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몽골사에서의 탐라의 가치 = The Value of Tamna in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vides the value of Tamna in the Mongol Empire history into Khan Balig(大都, Yeke Khota) and the sea route, the encounter between the Mongols and the Tamnas, and the Darugachi(達魯花赤) of Tamna and the 'Map of the Unified Territor...

      This article divides the value of Tamna in the Mongol Empire history into Khan Balig(大都, Yeke Khota) and the sea route, the encounter between the Mongols and the Tamnas, and the Darugachi(達魯花赤) of Tamna and the 'Map of the Unified Territory and Dynastic Capitals throughout History' (Honil kangni yeoktae kukto chi do,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Kangnido). The Mongols had completed the Eurasian Steppe route. Especially, we concentrated on how they had made the sea route during the reign of Khubilai Khagan from 1260 to 1294. Tamna was the axis of the sea route at that time. We have examed that Tamna had showed what kind of relationship with the Yeke Yuan Mongols and what role it had played. As a result, Khubilai Khagan is considered a historical figure who recognized Tamna's values and utilized them in Tamna history. We noticed two families of Lee Jang(李莊) and Silbi(失里伯) among the Darugachi of Tamna. It seems that Silbi's family is the main line of descent of the Darugachi of Tamna. The Kangnido, the world's first world map is related to Tam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몽골사에서 탐라가 가지는 가치를 大都와 해상루트, 몽골과 탐라의 만남, 탐라의 다로가치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몽골인들은 유라시아 초원루트를 완성...

      본고는 몽골사에서 탐라가 가지는 가치를 大都와 해상루트, 몽골과 탐라의 만남, 탐라의 다로가치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몽골인들은 유라시아 초원루트를 완성했다. 특히, 코빌라이 카간(Khubilai Khagan, 재위 1260∼1294)때 바닷길을 어떻게 구축해 나갔는가를 집중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탐라는 당시 바닷길의 한 축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탐라가 몽골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또 무슨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밝혔다. 이 결과 탐라의 역사에서 코빌라이 카간은 탐라의 가치를 인식하고 구체적으로 활용한 인물로 나타났다. 탐라의 다로가치에서 이장(李莊)과 실리백(失里伯, Silbi)이라는 두 가계(家系)가 주목된다. 기록상으로 미루어 실리백의 가계가 탐라 다로가치의 적통(嫡統)으로 보인다. 또 세계 최초의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도 탐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창석, "「元高麗紀事」耽羅關係 紀事의 檢討 : 13세기 耽羅와 元과의 關係" 21 : 1998

      2 秦野裕介, "「倭寇」と海洋史観 ―「倭寇」は「日本人」だったのか ―" 81 : 2002

      3 四日市康博, "해역아시아사 연구 입문" 민속원 2012

      4 佐藤貴保, "해역아시아사 연구 입문" 민속원

      5 深見純生, "해역아시아사 연구 입문" 민속원 2012

      6 高橋公明, "해역세계 가운데 제주도와 고려" 20 : 2002

      7 황경수, "해방 이전 제주항로의 변천사 연구" 23 : 2003

      8 백승정, "한ㆍ몽 전통문양의 역사적 변천 - 탐가와 십장생을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39) : 115-146, 2014

      9 오상학, "한·중·일 고지도에 표현된 이어도 해역 인식" 국토지리학회 45 (45): 73-92, 2011

      10 발로스, "지도를 만든 사람들" 아침이슬 2007

      1 고창석, "「元高麗紀事」耽羅關係 紀事의 檢討 : 13세기 耽羅와 元과의 關係" 21 : 1998

      2 秦野裕介, "「倭寇」と海洋史観 ―「倭寇」は「日本人」だったのか ―" 81 : 2002

      3 四日市康博, "해역아시아사 연구 입문" 민속원 2012

      4 佐藤貴保, "해역아시아사 연구 입문" 민속원

      5 深見純生, "해역아시아사 연구 입문" 민속원 2012

      6 高橋公明, "해역세계 가운데 제주도와 고려" 20 : 2002

      7 황경수, "해방 이전 제주항로의 변천사 연구" 23 : 2003

      8 백승정, "한ㆍ몽 전통문양의 역사적 변천 - 탐가와 십장생을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39) : 115-146, 2014

