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전거경로선택 모형분석을 이용한 정책변수의 안전의식에 대한 계량적 영향 분석 = A Quantitative Analysis of Policy Instruments on the Cycling Safety Percep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1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quantitatively evaluate effectiveness of policy measures aimed at increasing cycling modal share by increasing safety perception of cyclists in a Korean context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While bicycling has long been a significant mode of transport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bicycling is now rapidly gaining popularity in Korea and other OECD countries as an alternative low carbon transport means for short distance urban trips. However, a major impediment to large­scale bicycle use is the serious concern over bicycle safety in an urban context. Improving cycling safety would contribute greatly to the popularization of bicycling as a means of routine urban travel.
      This research reviews previous quantitative researches on cycling route choice and quantitatively evaluates representative policy measures effectiveness by employing stated preference methodology.
      The dedicated bicycle only road and bicycle lanes are estimated to enhance cyclists’ safety perception. It is also estimated that lowering vehicle travel speed i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cyclists’ safety perception. From the elasticity estimation it is shown that in Korean context lowering vehicle travel spee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effective policy measure in increasing safety perception and thus for increasing bicycle modal share. Providing dedicated infrastructures such as bicycle only roads and lanes are also estimated to be highly effective.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quantitatively evaluate effectiveness of policy measures aimed at increasing cycling modal share by increasing safety perception of cyclists in a Korean context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Wh...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quantitatively evaluate effectiveness of policy measures aimed at increasing cycling modal share by increasing safety perception of cyclists in a Korean context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While bicycling has long been a significant mode of transport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bicycling is now rapidly gaining popularity in Korea and other OECD countries as an alternative low carbon transport means for short distance urban trips. However, a major impediment to large­scale bicycle use is the serious concern over bicycle safety in an urban context. Improving cycling safety would contribute greatly to the popularization of bicycling as a means of routine urban travel.
      This research reviews previous quantitative researches on cycling route choice and quantitatively evaluates representative policy measures effectiveness by employing stated preference methodology.
      The dedicated bicycle only road and bicycle lanes are estimated to enhance cyclists’ safety perception. It is also estimated that lowering vehicle travel speed i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cyclists’ safety perception. From the elasticity estimation it is shown that in Korean context lowering vehicle travel spee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effective policy measure in increasing safety perception and thus for increasing bicycle modal share. Providing dedicated infrastructures such as bicycle only roads and lanes are also estimated to be highly effec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밀개발에 따른 교통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에너지 위기에도 대응하며, 환경문제를 획기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자전거교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레저를 제외한 일상생활에서의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자전거교통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 때문이다. 따라서 자전거 안전성의 향상이 자전거교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자전거안전 정책수단의 효과를 사전에 계량적으로 예측‧분석하여 효과적인 자전거안전 정책을 개발하는 동시에, 자전거 이용 증진을 통해 녹색교통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선호분석을 사용하여 자전거이용 관련 인프라 환경 요소와 도로 제한속도 및 주행시간 등 운영상의 요인 등을 대상으로 각각의 요인이 자전거 이용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분석하고자 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 자전거운행 노선별로 다양한 조건이 제시되었을 때 자전거 이용자가 어떤 노선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효용함수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는 도로의 전체 차로 수, 자전거전용도로 여부, 자전거전용차로 여부, 도로의 최고속도, 총 주행시간으로 설정하였다.
      모든 자전거통행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자전거안전 정책수단은 도로의 차량 최고속도를 낮추어 자동차와의 사고 시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사고 가능성을 낮추는 방안이며, 다음으로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전용차로를 제공하여 차량과의 통행분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정책으로 판단되었다.
      도로의 차로 수 변수는 이용자의 구분(submarket)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많은 경우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도로구조, 특히 자전거 주행여건과 도로 인프라와의 상관관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도로의 차로 수는 일반적으로 차로 수가 많은 광로의 경우 자전거전용도로와 자전거전용차로 등 다른 정책변수와 연관되어 응답자가 반응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점이 있어 향후 상세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고밀개발에 따른 교통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에너지 위기에도 대응하며, 환경문제를 획기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자전거교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고밀개발에 따른 교통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에너지 위기에도 대응하며, 환경문제를 획기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자전거교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레저를 제외한 일상생활에서의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자전거교통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 때문이다. 따라서 자전거 안전성의 향상이 자전거교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자전거안전 정책수단의 효과를 사전에 계량적으로 예측‧분석하여 효과적인 자전거안전 정책을 개발하는 동시에, 자전거 이용 증진을 통해 녹색교통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선호분석을 사용하여 자전거이용 관련 인프라 환경 요소와 도로 제한속도 및 주행시간 등 운영상의 요인 등을 대상으로 각각의 요인이 자전거 이용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분석하고자 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 자전거운행 노선별로 다양한 조건이 제시되었을 때 자전거 이용자가 어떤 노선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효용함수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는 도로의 전체 차로 수, 자전거전용도로 여부, 자전거전용차로 여부, 도로의 최고속도, 총 주행시간으로 설정하였다.
      모든 자전거통행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자전거안전 정책수단은 도로의 차량 최고속도를 낮추어 자동차와의 사고 시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사고 가능성을 낮추는 방안이며, 다음으로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전용차로를 제공하여 차량과의 통행분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정책으로 판단되었다.
      도로의 차로 수 변수는 이용자의 구분(submarket)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많은 경우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도로구조, 특히 자전거 주행여건과 도로 인프라와의 상관관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도로의 차로 수는 일반적으로 차로 수가 많은 광로의 경우 자전거전용도로와 자전거전용차로 등 다른 정책변수와 연관되어 응답자가 반응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점이 있어 향후 상세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통연구원, "효과적인 자전거정책 수립 및 시행을 위한전문가 교육" 한국교통연구원 2011

