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카셰어링 서비스의 수요추정 및 도입효과 분석 = Demand Estimation and Impact Analysis of Car-Sharing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1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imated the travel demand of car sharing service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service to elevate the understanding of car sharing service on the viewpoint of transportation system. User survey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travel demand of car sharing service and analysis on the impact of car sharing service introduction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travel demand. Travel cost is expected to decrease only when users of car sharing service sell their own cars. In this case, travel cost saving increases as price for a car is high, and it decreases as the users' travel distance gets long. In case that car sharing users sell their own cars,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travels are lessened due to with reduced unnecessary travels. Therefore, the reduction of the travel resulted in small. If the service users sell their own cars or hold off buying a new car, the number of car registered will be decreased. Car sharing service using small cars or electric vehicles can mitigat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The increase of the traveler's mobility should be important consideration because car sharing service can make users travel that was impossible or very difficult to do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stimated the travel demand of car sharing service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service to elevate the understanding of car sharing service on the viewpoint of transportation system. User survey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travel deman...

      This study estimated the travel demand of car sharing service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service to elevate the understanding of car sharing service on the viewpoint of transportation system. User survey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travel demand of car sharing service and analysis on the impact of car sharing service introduction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travel demand. Travel cost is expected to decrease only when users of car sharing service sell their own cars. In this case, travel cost saving increases as price for a car is high, and it decreases as the users' travel distance gets long. In case that car sharing users sell their own cars,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travels are lessened due to with reduced unnecessary travels. Therefore, the reduction of the travel resulted in small. If the service users sell their own cars or hold off buying a new car, the number of car registered will be decreased. Car sharing service using small cars or electric vehicles can mitigat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The increase of the traveler's mobility should be important consideration because car sharing service can make users travel that was impossible or very difficult to do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교통시스템 측면에서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카셰어링 서비스의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추정하고 도입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카셰어링 서비스의 잠재 이용수요와 이용 통행량을 추정하였고, 추정된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활용하여 통행비용 감소효과, 통행량 감소효과, 차량 보유 감소효과 등의 도입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하고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만 통행비용 감소효과가 발생하는데, 차량 구입비용이 클 경우 통행비용 감소효과는 증가하고 평균 통행거리가 길수록 통행비용 감소는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개인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통행이 줄어들기 때문에 통행량이 약간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한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통행량 감소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유 차량을 매각하거나 신규 차량 구입을 보류함에 따라 차량 보유대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나타나는데, 6만 8천 대 정도의 카셰어링 차량을 운영할 경우 80만 대 정도의 보유 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친환경차량과 소형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카셰어링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불가능하던 통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이동성 향상 효과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교통시스템 측면에서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카셰어링 서비스의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추정하고 도입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용자에 대한 설...

      이 연구는 교통시스템 측면에서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카셰어링 서비스의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추정하고 도입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카셰어링 서비스의 잠재 이용수요와 이용 통행량을 추정하였고, 추정된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활용하여 통행비용 감소효과, 통행량 감소효과, 차량 보유 감소효과 등의 도입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하고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만 통행비용 감소효과가 발생하는데, 차량 구입비용이 클 경우 통행비용 감소효과는 증가하고 평균 통행거리가 길수록 통행비용 감소는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개인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통행이 줄어들기 때문에 통행량이 약간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한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통행량 감소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유 차량을 매각하거나 신규 차량 구입을 보류함에 따라 차량 보유대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나타나는데, 6만 8천 대 정도의 카셰어링 차량을 운영할 경우 80만 대 정도의 보유 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친환경차량과 소형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카셰어링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불가능하던 통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이동성 향상 효과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원재, "자동차 공동이용Car-Sharing)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8

      2 신민성, "이동수요 대응형 클라우드 교통시스템 공유차량 대여소 입지선정" 대한교통학회 30 (30): 29-42, 2012

      3 김태균, "보금자리주택지구 녹색교통체계 연구-교통수요관리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2011

      4 장원재, "대중교통 사용료 소득공제및 환급체계 도입방안" 한국교통연구원 2009

      5 박준식, "공유기반 교통시스템의 효율성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18 (18): 1-18, 2011

      6 오재학, "공유기반 교통시스템 구상" 한국교통연구원 2011

      7 추상호, "공유경제시대의 카셰어링 활성화 방안" 2012

      8 Correia, G., "Optimization Approach to Depot Location and Trip Selection in One-way Carsharing Systems" 48 (48): 233-247, 2012

      9 Nair, R, "Fleet Management for Vehicle Sharing Operation" 45 (45): 524-540, 2011

      1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Car-Sharing : Where and How It Succeeds" TCRP 2005

      1 장원재, "자동차 공동이용Car-Sharing)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8

      2 신민성, "이동수요 대응형 클라우드 교통시스템 공유차량 대여소 입지선정" 대한교통학회 30 (30): 29-42, 2012

      3 김태균, "보금자리주택지구 녹색교통체계 연구-교통수요관리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2011

      4 장원재, "대중교통 사용료 소득공제및 환급체계 도입방안" 한국교통연구원 2009

      5 박준식, "공유기반 교통시스템의 효율성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18 (18): 1-18, 2011

      6 오재학, "공유기반 교통시스템 구상" 한국교통연구원 2011

      7 추상호, "공유경제시대의 카셰어링 활성화 방안" 2012

      8 Correia, G., "Optimization Approach to Depot Location and Trip Selection in One-way Carsharing Systems" 48 (48): 233-247, 2012

      9 Nair, R, "Fleet Management for Vehicle Sharing Operation" 45 (45): 524-540, 2011

      1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Car-Sharing : Where and How It Succeeds" TCRP 2005

      11 Cepolina, E., "A new shared vehicle system for urban areas" 21 (21): 230-24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