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정규 학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교사들의 요구를 중심으로 - = The Present Situation and Issu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K-12 Schools in the U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elineate what the current problems are and how they should be solv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courses at K-12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er interviewed 13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s at K-12 schools, and asked what the teachers consider as the most urgent problems and what solutions they suggest. This process identified the following as the main problems; establishing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courses; standardizing terms; developing course books and references; and provid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stablish standard Korean language courses, a detailed Scope and Sequence should be developed through discussion among Korean language professionals; and to create eff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and programs should be specialized and tailored for each group. These suggestions are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SA regular schools,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in globalization of Korean language. (Korea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delineate what the current problems are and how they should be solv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courses at K-12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er interviewed 13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s at K-12 schools, and asked w...

      This study is to delineate what the current problems are and how they should be solv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courses at K-12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er interviewed 13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s at K-12 schools, and asked what the teachers consider as the most urgent problems and what solutions they suggest. This process identified the following as the main problems; establishing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courses; standardizing terms; developing course books and references; and provid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stablish standard Korean language courses, a detailed Scope and Sequence should be developed through discussion among Korean language professionals; and to create eff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and programs should be specialized and tailored for each group. These suggestions are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SA regular schools,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in globalization of Korean language. (Korea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정, "해외 초·중고등학교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2 안주호, "한국어 문법용어의 영어 대역어에 대한 연구: 학습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3-158, 2013

      3 김남길, "한국어 기반 응용언어학의 과제와 미주 지역의 한국어 교육" 한국언어정보학회 11 (11): 1-14, 2009

      4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07-125, 2002

      5 윤여탁,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미주 지역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4 : 67-146, 2004

      6 민현식, "한국어 교사론 -21세기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31-168, 2005

      7 허용, "원격교육을 통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17) : 359-390, 2000

      8 강승혜, "영어권 표준 한국어 교재 실태조사 및 개발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2010

      9 김정숙,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용한 재외동포 아동 한국어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회 (42) : 25-46, 2010

      10 이광규, "미주 동포와 한국어 교육"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1-30, 2008

      1 김선정, "해외 초·중고등학교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2 안주호, "한국어 문법용어의 영어 대역어에 대한 연구: 학습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3-158, 2013

      3 김남길, "한국어 기반 응용언어학의 과제와 미주 지역의 한국어 교육" 한국언어정보학회 11 (11): 1-14, 2009

      4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07-125, 2002

      5 윤여탁,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미주 지역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4 : 67-146, 2004

      6 민현식, "한국어 교사론 -21세기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31-168, 2005

      7 허용, "원격교육을 통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17) : 359-390, 2000

      8 강승혜, "영어권 표준 한국어 교재 실태조사 및 개발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2010

      9 김정숙,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용한 재외동포 아동 한국어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회 (42) : 25-46, 2010

      10 이광규, "미주 동포와 한국어 교육"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1-30, 2008

      11 김정규, "미국의 학교 교육과 교사 그리고 청소년들의 적응"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13) : 47-81, 2009

      12 손호민,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미래 조망"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79-135, 2001

      13 최낙복,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조사 연구- 로스앤젤레스 지역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2) : 211-245, 2008

      14 손호민,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 : 109-142, 1999

      15 이동재, "미국에서의 중·고등학생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8-226, 2003

      16 이선근, "미국 고등학교의 한국어 교육: 한국어를 정규 외국어 과목에 채택시키는 추진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65-72, 2009

      17 민현식, "문법 교육의 표준화와 다양화의 과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6) : 125-191, 2005

      18 유영미, "국외 한국어 교사의 기능과 역할: 미국의 표준개발계획과 한국어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9-81, 2009

      19 박경철, "공공외교로서의 한국어 해외보급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Cho, Sungdai, "Standard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ATK 2012

      21 손성옥, "SATⅡ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7 : 221-239, 2000

      22 ACTFL, "2010 Annual Repor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