      2 황경수, "자전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14 (14): 227-253, 2001

      3 박범규,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 안전실태 조사결과" 한국소비자원 2011

      4 김동준, "자전거 이용환경이 자전거 통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연구원 17 (17): 85-95, 2010

      5 행정안전부, "자전거 사고분석을 통한자전거교통안전 증진방안 연구" 2010

      6 양은혜, "자전거 교통사고 유형분석에 따른 안전개선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7 문정욱, "인식성향 조사 및 사고분석을 통한 자전거사고 감소방안 연구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8 김응철,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한 자전거사고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261-272, 2007

      9 김도훈, "도시부 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10 (10): 117-126, 2008

      10 한국교통연구원, "국가자전거교통연구" 2010

      1 한국교통연구원, "효과적인 자전거정책 수립 및 시행을 위한전문가 교육" 한국교통연구원 2011

      2 황경수, "자전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14 (14): 227-253, 2001

      3 박범규,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 안전실태 조사결과" 한국소비자원 2011

      4 김동준, "자전거 이용환경이 자전거 통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연구원 17 (17): 85-95, 2010

      5 행정안전부, "자전거 사고분석을 통한자전거교통안전 증진방안 연구" 2010

      6 양은혜, "자전거 교통사고 유형분석에 따른 안전개선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7 문정욱, "인식성향 조사 및 사고분석을 통한 자전거사고 감소방안 연구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8 김응철,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한 자전거사고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261-272, 2007

      9 김도훈, "도시부 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10 (10): 117-126, 2008

      10 한국교통연구원, "국가자전거교통연구" 2010

      11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교통사고요인분석 - 자전거사고 특성분석을 중심으로" 2010

      12 Hensher, David A, "Stated Preference Analysis of Travel Choices: The State of Practice" 21 (21): 107-133, 1994

      13 Turner, S. A.,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for Bicycle Crashes in New Zealand and Australia" 2236-08 : 66-73, 2011

      14 Allen-Munley, C., "Logistic Model for Rating Urban Bicycle Route Safety" 1878 (1878): 107-115, 2004

      15 Kocur, G., "Guide to Forecasting Travel Demand with Direct Utility Assessment,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6 Jain, H., "Evaluating Bicyclists Comfort and Safety Perception" Transport Research Board 2010

      17 Wang. Y., "Estimating the Risk of Collisions Between Bicycles and Motor Vehicl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36 : 313-321, 2004

      18 Lee, Sungwon, "Estimating Price Elasticities of Demand for Air Transportation with Stated Preference Technique" 18 (18): 27-34, 2000

      19 Lee, Sungw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Fare Policies of Regional Transportation" Korea Transport Institute 1998

      20 Leden, L., "An Expert Judgment Model Applied to Estimating the Safety Effect of a Bicycle Facility" 32 (32): 589-599, 2000

      21 Sener, Ipek N., "An Analysis of Bicycle Route Choice Preferences Using a Web-Based Survey to Examine Bicycle Facilities" 2005

      22 Brown, R. L., "All-Terrain Vehicle and Bicycle Crashes in Children : Epidemiology and Comparions of Injury Severity" 37 (37): 375-380, 2002

      23 Stinson, Monique A., "A Comparison of Route Preferences of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Bicycle Commuters"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