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교통DB를 활용한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KTDB Based Korean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1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통물류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 중 상당한 부문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부문에 비해 감축 잠재력이 높은 부문이다. 더불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이 가능하지만 해당 정책들이 여러 가지 복잡한 사회․경제적 요소들과 관련되어 있고 교통물류 정책의 효과가 국가 산업 활동 및 국민들의 삶과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행하기에 앞서서 정책에 따른 감축효과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에너지 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과 교통물류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인 TREMOVE의 모형 구조 및 특성, 필요한 자료들을 검토하고 국내 교통관련 자료들의 획득 가능성을 파악하여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 체계를 수립하고 모형에 필요한 자료들을 제시하였으며 국가교통DB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통행거리 산정을 위해 통행거리빈도분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고 통행속도 산정을 위해 통행량-속도 그래프를 활용하여 새로운 통행속도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신규개발지역과 신규도로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교통DB를 활용하여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을 개발하기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국가교통DB 상의 차종구분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둘째 보다 정확한 통행거리 산정이 필요하며, 셋째 구간별 통행속도를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교통물류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 중 상당한 부문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부문에 비해 감축 잠재력이 높은 부문이다. 더불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이 가능하지만 해당 ...

      교통물류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 중 상당한 부문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부문에 비해 감축 잠재력이 높은 부문이다. 더불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이 가능하지만 해당 정책들이 여러 가지 복잡한 사회․경제적 요소들과 관련되어 있고 교통물류 정책의 효과가 국가 산업 활동 및 국민들의 삶과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행하기에 앞서서 정책에 따른 감축효과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에너지 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과 교통물류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인 TREMOVE의 모형 구조 및 특성, 필요한 자료들을 검토하고 국내 교통관련 자료들의 획득 가능성을 파악하여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 체계를 수립하고 모형에 필요한 자료들을 제시하였으며 국가교통DB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통행거리 산정을 위해 통행거리빈도분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고 통행속도 산정을 위해 통행량-속도 그래프를 활용하여 새로운 통행속도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신규개발지역과 신규도로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교통DB를 활용하여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을 개발하기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국가교통DB 상의 차종구분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둘째 보다 정확한 통행거리 산정이 필요하며, 셋째 구간별 통행속도를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eenhouse gas from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ccount more than 20% of total national greenhouse gas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have better potenti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than industry by achieving high energy efficiency. Even though various greenhouse reduction policies are available, transport and logistics policies a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and quality of people's life. Hence, impac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analysed before implementation. Particularly,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s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need detail information on transportation network and traveller's behaviour. Thu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ountry specific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based on national transportation database and be applied to various policy implementation. The study reviewed various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s in Korea and abroad. Based on review of model structures, input data, and available data in Korea, the study develops Korean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fo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The whole model structure is established and required data is proposed. To improve efficiency of model implementation, possibility of utilizing Korea National Transport DB (KTDB) is discussed. Some innovative ways are developed to apply KTDB to the model. Production of greenhouse gas from a newly developed industrial complex and road section is estimated with a method developed in a pilot study. Finally, some further research issues are suggested.
      번역하기

      Greenhouse gas from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ccount more than 20% of total national greenhouse gas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have better potenti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than industry by achieving high energy efficiency. ...

      Greenhouse gas from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ccount more than 20% of total national greenhouse gas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have better potenti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than industry by achieving high energy efficiency. Even though various greenhouse reduction policies are available, transport and logistics policies a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and quality of people's life. Hence, impac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analysed before implementation. Particularly,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s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need detail information on transportation network and traveller's behaviour. Thu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ountry specific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based on national transportation database and be applied to various policy implementation. The study reviewed various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s in Korea and abroad. Based on review of model structures, input data, and available data in Korea, the study develops Korean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fo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The whole model structure is established and required data is proposed. To improve efficiency of model implementation, possibility of utilizing Korea National Transport DB (KTDB) is discussed. Some innovative ways are developed to apply KTDB to the model. Production of greenhouse gas from a newly developed industrial complex and road section is estimated with a method developed in a pilot study. Finally, some further research issues a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해양부, "제1차 지속가능 국가교통물류발전 기본계획" 2011

      2 국토해양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3 환경부, "온실가스배출량산정지침"

      4 민연주, "물류분야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9

      5 대한교통학회, "도로용량편람"

      6 한국개발연구원, "도로 ‧ 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 ‧ 보완연구" 2009

      7 조준행, "기후변화협약대비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정책의 효과분석(2단계)" 한국교통연구원 2006

      8 녹색성장위원회, "국가 중기(2020) 온실가스 감축 목표설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

      9 국토해양부,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

      10 박진영, "교통부문 청정개발체제(CDM)활성화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2008

      1 국토해양부, "제1차 지속가능 국가교통물류발전 기본계획" 2011

      2 국토해양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3 환경부, "온실가스배출량산정지침"

      4 민연주, "물류분야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9

      5 대한교통학회, "도로용량편람"

      6 한국개발연구원, "도로 ‧ 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 ‧ 보완연구" 2009

      7 조준행, "기후변화협약대비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정책의 효과분석(2단계)" 한국교통연구원 2006

      8 녹색성장위원회, "국가 중기(2020) 온실가스 감축 목표설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

      9 국토해양부,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

      10 박진영, "교통부문 청정개발체제(CDM)활성화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2008

      11 한상진, "교통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9

      12 IPCC, "WG1 4차 평가보고서" 2007

      13 IEA, "Voluntary Action For Energy-Related CO₂" IEA 2007

      14 채윤근, "LEAP model을 이용한 풍력발전의 환경적·경제적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5 UNEP, "IPCC Guideline"

      16 European Environment Agency, "Greenhouse Gas Emission Trends and Projections in Europe" 2009

      17 "Final report TREMOVE"

      18 European Environment Agency, "Climate for a Transport Change"

      19 ICF Consulting, "Assessment of Greenhouse Gas Analysis Techniques for Transportation Projects" 2006

      20 European Commission, "A Sustainable Future for Transport"

      21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년도 에너지총조사보고서" 지식경제부 2009

      22 국가교통DB센터, "2008년도 국가교통수요조사 및 DB구축사업" 한국교통연구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