      9 오상학, "한·중·일 고지도에 표현된 이어도 해역 인식" 국토지리학회 45 (45): 73-92, 2011

      10 발로스, "지도를 만든 사람들" 아침이슬 2007

      11 오상학, "조선시대 세계지도와 세계인식" 창비 2011

      12 강영봉, "제주어와 중세 몽골어의 비교 연구" 20 : 1999

      13 박원길, "제주습속 중의 몽골적인 요소―조랑말의 뜻과 제주방언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28 : 2005

      14 윤명철, "제주도의 해양교류와 대외항로" 37 : 2002

      15 김진하, "제주도 민요의 후렴 “이여도”의 다의성과 이여도 전설에 대한 고찰" 28 : 2006

      16 S.촐몬, "원나라에서 고려로 유배되었던 몽골 귀족" 제주학회 2017

      17 박원길, "영락제와 제주도" 40 : 2013

      18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개 2010

      19 게오르기 베르낫스키, "몽골제국과 러시아" 도서출판 선인 2016

      20 "몽골비사"

      21 박원길, "몽골과 바다" 한국몽골학회 (26) : 99-144, 2009

      22 박원길, "몽골 古代史 硏究" 혜안 1994

      23 박원길, "대몽골(원)제국의 백성분류체계" 한국몽골학회 (41) : 1-27, 2015

      24 박원길, "대몽골(원)제국 시대의 양마법(養馬法)과 기마장비" 43 : 2015

      25 김일우,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2007

      26 진영일, "고대 탐라국의 대외관계" 30 : 2007

      27 村岡倫, "龍谷大學所蔵『混一疆理歴代國都之圖』から見るユーラシア世界" 2011

      28 村岡倫, "龍谷大學所蔵『混一疆理歴代國都之圖』 に見えるモンゴル高原の諸都市" 2011

      29 金宗瑞, "高麗史節要"

      30 鄭麟趾, "高麗史"

      31 袁曉春, "高麗使節鄭夢周登州史迹考" 2010 (2010): 2010

      32 池內功, "高麗に駐在した元の達魯花赤について" 18 (18): 1929

      33 權近, "陽村集"

      34 郭慶昌, "關于元代的馬政" 1960 (1960): 1960

      35 楊志玖, "釋 “達魯花赤”" 1985 (1985): 1985

      36 山本達郞, "鄭和西征考" 4 (4): 4-, 1935

      37 鄭鶴聲, "鄭和下西洋資料匯編(上), (下)" 齊魯書社 1984

      38 伯希和, "鄭和下西洋考" 商務印書館 1935

      39 寺田隆信, "鄭和─中國とイスラム世界と結んだ航海者─" 現代書館 1981

      40 羽友三郞, "達魯花赤雜考" 61 : 1956

      41 景愛, "跋出土元代管水達達民戶達魯花赤之印" 1979 (1979): 1979

      42 張雪慧, "試論元代中國與高麗的貿易" 2003 (2003): 2003

      43 張秀民, "蒲壽庚爲占城人非阿拉伯人說" 1979 (1979): 1979

      44 杉本直治郞, "蒲壽庚の國籍問題" 11 (11): 1952

      45 吉原公平, "蒙古馬政史" 東學社 1938

      46 哈勘楚倫, "蒙古文化通訊(台北)" 8-, 1990

      47 札奇斯欽, "蒙古史論叢(下)" 學海出版社 1980

      48 札奇斯欽, "蒙古史論叢(上)" 學海出版社 1980

      49 箭內亙, "蒙古史硏究" 刀江書院 1930

      50 陳永志, "蒙元時期的牌符" 2003 (2003): 2003

      51 陳得芝, "蒙元史硏究叢稿" 人民出版社 2005

      52 羽田亨, "羽田博士史學論文集(上)" 東洋史硏究會 1957

      53 王磊, "略論元代的馬政" 2011 (2011): 2011

      54 榎一雄, "海東牌のアラビヤ文學銘文" 33 (33): 1944

      55 川越泰博, "泉州回敎徒蒲氏系譜考―≪蒲壽庚家譜≫先世紀事の再檢討―" 43 : 1974

      56 前嶋信次, "泉州の蒲氏勃興の年代について" 61 (61): 1952

      57 前嶋信次, "泉州の波斯人と蒲壽庚" 25 (25): 1952

      58 賈敬顔, "民族歷史文化萃要" 吉林敎育出版社 1990

      59 近藤浩一, "東アジア海域と倭寇: 9世紀末の新羅海賊との比較史的考察を通して" 47 : 2014

      60 "朴居實妻元氏(1288~1334)墓誌銘"

      61 "朝鮮王朝實錄"

