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각주 쓰기 교육방안 연구 = Learner-oriented Education of Writing Footnotes in K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6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KAP(Korean as an Academic Purpose) learners have been highly increasing over the last decade, the significance of effective education for them has been emphasized. Writing an academic thesis has been commonly mention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academic tasks by KAP learners.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footnote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text genre-based phenomena of the academic thesis which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text genres.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conducted is that the errors of KAP learners' footnotes are largely misleading and thus cannot function well in the text. On the premise that learner-oriented education is possible only when learners' texts are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s KAP learners' footnot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regarding literacy errors and tendency of frequency, specific learner-oriented education for writing footnotes are suggested. (University of Seoul)
      번역하기

      As KAP(Korean as an Academic Purpose) learners have been highly increasing over the last decade, the significance of effective education for them has been emphasized. Writing an academic thesis has been commonly mention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

      As KAP(Korean as an Academic Purpose) learners have been highly increasing over the last decade, the significance of effective education for them has been emphasized. Writing an academic thesis has been commonly mention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academic tasks by KAP learners.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footnote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text genre-based phenomena of the academic thesis which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text genres.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conducted is that the errors of KAP learners' footnotes are largely misleading and thus cannot function well in the text. On the premise that learner-oriented education is possible only when learners' texts are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s KAP learners' footnot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regarding literacy errors and tendency of frequency, specific learner-oriented education for writing footnotes are suggested. (University of Seou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경숙, "현대국어 지시어 ‘이, 그, 저’의 기능연구" 한국어연구회 33 : 35-58, 1997

      2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3 임형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보조 자료의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67-191, 2010

      4 조항록,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53-277, 2008

      5 박은선,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분석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91-210, 2006

      6 서세정,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연결어미 정확도 변이 양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23-143, 2011

      7 오현정, "한국어 교재와 드라마에 나타난 거절표현 특징 연구 -추론단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9-158, 2010

      8 조항록,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23-256, 2011

      9 박은선, "한국어 교육에서 트위터(Twitter) 사용의 교육적 효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15-141, 2012

      10 배도용, "한국어 교감적 언어사용(Phatic Communion)의 구성 요소와 실현 양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79-201, 2012

      1 오경숙, "현대국어 지시어 ‘이, 그, 저’의 기능연구" 한국어연구회 33 : 35-58, 1997

      2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3 임형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보조 자료의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67-191, 2010

      4 조항록,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53-277, 2008

      5 박은선,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분석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91-210, 2006

      6 서세정,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연결어미 정확도 변이 양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23-143, 2011

      7 오현정, "한국어 교재와 드라마에 나타난 거절표현 특징 연구 -추론단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9-158, 2010

      8 조항록,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23-256, 2011

      9 박은선, "한국어 교육에서 트위터(Twitter) 사용의 교육적 효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15-141, 2012

      10 배도용, "한국어 교감적 언어사용(Phatic Communion)의 구성 요소와 실현 양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79-201, 2012

      11 김현진,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47-73, 2011

      12 지현숙,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육에서의 '대안적 평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33-252, 2004

      13 권석만, "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 지침" 시그마프레스 2007

      14 이준호,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이중언어학회 (49) : 269-297, 2012

      15 유승금, "학문목적 한국어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61-82, 2005

      16 박나리,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학술논문 각주 분석" 한국작문학회 (17) : 227-269, 2013

      17 한송화,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실제 -대학 입학 전 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225-248, 2010

      18 김경령, "학문목적 유학생들의 독해력 지수와 읽기 전략, 동기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25-50, 2010

      19 신명선,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37-264, 2006

      20 신문경,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외국인 대학생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1 김인규,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요구 분석 및 교수요목 개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4-118, 2003

      22 홍혜준,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3 김영미,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87-123, 2010

      24 송지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과제 중심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5 이해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37-164, 2004

      26 김진아, "학문 목적 읽기교육에서 맥락적 원리의 탐색"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17-141, 2012

      27 전수정, "학문 목적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8 이동은, "학구적 목적의 한국어 토론 수업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0-260, 2003

      29 Heinemann,W, "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2011

      30 조성남,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도서출판 그림 2011

      31 이영진,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간 영향과 교수방안 -타언어권과 대비되는 형용사 과거시제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281-300, 2012

      32 남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43-177, 2012

      33 원진숙, "장르 기반 환경적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2 (22): 147-165, 2011

      34 박나리,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학술논문 서론의 텍스트생산 목적진술담화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55-94, 2012

      35 김현진, "이화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36 이현국,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 방안 : 한국어 고급 교재와 교양 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7 이은영,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연구(1)-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대한언어학회 13 (13): 1-16, 2005

      38 이정희,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의 실제" 도서출판 하우 2011

      39 이미혜, "유학생을 위한 대학 한국어 1(읽기, 쓰기)"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40 이덕희, "요구 분석을 통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1 이민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과정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233-259, 2012

      42 권성미,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나타나는 억양의 중간언어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3, 2010

      43 이미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교육방송의 역할과 활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231-258, 2012

      44 김선정,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담화에 나타난 응답 발화 분석1" 이중언어학회 (51) : 1-25, 2013

      45 이은경, "사고발화법을 이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전략 분석 -한국인과 중국인 대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15-342, 2012

      46 김지영, "보고서 쓰기와 발표하기를 통합한 한국어 고급 단계의 프로젝트 수업 연구학문 목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49-79, 2007

      47 최문석, "딕토글로스 중심 수업이 한국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중급 단계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91-417, 2012

      48 서울시립대 글쓰기 교실 편집위원회, "대학생활과 글쓰기" 서울시립대학교 출판사 2011

      49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대학 강의수강을 위한 한국어 쓰기"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50 김지혜,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46) : 45-65, 2011

      51 홍혜란,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 -전공 분야별 비교를 통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375-405, 2011

      52 박창원, "논문작성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53 김기홍, "논문작성 이렇게 하라" 시대의 창 2002

      54 김태준, "논문 작성의 길잡이: 과학적 논문을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 도서출판 봉명 2002

      55 김정숙,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3-44, 2009

      56 이화숙, "국외 한국어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세계화 시대 국외 한국어 교육의 성격 탐색과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하여-" 이중언어학회 (51) : 217-246, 2013

      57 신명선,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Hedge) 표현에 대한 연구" 배달말학회 (38) : 151-180, 2006

      58 최은규, "국내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특수목적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59-81, 2008

      59 채숙희, "고급학습자의 일상대화에서의 종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71-389, 2012

      60 이승연,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수사의문문 교육 연구 -논증적 글쓰기의 문어체 수사의문문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259-287, 2012

      61 민병곤, "‘화법과 작문’ 과목의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작문학회 (16) : 259-289, 2012

      62 Chafe, W. L, "and Involvement in Speaking, Writing and Oral Literature,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Exploring Orality and Literacy" Norwood 8-1, 1982

      63 Nation, I..S.P,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64 Swales, J, "Genre Analysis: English in Academic Purpose and Research Set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65 Spencer, M. C, "Foundation of Writing-Developing Research and Academic Writing Skills" National Textbook Company 1996

      66 Cummings, J, "Bilingualism and Special Education: Issues in Assessment and Pedagogy" Multilingual Matter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