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물리적 방법(PSL, TL)을 이용한 선종별 조사처리 식품의 검지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0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조사처리 허용품목을 대상으로 다소비, 다빈도, 다수입 품목 12종(감자, 양파, 마늘, 건호박, 목이버섯, 검은콩, 청국장가루, 미역, 고춧가루, 라면수프, 옥수수차, 분말 녹차)을 선정하여...

      국내 조사처리 허용품목을 대상으로 다소비, 다빈도, 다수입 품목 12종(감자, 양파, 마늘, 건호박, 목이버섯, 검은콩, 청국장가루, 미역, 고춧가루, 라면수프, 옥수수차, 분말 녹차)을 선정하여 조사처리 선원에 따른 물리적 확인시험법(PSL 및 TL)을 적용하여 조사처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PSL 적용 결과 모든 비조사 시료에서는 700 count/60초(T1)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음성 또는 비조사 판정이 가능하였다. 감마선, 전자선과 X선을 처리한 시료에서는 879-2,414 (intermediate)와 19,951-65,919,035 (positive) 범위로 수치가 확인되었으며 조사 선원에 따른 수치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L 적용 결과 비조사 시료에서는 300℃ 이상에서 자연방사선에 의한 peak를 나타내는 비특이적인 글로우 곡선을 보였으며 3개
      의 선종별 TL 분석 결과에서는 150-250℃의 온도 범위에서 최대 peak를 나타내었다. 한편, 선종별 TL 강도 차이는 청국장 분말의 경우 감마선(γ)>전자선(E)>X선(X), 고춧가루와 분말 녹차는 γ>X>E, 미역, 목이버섯, 마늘은 E>γ>X, 양파, 감자, 검은콩는 E>X>γ, 라면수프와 옥수수차는 X>E>γ, 건호박은 X>γ>E의 순서로 TL 강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TL ratio(TL₁/TL₂) 값은 조사처리구에서 0.1143-2.9318 범위를 나타내어 국내 단일시료 조사판정 범위인 TL ratio 0.1 이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사처리선원에 따른 조사여부 판정은 현행 물리적 확인시험법으로 가능하였으며 광물질의 함량과 조사처리 선량 등 식품중 조사처리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plicability of photostimulated-luminescence (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for the detection of 12 food materials (potato, onion, garlic, dried pumpkin, black mushroom, black soybean, Cheongkukjang powder, sea mustard, pepper powder, Ramyun s...

      The applicability of photostimulated-luminescence (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for the detection of 12 food materials (potato, onion, garlic, dried pumpkin, black mushroom, black soybean, Cheongkukjang powder, sea mustard, pepper powder, Ramyun soup, corn tea, and green tea powder)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gamma ray, and X ray at a range of 0.15 to 10 kGy was investigated. For PSL, negative results (less than 700 photon counts (PCs)) were observed from non-irradiated foods while the irradiated foods showed intermediate (879 to 2,414 PCs) and/or positive (19,951 to 65,919,035 PCs) values. In all irradiated samples, the maximum peak of the TL glow curve was observed between 150 and 250oC.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PSL and TL to determine whether food items were irradiated or no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adiation sour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남,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조사 효과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1 (21): 315-320, 2014

      2 안재준, "조미료의 방사선 조사선원에 따른 전자스핀공명 분석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385-391, 2009

      3 권중호, "방사선조사 건조향신채소의 PSL, TL 및 ESR 검지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50-54, 2006

      4 권중호, "물리적 방법(PSL, TL)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 건조 채소류의 검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211-215, 2006

      5 김규헌, "광자극발광법과 열발광법 분석을 통한 전자선과 감마선 조사식품의 비교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8 (28): 258-266, 2013

      6 정진화,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 처리 건조향신료에 대한 광자극발광, 열발광 및 전자스핀공명의 분광학적 분석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56-261, 2014

      7 정다운, "X-선 조사식품 4종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88-1593, 2014

      8 Joint FAO/IAEA/WHO Expert Committee, "Wholesomeness of Irradiated Food: Report of a Joint FAO/IAEA/WHO expert committee" World Health Organization 7-34, 1981

      9 UNEP,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plete the Ozone Layer"

      10 Kim HY,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identification properties of frozen crushed-garlics upon electron beam and gamma irradi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1 박재남,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조사 효과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1 (21): 315-320, 2014

      2 안재준, "조미료의 방사선 조사선원에 따른 전자스핀공명 분석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385-391, 2009

      3 권중호, "방사선조사 건조향신채소의 PSL, TL 및 ESR 검지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50-54, 2006

      4 권중호, "물리적 방법(PSL, TL)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 건조 채소류의 검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211-215, 2006

      5 김규헌, "광자극발광법과 열발광법 분석을 통한 전자선과 감마선 조사식품의 비교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8 (28): 258-266, 2013

      6 정진화,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 처리 건조향신료에 대한 광자극발광, 열발광 및 전자스핀공명의 분광학적 분석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56-261, 2014

      7 정다운, "X-선 조사식품 4종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88-1593, 2014

      8 Joint FAO/IAEA/WHO Expert Committee, "Wholesomeness of Irradiated Food: Report of a Joint FAO/IAEA/WHO expert committee" World Health Organization 7-34, 1981

      9 UNEP,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plete the Ozone Layer"

      10 Kim HY,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identification properties of frozen crushed-garlics upon electron beam and gamma irradi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11 Jin QW,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for identifying irradiated black soybeans" 86 : 842-847, 2010

      12 CEN, "Foodstuffs-Thermoluminescence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from Which Silicate Minerals can be Isolated"

      13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Food stuffs-Detection of irradiated food us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14 International Atomic and Energy Agency, "Food irradiation clearances database"

      15 MFDS, "Food Code"

      16 Chung HW, "Detection of irradiation treatment for seasoned powdered foods by thermoluminescence measurement" 30 : 509-516, 1998

      17 Chung HW, "Detection of irradiated potato and garlic by thermoluminescence measurement" 30 : 283-287, 1998

      18 FAO/WHO CODEX Alimentarius, "Codex General Standard for the Labelling of Prepackaged Foods. CODEX STAN 1-1985"

      19 FAO/WHO CODEX Alimentarius, "Codex General Standard for Irradiated Foods. CODEX STAN 106-1983"

      20 Kiyak N, "Application of thermoluminescence technique to identify radiation processed foods" 6 : 721-723,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