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좋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무엇인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설문지나 면접법과 차별화 된 생리측정치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7116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좋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무엇인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설문지나 면접법과 차별화 된 생리측정치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
본 연구에서는 좋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무엇인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설문지나 면접법과 차별화 된 생리측정치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측정할 것이다. 눈으로부터 얻어진 디자인에 대한 판단을 자율신경계 생리측정치 및 중추신경계 생리측정치를 함께 사용하여 기존에 얻어진 정보를 더욱 상세하고 타당하게 증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측정된 소비자의 반응이 감정적인 과정인지 인지적인 과정인지, 혹은 각성상태인지 아닌지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더해지기 때문에 실험결과를 더욱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해준다. 본 연구에 사용되는 생리측정치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자율신경계 측정치로 피부전도수준, 근전도, 심장박동, 호흡량, 체온이 포함된다. 두 번째는 아이트래커 장비를 통한 동공변화와 시각적 주의 측정이며, 세 번째는 중추신경계 측정치인 fMRI와 EEG이다.
본 연구는 산업디자인에 대한 평가와 반응을 아이트래커 뿐만 아니라 뇌파측정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측정치를 활용함으로써 알아보려는 최초의 연구이다. 장기적이고 다양한 후속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을 통합하고, 더 민감하고 변별력 높은 지표를 찾아내어야 한다. 그리고 누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정량적 모델을 형성하여 산업디자인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하나의 검사측정도구집(battery)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이 궁극적인 이 연구의 목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