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리권 전수조사 및 물수지 분석을 이용한 삽교천 유역의 시·공간적 물부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9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삽교천 유역에서 하천수 사용 허가량 뿐만 아니라 허가이외 수리권을 모두 고려한 시공간적 물부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전체 용수이용량 중 농업용수 이용량은 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허가이외 농업용수의 비율이 83%로 해당유역에서 농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1∼2011년간의 물수급에서는 삽교천 16개 표준유역 중 곡교천 상류에서만 물부족이 예측되었으며, 2009년 관개기 농업용수 사용으로 인한 물부족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강수량이 부족하고 이앙용수가 많이 사용되는 4∼5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허가이외 수리권을 제외하였을 경우에는 물부족이 발생하지 않아, 허가이외 수리권 관리의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삽교천 유역에서 하천수 사용 허가량 뿐만 아니라 허가이외 수리권을 모두 고려한 시공간적 물부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전체 용수이용량 중 농업용수 이용량은...

      본 연구의 목적은 삽교천 유역에서 하천수 사용 허가량 뿐만 아니라 허가이외 수리권을 모두 고려한 시공간적 물부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전체 용수이용량 중 농업용수 이용량은 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허가이외 농업용수의 비율이 83%로 해당유역에서 농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1∼2011년간의 물수급에서는 삽교천 16개 표준유역 중 곡교천 상류에서만 물부족이 예측되었으며, 2009년 관개기 농업용수 사용으로 인한 물부족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강수량이 부족하고 이앙용수가 많이 사용되는 4∼5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허가이외 수리권을 제외하였을 경우에는 물부족이 발생하지 않아, 허가이외 수리권 관리의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patio-temporal water shortage distribution in the Sapgyo catchment considering both permitted and non-permitted water rights obtained from the total water right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ricultural water accounted for 98% of the total water uses with 83% being the non-permitted agricultural water uses. During the 11-year(2001∼2011) simulation period, water shortage was shown only in the upper Gokgyo stream sub-catchment with the highest water stress from April to May in 2009, particularly because of the large demand for rice cultivation associated with low precipitation. As water shortage was not expected to happen when the permitted water rights were not considered, it was concluded that a proper management of non-permitted water rights would be urgent.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patio-temporal water shortage distribution in the Sapgyo catchment considering both permitted and non-permitted water rights obtained from the total water right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results showed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patio-temporal water shortage distribution in the Sapgyo catchment considering both permitted and non-permitted water rights obtained from the total water right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ricultural water accounted for 98% of the total water uses with 83% being the non-permitted agricultural water uses. During the 11-year(2001∼2011) simulation period, water shortage was shown only in the upper Gokgyo stream sub-catchment with the highest water stress from April to May in 2009, particularly because of the large demand for rice cultivation associated with low precipitation. As water shortage was not expected to happen when the permitted water rights were not considered, it was concluded that a proper management of non-permitted water rights would be urg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태성, "금강유역에서의 KModSim을 이용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적용성 검토" 대한토목학회 27 (27): 319-329, 2007

      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Water rights Pilot Survey(Anseongcheon·Sapgyocheon water) repor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344, 2010

      3 Lee, Y. G., "Water disputes and the need for repair to relieve power formulations-a review of civilly repair ticket regulations" KWRA 42 (42): 51-58, 2009

      4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Water Vision 2020"

      5 Choi, Y. H, "Water Rights : Form Law to Public Administration" KWRA 36 (36): 71-85, 2003

      6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Geum River Flood Control Office., "Sapgyocheon water flow measurement report,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7 Labadie, J. W., "Netowrk Model for decision -support in municipal raw water supply" 22 (22): 927-940, 1986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improved regional instream flow assessment, estimating and procurement plan(geumgang region)"

      9 Frevert, D. K., "Intergration of water right and network flow modeling in the Upper Snake River Basin" ASCE 1994

      10 Gwon, H. J, "Foreign water rights case: USA California 州 private use of the river water rights and water rights" 10 (10): 103-120, 2008

      1 정태성, "금강유역에서의 KModSim을 이용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적용성 검토" 대한토목학회 27 (27): 319-329, 2007

      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Water rights Pilot Survey(Anseongcheon·Sapgyocheon water) repor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344, 2010

      3 Lee, Y. G., "Water disputes and the need for repair to relieve power formulations-a review of civilly repair ticket regulations" KWRA 42 (42): 51-58, 2009

      4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Water Vision 2020"

      5 Choi, Y. H, "Water Rights : Form Law to Public Administration" KWRA 36 (36): 71-85, 2003

      6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Geum River Flood Control Office., "Sapgyocheon water flow measurement report,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7 Labadie, J. W., "Netowrk Model for decision -support in municipal raw water supply" 22 (22): 927-940, 1986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improved regional instream flow assessment, estimating and procurement plan(geumgang region)"

      9 Frevert, D. K., "Intergration of water right and network flow modeling in the Upper Snake River Basin" ASCE 1994

      10 Gwon, H. J, "Foreign water rights case: USA California 州 private use of the river water rights and water rights" 10 (10): 103-120, 2008

      11 Law, J., "Development of a large network model to evaluate yield of a proposed reservoir, In Computeriz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Water managers" ASCE 1989

      12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Basin Water Management Technology"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2-219, 2007

      13 An, S. R.,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ique for Hydrological Drought of Agricultural Reservoirs and Their Water Supply Capacity : For Geum River Basin" KWRA 825-843, 2009

      14 Moon, J. W.,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Weather Conditions and Agricultural Water Use" KWRA 1688-1692, 2009

      15 Cheon, B. T, "A Study on Japanese River Law, the Water Rights System" KWRA 32 (32): 9-17,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