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사학 : 비교교육학사 서설(敍說) = The Comparative Education and History of Education : An Introductory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1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사적(學史的) 정리를 하는데 가장 적합한 학문적 방법론은 역사학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교육사학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이라는...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사적(學史的) 정리를 하는데 가장 적합한 학문적 방법론은 역사학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교육사학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이라는 학문을 조명하며,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학문에는 그 학문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이를 전공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그리고 학문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비교교육학의 연구방법은 ‘비교연구’뿐만 아니라, 개별적 ‘지역연구’도 포함하는 것이지만, ‘비교교육학사’라는 시간계열에 의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깊이를 더 할 수 있다. 둘째, 비교교육학의 시기별 발전과정은 1단계 비교교육학 전사(前史), 2단계 ‘맹아기’, 3단계 ‘성립기’, 그리고 4단계 ‘발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아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확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점에서 추가적으로 ‘확장기’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보를 위해서도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비교교육학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함께 향후 비교교육학의 전망과 과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confirm the academic authenticity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academic methodology which is also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arrangement is the history. In this sen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udy of comparative education from th...

      In order to confirm the academic authenticity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academic methodology which is also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arrangement is the history. In this sen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udy of comparativ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education and aims for a tentative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every discipline, it is essential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discipline both for those majoring in it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itself.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method of studying comparative education includes not only ‘comparative studies’ but also ‘regional studies’, but it can add academic depth through the study of time series called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Seco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re-histor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the second stage is the ‘embryo stage’, the third stage is the ‘establishment stage’, and the fourth stage is the ‘development stage’. Especiall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academic potential of comparative education is even higher, so it is possible to add an ‘expanding period’.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order to secure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ore easily confirm the perspectives and issues of comparative education in the future, together with a goo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mparativ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비교교육과 비교교육학: 실천 행위 vs. 학문(學問)
      • Ⅲ. 교육사학의 구조와 비교교육학사
      • Ⅳ. 시론적(試論的) 비교교육학사
      • Ⅴ. 맺음말
      • Ⅰ. 서 론
      • Ⅱ. 비교교육과 비교교육학: 실천 행위 vs. 학문(學問)
      • Ⅲ. 교육사학의 구조와 비교교육학사
      • Ⅳ. 시론적(試論的) 비교교육학사
      • Ⅴ. 맺음말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erodotos, "헤로도토스 歷史" 범우사 2007

      2 한기언, "한국비교교육학의 발전과정"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7 : 1-28, 1978

      3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학회연구사" 173-217, 1973

      4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학회20년사" 198-212, 1973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이원호, "한국교육학사의 이론과 전망" 9 : 127-139, 1987

      7 한용진,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교육사학회 20 (20): 155-179, 2010

      8 Xenophon, "키루스의 교육" 한길사 2015

      9 이규환, "선진국의 교육제도" 배영사 1980

      10 정일환,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영역과 교육학" 1-13, 2017

      1 Herodotos, "헤로도토스 歷史" 범우사 2007

      2 한기언, "한국비교교육학의 발전과정"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7 : 1-28, 1978

      3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학회연구사" 173-217, 1973

      4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학회20년사" 198-212, 1973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이원호, "한국교육학사의 이론과 전망" 9 : 127-139, 1987

      7 한용진,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교육사학회 20 (20): 155-179, 2010

      8 Xenophon, "키루스의 교육" 한길사 2015

      9 이규환, "선진국의 교육제도" 배영사 1980

      10 정일환,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영역과 교육학" 1-13, 2017

      11 박세훈, "비교교육학에서 교육행정학의 위상" 2017

      12 Bray M, "비교교육학: 접근과 방법" 육과학사 2017

      13 정일환, "비교교육학: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2

      14 Kubow, Patricia K, "비교교육학: 국제적 맥락 속의 조명" 교육과학사 2004

      15 이득기, "비교교육학 : 연구방법과 교육개혁" 문음사 1996

      16 Phillip E. Jones, "비교교육학" 형설출판사 1980

      17 Ulich, R., "비교교육학" 을유문화사 1965

      18 Jones, P. E., "비교교육학" 형설출판사 1980

      19 Moehlman, A. H., "비교교육제도론" 배영사 1981

      20 이인기, "비교교육. (현대교육총서 제7권)"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1

      21 김귀성, "바뇨니의 아동교육론" 북코리아 2015

      22 한용진, "근대 교육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28 (28): 339-361, 2014

      23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24 한용진, "교육학사(敎育學史) 서설" 교육문제연구소 (29) : 23-43, 2007

      25 조무남, "교육학론" 학지사 2004

      26 한기언, "교육학, 한국현대문화사대계II"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6

      27 한기언, "교육원리-교육철학개설-" 박영사 1982

      28 한기언, "교육사학의 이론과 전망 - 교육사학의 학문적 구조"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9 : 9-33, 1987

      29 임한영, "교육사상의 비교연구" 배영사 1961

      30 박봉목, "교육과 철학-한국교육철학의 학사적 정리" 문음사 1983

      31 한용진, "교원양성과정에 있어서 교육사의 가치와 위상" 한국교육사학회 33 (33): 151-169, 2011

      32 徐兢, "고려도경: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 황소자리 2005

      33 이충원, "比較敎育의 理論과 實際" 동아학연사 1982

      34 Schriewer, Jürgen, "比較敎育學の理論と方法" 東信堂 2000

      35 馬越徹, "比較敎育學 : 越境のレッスン" 東信堂 2007

      36 石附實, "比較國際敎育學" 東信堂 1996

      37 김귀성, "P. A Vagnoni 著『童幼敎育』에 나타난 아동교육론" 교육문제연구소 (35) : 21-42, 2009

      38 한일조, "Cubberley 교육사학의 배경과 기본주제" 11 : 261-296, 1993

      39 이만규, "(다시 읽는)조선교육사" 살림터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