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진호,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앤씨 2011
2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 2009
3 현채, "신찬 초등소학" 경진 2012
4 최남선, "시문독본" 신문관 1923
5 조선총독부,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급한문독본(5)" 1911
6 학부편집국,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4)" 1909
7 박찬승, "민족 · 민족주의(한국개념사총서 5)" 소화 2016
8 오형엽, "문학과 수사학" 소명출판 2011
9 노대환, "문명(한국개념사총서 6)" 소화 2010
10 이정찬, "근대적 문종 인식으로서 ‘설명’의 출현과 그 배경"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 강진호,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앤씨 2011
2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 2009
3 현채, "신찬 초등소학" 경진 2012
4 최남선, "시문독본" 신문관 1923
5 조선총독부,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급한문독본(5)" 1911
6 학부편집국,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4)" 1909
7 박찬승, "민족 · 민족주의(한국개념사총서 5)" 소화 2016
8 오형엽, "문학과 수사학" 소명출판 2011
9 노대환, "문명(한국개념사총서 6)" 소화 2010
10 이정찬, "근대적 문종 인식으로서 ‘설명’의 출현과 그 배경"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1 황호덕,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1): 연구편" 박문사 2012
12 김찬기,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와 계몽의 언어" 민족문화연구원 (58) : 621-647, 2013
13 학부편집국, "국민소학독본" 1895
14 휘문의숙, "고둥소학독본" 휘문의숙 1906
15 이경구, "개념의 번역과 창조" 돌베개 2012
16 황호덕,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2): 번역편" 박문사 2012
17 김태준, "‘문(文)’의 전통과 근대 교육제도" 동악어문학 2002
18 강진호, "‘국어’ 교과서의 탄생과 근대 민족주의 ― 「국민소학독본」(1895)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6 : 257-29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