윤평현,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박이정 1-445, 2005
3 남기심, "표준 국어 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457, 1993
4 정재영, "의존명사 ‘’의 문법화" 태학사 1-340, 1996
5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41, 1971
6 이용, "연결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역락 1-270, 2003
7 이기동, "연결어미 ‘-는데’의 화용상 기능"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40 (40): 117-142, 1979
8 김용석, "연결어미 ‘-는데’에 대하여" 6 : 269-291, 1981
9 황선엽, "석독구결사전" 박문사 1-777, 2009
10 박진호, "도치 구문의 조사 ‘-(이)여’에 대하여, In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 태학사 461-470, 2005
1 장경희, "「‘-는데’로 표현되는 배경과 모습 관계의 특성" (13) : 1103-1122, 1995
2 윤평현,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박이정 1-445, 2005
3 남기심, "표준 국어 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457, 1993
4 정재영, "의존명사 ‘’의 문법화" 태학사 1-340, 1996
5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41, 1971
6 이용, "연결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역락 1-270, 2003
7 이기동, "연결어미 ‘-는데’의 화용상 기능"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40 (40): 117-142, 1979
8 김용석, "연결어미 ‘-는데’에 대하여" 6 : 269-291, 1981
9 황선엽, "석독구결사전" 박문사 1-777, 2009
10 박진호, "도치 구문의 조사 ‘-(이)여’에 대하여, In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 태학사 461-470, 2005
11 이은경, "국어의 연결 어미 연구" 태학사 1-317, 2000
12 권재일, "국어와 복합문 구성 연구" 집문당 1-164, 1985
13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깊은나무 1-1428, 1994
14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 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5 박진호, "고대 국어 문법,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16 남풍현, "高麗時代 釋讀口訣의 動名詞語尾 ‘-/ㄴ’에 대한 考察" 28 : 1-48, 1996
17 남풍현, "高麗時代 釋讀口訣의 ‘/ㄹ’에 대한 考察" 1 : 11-44, 1996
18 남풍현, "金光明經 卷三 釋讀口訣에 나타난의 用法에 대하여, In 李基文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 신구문화사 228-251, 1996
19 崔在喜, "國語 接續文의 構成에 관한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89
20 장윤희, "中世國語 連結語尾 形成의 文法史 -‘-오ᄃᆡ, -은ᄃᆡ, -은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61-90, 2010
21 장경준,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 구결학회 (12) : 191-213, 2004
22 이 탁, "‘-이여’의 기능 연구" 국어학회 40 : 247-268, 2002
23 이창덕, "‘-는데’의 기능과 용법" 2 : 239-259, 1994
24 서정수, "‘-ㄴ/는데’에 관하여" (61) : 96-98, 1973
조선전기 두시(杜詩) 이해의 지평과 『두시언해(杜詩諺解)』 간행의 문학사적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