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실태분석을 통해 활동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방재활동 여건을 마련하는 일에 목적을 두었으며 주요 연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36812
춘천 :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2020
학위논문(박사) --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재해방재전공 , 2020. 8
2020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 26 cm
지도교수: 이시영
I804:42002-00000003154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실태분석을 통해 활동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방재활동 여건을 마련하는 일에 목적을 두었으며 주요 연구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실태분석을 통해 활동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방재활동 여건을 마련하는 일에 목적을 두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자율방재단은‘시·군 단위 또는 읍・면・동 단위의 지역 공동체로서 주민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근린조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각종 재난 상황에 대처하고자 스스로 자원한 지역 주민들이 자주적・자발적인 의지를 갖고서 조직화 된 법률상 방재 관련 보조 조직체’라고 정의된다. 아울러 지역자율방재단의 활동 특성 가운데 일정 부분에서는 자원봉사 활동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논점 역시 검토해 논란의 여지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외국의 유력한 민간 자율 단체들의 활동사례를 확인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최근 4년간의 방재활동 실태와 당면한 현황 등을 분석하여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현실적인 관점에서 지역자율방재단의 효율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는데 이러한 모든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활동성 제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지역자율방재단원으로서 방재활동에 꼭 필요한 교양과 안전에 관한 기본 교육은 필수적인 이수 과정으로 구성해야 하며 지역별, 계절별, 대도시와 소도시 및 도농복합 지역의 특성을 구분해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훈련을 제도적으로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째, 농촌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는 새로운 인적 자원 관리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재난 현장에서의 경력자 또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자를 기본적인 입단 요건으로 설정해야 하고 이외에도 기존 단원들과 신규 단원들을 대상으로 자녀학자금 보조와 같은 혜택을 부여해 지역자율방재단 가입의 유인 동기를 극대화해야 한다,
셋째, 재난 현장에서의 방재활동에 대한 보상제도 개선이 필요하다.‘지역자율방재단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교육·훈련과 같은 일상적 활동의 수당과 별도로 재난 현장으로 공급된 노동력에 대한 급여와 장비 사용에 대한 실비는 지급해 주어야 한다. 아울러 지역자율방재단이라는 방재조직의 내실을 확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보상시스템을 법률로써 안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자율방재단 관리계층의 조직리더십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지역자율방재단장을 비롯한 부단장, 간사, 사무국장과 같은 관리계층의 훌륭한 리더십 역량이 절실하게 필요하며 객관적인 방재활동 사항은 입단하면서부터 철저하게 기록하고 관리계층의 단원 임명 시에는 의무적으로 그간의 활동 내역을 반영해야 한다. 즉,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마일리지제도 도입과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제안한 본 논문이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 조직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tivity in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Chae, Jong-Sik Major in Disaster Prevention,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imp...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tivity in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Chae, Jong-Sik
Major in Disaster Prevention,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verall preventive activity of Korean CAIND(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AIND is defined as the assistant organization in law about disaster prevention which, the local residents willingly made to handle the situation of disaster occurrence.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activities are also inherent, related issues are also reviewed at the same time to resolve any unclear arguments by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cases of prominent foreign autonomous private organizations, I have also analyzed the activities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for the last four years. Ultimately, I tried to find and present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First,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Korean CAIND to satisfy regional condition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quota management system of Korean CAIN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should be supplemented. Third, the reward system for Korean CAIND activities of large disaster sites should be improved. Fourth, management members' readership competency of operating organizations including Korean CAIND captain in charge should be strengthened.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Korean CAIND in the future.
Key Words:Disaster Management, Private Disaster Organization, Leadership, Education and Training, Compensation System, Improvement Plan
목차 (Table of Contents)
1 권건주, "“상게서”", p.12, 2003
2 류충, "재난관리론", 도서출판 한성문화, 2000
3 남기철, "“자원봉사론”", 경기도: 나남출판, 2007
4 채경식, "“위기관리정책론”", 대왕사, p.369, 2004
5 박성래, "韓國의 災異”傳統 科學", 한양대학교 전통과학 연구소, p.223, 1980
6 조휘일,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서울, 홍익재, 2002
7 국민안전처, "“의용소방대 기본교육과정Ⅰ”", 경기:(주)휴먼컬쳐 아리랑, pp.3-16, 2015
8 김태윤, "“국가 재해재난관리 구축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p.62, 2000
9 이천영, "“한국의 고대사회의 재해와 구빈책”", 사학사, p.5, 1971
10 이희덕, "삼국사기에 나타난天災地變記事의 성격", pp.112-118, 1980
1 권건주, "“상게서”", p.12, 2003
2 류충, "재난관리론", 도서출판 한성문화, 2000
3 남기철, "“자원봉사론”", 경기도: 나남출판, 2007
4 채경식, "“위기관리정책론”", 대왕사, p.369, 2004
5 박성래, "韓國의 災異”傳統 科學", 한양대학교 전통과학 연구소, p.223, 1980
6 조휘일,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서울, 홍익재, 2002
7 국민안전처, "“의용소방대 기본교육과정Ⅰ”", 경기:(주)휴먼컬쳐 아리랑, pp.3-16, 2015
8 김태윤, "“국가 재해재난관리 구축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p.62, 2000
9 이천영, "“한국의 고대사회의 재해와 구빈책”", 사학사, p.5, 1971
10 이희덕, "삼국사기에 나타난天災地變記事의 성격", pp.112-118, 1980
11 정창영, "삼국의 천재지변과 그 대책에 대한 연구", 영남대 석사학위 논문, p.91, 1986
12 권건주, "“한국지방정부의재난관리행정체계연구”", 강원대학교 박사 논문집, p.11, 2003
13 김경남, "“지역 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pp.37-42, 2007
14 남궁승태, 류상일, "재난 관련 법률의 해외 비교 고찰 및 시사점", 한국 위기관리논문집 제9권 제1호, pp.131~156, 2013
15 류창진, "“의용소방대조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 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pp.1-51, 2013
16 윤명오, 최돈묵, 이점동, "“한국 의용소방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2권 제4호, pp.95-104, 2008
17 이진경, "“지역사회 자율방범대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학전공 박사학위논문. pp.13, 2016
18 김병욱, "“소방방재조직 구성 체계와 선진국 사례 비교론”", 서울, ㈜킴스정보 전략연구소, pp.130-190 ; 김형도, (2018), 재인용, 2015
19 김형도, "“우리나라 의용소방대의 활동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 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공학박사학위논문, 2018
20 박찬석, "“의용소방대장 리더십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5권 제2호, pp.9-22, 2011
21 김주례, "“지방자치단체의 자원봉사영역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 대학교 행정 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2 정영찬, "“의용소방대 개선방안 연구; 해외 및 청양군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pp.26-49, 2016
23 김성용, "“대형재난 시 민간부문의 역할 - 지역자율방재단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4 전미희, "“국가 위기관리체계의 비교 연구 ?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5 이혜미, "“재난관리에 있어 자원봉사 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시 의용소 방대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pp.6-20, 2008
26 이호동, "“위기관리 역량제고를 위한 법적 개선과제 - 일본 위기관리법 체계분석과 시사점", 한국위기관리논문집 제7권 제4호,pp. 57~76, 2011
27 이점동, "“한국 의용소방대 운영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방재지도자 육성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공학석사학위논문, p.6, pp.30-31, 2005
28 신용식, "“리더십 유형과 조직 성과와의 관계분석; 미국 오클라호마주 의용 소방대를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제28권제4호, pp.73-80, 2014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이해
숭실대학교 정종수리더십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이화여자대학교 정예지나눔리더십
나사렛대학교 김수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