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의 쓰기 수정 사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Writing Using Workshop for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the Revision Cases of Intermediat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at application of a workshop is effective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First, it discusses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the workshop should effectively utilized to enhance the learners' writing capability in Korean as a foreign or second language. It also investigates what the learners really experience within the lessons initiated by the concepts of workshop,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ir writings in each step.
      The model of workshop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a “writing-revision program” designed to help the learners revise their writings based on the idea of ‘mediation’ of a teacher and peers within a particular educational situation.
      The effects of this program can be broadly divided by three aspect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First, the cognitive effect means that learners can acquir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in the domain of writing through this program. Second, the affective effect represents that learners might experience the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writing activities through the ‘mediation’ of a teacher or peers in this program. Last, the social effect indicates that this program might lead th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ccept various viewpoints of members in a society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a teacher and peers. Thos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above might facilitate the Korean learners to focus more on the readers beyond the writer-centeredness and to finally produce appropriate texts suitable to the Korean writing conventions. (Korea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at application of a workshop is effective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First, it discusses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the workshop should effectively utilized to enhance the learners' w...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at application of a workshop is effective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First, it discusses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the workshop should effectively utilized to enhance the learners' writing capability in Korean as a foreign or second language. It also investigates what the learners really experience within the lessons initiated by the concepts of workshop,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ir writings in each step.
      The model of workshop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a “writing-revision program” designed to help the learners revise their writings based on the idea of ‘mediation’ of a teacher and peers within a particular educational situation.
      The effects of this program can be broadly divided by three aspect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First, the cognitive effect means that learners can acquir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in the domain of writing through this program. Second, the affective effect represents that learners might experience the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writing activities through the ‘mediation’ of a teacher or peers in this program. Last, the social effect indicates that this program might lead th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ccept various viewpoints of members in a society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a teacher and peers. Thos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above might facilitate the Korean learners to focus more on the readers beyond the writer-centeredness and to finally produce appropriate texts suitable to the Korean writing conventions. (Korea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숙, "한국어 작문과정 모형과 단계별 전략 탐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1-47, 2007

      2 진대연, "한국어 교사의 쓰기 지도 전문성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5-155, 2009

      3 원진숙,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한국작문학회 18 : 68-83, 2010

      4 오현진,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0) : 57-86, 2012

      5 서수현,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성숙, "외국인의 한국어 작문 과정에 대한 연구 -프로토콜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7) : 209-234, 2008

      7 황재웅, "쓰기 워크숍에 의한 작문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27) : 163-194, 2008

      8 가은아, "쓰기 교육에서 상위인지 조정 전략의 지도 방법"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297-330, 2011

      9 김정숙,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95-213, 1999

      10 김정숙,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3-44, 2009

      1 김성숙, "한국어 작문과정 모형과 단계별 전략 탐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1-47, 2007

      2 진대연, "한국어 교사의 쓰기 지도 전문성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5-155, 2009

      3 원진숙,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한국작문학회 18 : 68-83, 2010

      4 오현진,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0) : 57-86, 2012

      5 서수현,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성숙, "외국인의 한국어 작문 과정에 대한 연구 -프로토콜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7) : 209-234, 2008

      7 황재웅, "쓰기 워크숍에 의한 작문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27) : 163-194, 2008

      8 가은아, "쓰기 교육에서 상위인지 조정 전략의 지도 방법"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297-330, 2011

      9 김정숙,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95-213, 1999

      10 김정숙,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3-44, 2009

      11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학사 2002

      12 윤준채,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 대화, 구성 공간, 그리고 탐구" 한국어교육학회 (121) : 1-1, 2006

      13 성은미, "고쳐 쓰기 활동의 사례 분석을 통한 작문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회 35 : 115-148, 2003

      14 Gail E, Tompkins, "Teaching writing-balancing process and product Upper Saddle River" MerrillL 2004

      15 Horwitz, E. K, "Becoming a Language Teacher" Pearson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