      62 白鳥庫吉, "朝鮮史硏究(白鳥庫吉全集3)" 岩波書店 1970

      63 山本達郞, "日本諸學振興委員會硏究報告第十一篇(第二歷史學)" 1940

      64 高橋公明, "日本における済州島史についての研究動向(16世紀以前)" 2003 : 2003

      65 包祥, "新近在蒙古發見的元代八思巴字蒙古語金質聖牌" 2000 (2000): 2000

      66 吳吴, "我國元代戶籍分類制度研究" 2009 (2009): 2009

      67 烏云高娃, "忽必烈的東亞海外政策及禪宗影響" 2015 (2015): 2015

      68 桑原隲藏, "宋末の提擧市舶西域人蒲壽庚の事蹟" 東亞攻究會 1923

      69 陳高華, "宋元時期的海外貿易" 天津人民出版社 1981

      70 劉文波, "宋元時期泉州社會經濟變遷與海外貿易—兼析泉州古代經濟發展之路" 2010 (2010): 2010

      71 姚從吾, "姚從吾先生全集(5)" 正中書局 1981

      72 "大元馬政紀" 台北廣文書局 1972

      73 杉山正明, "大モンゴルの世界 ─ 陸と海の巨大帝國 ─" 角川書店 1992

      74 樊文禮, "唐代 “登州海行人高麗道” 的變遷與赤山法華院的形成" 2005 (2005): 2005

      75 蔡美彪, "內陸亞洲歷史文化硏究" 南京大學出版社 1996

      76 배숙희, "元나라의 耽羅 통치와 移住, 그리고 자취" 중국사학회 (76) : 95-122, 2012

      77 "元高麗紀事"

      78 王颋, "元王朝與爪哇的戰爭和來往" 2006 (2006): 2006

      79 前嶋信次, "元末の泉州と回敎徒" 27 (27): 1953

      80 陳高華, "元朝與高麗的海上交通" (71ㆍ72) : 1991

      81 白曉霞, "元朝與印度的海上貿易" 2004 (2004): 2004

      82 波ㆍ少布, "元朝的馬政制度" (3) : 1995

      83 高樹林, "元朝民戶計研究:元朝“諸色戶計”研究之一" 1993 (1993): 1993

      84 周霞, "元朝時期的山東半島在與高麗海上商貿交往中的重要作用" 2010 (2010): 2010

      85 高樹林, "元朝匠戶戶計研究: 元朝 “諸色戶計” 研究之二" 1993 (1993): 1993

      86 高樹林, "元朝冶煉戶計研究:元朝“諸色戶計”研究之三" 1994 (1994): 1994

      87 村上正二, "元朝の達魯花赤に關する一考察" 53 (53): 1942

      88 原山仁子, "元朝の達魯花赤について" 29 : 1971

      89 羽田亨, "元朝の海靑牌" 2 : 1930

      90 靑山公亮, "元朝の地方行政機構に關する一考察─とくに路ㆍ府ㆍ州縣の達魯花赤について─" 6 : 1940

      91 高榮盛, "元史淺識" 鳳凰出版社 2010

      92 宋濂, "元史" 中華書局

      93 潘修人, "元代達魯花赤的職掌及爲政述論" 1993 (1993): 1993

      94 黃淸連, "元代諸色戶計的經濟地位" 6 (6): 1976

      95 齊覺生, "元代縣的「達魯花赤」與「縣尹」" 23 : 1971

      96 喬今同, "元代的符牌" (6) : 1980

      97 丁毅博, "元代牌符考" 1963 (1963): 1963

      98 喻常森, "元代海外贸易" 西北大學出版社 1994

      99 高榮盛, "元代海外貿易硏究" 四川人民出版社 1998

      100 黃淸連, "元代户計制度研究" 台灣大 1977

      101 黃淸連, "元代戶計的劃分及其政治社會地位" 2 : 1974

      102 崔菊華, "元代山東與高麗的貿易" 2011 (2011): 2011

      103 蔡美彪, "元代圓牌兩種之考釋" (4) : 1980

      104 배숙희, "元代 慶元지역과 南方航路 ― 탐라지역의 부상과 관련하여 ―" 한국중국학회 (65) : 185-205, 2012

      105 金太順, "元代 “管水達達民戶達魯花赤之印”" 1981 (1981): 1981

      106 丹羽友三郞, "元世祖ジャバ遠征雜考─特に軍士ならびに海船の數について─" 61 : 1956

      107 高橋公明, "中世アジア海域における海民と交流―濟州島を中心として―" 33 : 1987

      108 岡田英弘, "世界史はモンゴル帝国からはじまった" 2004 : 2004

      109 岡田英弘, "世界史の誕生 - モンゴルの発展と伝統 -" 筑摩書房 1999

      110 李承召, "三灘集"

