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어문 교육과정 분석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the Language Curriculum of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5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anguage curriculum of China announced in 2011 and offer implications for Korea to consult in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The language subject holds the greatest importance in China's education. It was analyzed to inherit the tradition of embodying the national spirit and, at the same time, display a future-oriented aspect of making active responses to the rapid flows of the times. The language curriculum consisted of five domains including learning the Chinese characters,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 in spoken language, and learning the totality. It set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to embod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language education, namely instrumentality, humanities, and unification.
      In the language education of China, love for the mother tongue and the active responses to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s can serve as meaningful reference points in the revis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is, on the other hand, needed to make a careful approach to it since it does contain different aspects from Korean education in the simpl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concrete patterns of text selection, and setting of subarea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anguage curriculum of China announced in 2011 and offer implications for Korea to consult in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The language subject holds the greatest importance in China's education. It wa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anguage curriculum of China announced in 2011 and offer implications for Korea to consult in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The language subject holds the greatest importance in China's education. It was analyzed to inherit the tradition of embodying the national spirit and, at the same time, display a future-oriented aspect of making active responses to the rapid flows of the times. The language curriculum consisted of five domains including learning the Chinese characters,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 in spoken language, and learning the totality. It set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to embod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language education, namely instrumentality, humanities, and unification.
      In the language education of China, love for the mother tongue and the active responses to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s can serve as meaningful reference points in the revis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is, on the other hand, needed to make a careful approach to it since it does contain different aspects from Korean education in the simpl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concrete patterns of text selection, and setting of sub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1년 발표된 중국의 어문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어문교과는 중국 교육에서 가장 중시되는 교과로, 국가 정신의 구현이라는 전통의 계승과 함께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한 적극적인 응답이라는 미래 지향적 모습을동시에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문 교육과정은 글자 익히기, 글읽기, 글쓰기, 구어 의사소통, 종합성 학습이라는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구성, 인문성, 통일이라는 어문 교육의 기본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학습 목표를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국의 어문 교육이 갖고 있는 지위, 모국어에 대한 애정, 새로운 의사소통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목표 및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과정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편, 교육 내용 하위 영역 설정의 문제, 교육 내용의 대강화와 텍스트 선정의 구체화 양상, 부록을 통한 학습 내용의 제시등은 우리의 국어 교육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할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11년 발표된 중국의 어문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어문교과는 중국 교육에서 가장 중...

      이 연구는 2011년 발표된 중국의 어문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어문교과는 중국 교육에서 가장 중시되는 교과로, 국가 정신의 구현이라는 전통의 계승과 함께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한 적극적인 응답이라는 미래 지향적 모습을동시에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문 교육과정은 글자 익히기, 글읽기, 글쓰기, 구어 의사소통, 종합성 학습이라는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구성, 인문성, 통일이라는 어문 교육의 기본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학습 목표를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국의 어문 교육이 갖고 있는 지위, 모국어에 대한 애정, 새로운 의사소통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목표 및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과정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편, 교육 내용 하위 영역 설정의 문제, 교육 내용의 대강화와 텍스트 선정의 구체화 양상, 부록을 통한 학습 내용의 제시등은 우리의 국어 교육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할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이,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2

      2 이복자,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3 허문권, "한국과 중국의 교육과정 변천 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이관규, "한국․중국․미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글학회 (300) : 183-212, 2013

      5 백순철, "한국·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고전문학 텍스트 선정 비교 및 교과서 수록 양상" 국어교육학회 (48) : 33-64, 2013

      6 "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 사이트"

      7 王琰濤, "중국과 한국의 중학교 교육과정 비교 연구 :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8 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 "의무교육 어문 과정표준" 북경사범대학출판사 2011

      9 정국민, "신세기 중국 어문 과정 개혁의 가치 취향"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0 : 119-135, 2011

      10 교육인적자원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Ⅴ)-중국-"

      1 장이,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2

      2 이복자,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3 허문권, "한국과 중국의 교육과정 변천 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이관규, "한국․중국․미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글학회 (300) : 183-212, 2013

      5 백순철, "한국·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고전문학 텍스트 선정 비교 및 교과서 수록 양상" 국어교육학회 (48) : 33-64, 2013

      6 "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 사이트"

      7 王琰濤, "중국과 한국의 중학교 교육과정 비교 연구 :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8 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 "의무교육 어문 과정표준" 북경사범대학출판사 2011

      9 정국민, "신세기 중국 어문 과정 개혁의 가치 취향"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0 : 119-135, 2011

      10 교육인적자원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Ⅴ)-중국-"

      11 서영진,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2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2002

      13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국어-"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 교육평가 국제동향 연구 사업 –중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