      111 杉山正明, "モンゴル帝國の興亡(下:世界經營の時代)" 講談社 1996

      112 杉山正明, "モンゴル帝國の興亡(上:軍事擴大の時代)" 講談社 1996

      113 宮紀子, "モンゴル帝國が生んだ世界圖" 日本經濟新聞出版社 2007

      114 杉山正明, "クビライの挑戦" 講談社 1995

      115 家島彦一, "イスラ-ム史料中にみる鄭和遠征紀事について" 38 (38): 1966

      116 왕치엔진,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제작과 조선 태종의 천도 및 지방행정제도 개혁과의 관계" 이화사학연구소 (45) : 1-48, 2012

      117 백옥경,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山嶽 표기에 나타난 諸認識" 이화사학연구소 (45) : 49-74, 2012

      118 조지형,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아프리카: 비교사적 검토" 이화사학연구소 (45) : 75-106, 2012

      119 湯開建, "『大元肅州路也可達魯花赤世襲之碑』補釋" 1983 (1983): 1983

      120 白濱, "『大元肅州路也可達魯花赤世襲之碑』 考釋" 1979 (1979): 1979

      121 耿世民, "『大元肅州路也可達魯花赤世襲之碑』 回鶻文部分譯釋" 1979 (1979): 1979

      122 杜洁祥, "『中国佛寺史志汇刊』 第一辑 第43-1册" 明文書局 1980

      123 최창모,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1402년)의 제작 목적 및 정치사회적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23 (23): 111-144, 2013

      124 Пэрлээ, Х., "Эрхлэн нийтүүлсэн А.Очир, Эрдэм шинжилгээний өгүүллүүд(Ⅱ)"

      125 Park, Won-Kil, "Хубилай Сэцэнхаан ба Монголын Юань улс" Монгол улсын ШУА-ийн ТүүхАрхеологийн хүрээлэн 2015

      126 Жанчив, Ё., "Сонгодог монгол бичгийн өмнөх үеийн дурсгалууд"

      127 Банзаров, Доржи,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 Отв. ред. Д.Б. Улымжиев; Предисл. В.Ц. Найдакова; РАН. Сиб. отд-ние. Бурят. ин-т обществ. наук. – 2-е изд., доп. – Улан-Удэ" Изд-воБНЦ СО РАН 1997

      128 Пэрлээ, Х., "Монголын түүх судлах сурвалжийн нэгэн нь пайзмөн"

      129 Латтимор, О., "Монгол гүрний үеийн эрх мэдллийн пайзны асуудал буюу байдал" 1973

      130 Крамаровский, М.Г., "Золото Чингисидов:культурное наследие Золотой Орды / Марк Крамаровский; Гос. Эрмитаж. -" Славия 2001

      131 Жамцарано, Ц.Ж., "Записки Вост. отд-ние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Русского Археологологическогообщества, т.ⅩⅩⅡ" 1914

      132 Nyamaa, B., "The coins of Mongol Empire and Clan Tamgha of Khans(XIII-XIV)" 2005

      133 Marco Polo, "The Travels of Marco Polo, the Complete Yule-Cordier edition, vol.Ⅰ" Dover Publication, INC 1992

      134 Yang, Hye-Suk, "The Image of Mongolia in European and Asian Travel Literature, Mongolian Academy of Science"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Eurasia-Pacific Union 2006

      135 Silverstein, A.J., "Postal Systems in the Pre-Modern Islamic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36 Rachewiltz, I.de, "Papal Envoys to the Great Khans" Faber & Faber 1971

      137 Cleaves, F.W., "Daruγa and gerege" 16 : 1953

      138 Munkuyev, N.Js, "A New Mongolian P'ai-ts'u from Simperopol" 31 : 2-, 1977

      139 최기호, "<청산별곡>의 형성과 몽골 요소" 한국몽골학회 13 : 1-32, 2002

      140 최기호, "<청산별곡>의 형성 배경과 몽골 요소" 14 : 2000

      141 로저 크롤리, "500년 무역대국: 부의 도시 베네치아" 다른세상 2012

      142 佐伯弘次, "14∼15세기 동아시아의 해역세계와 일한관계"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교과서위원회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ju Studies -> Society for Jeju Studie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