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적 지식 개념의 형성과 담화 구성 전략 - 근대 지식 개념의 형성-경합-분화(1) - = A Study on discourse strategies in the formation of modern knowledge concepts - Formation-Competition-Differentiation of Modern Knowledge in Chosun(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73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actively produced-distributed reading text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looks at the unique discourse strategy used i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knowledge.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discourse strategies could be identified: First, it is a variation of East Asian intellectual tradition that meets the expectation horizon of Implied Reader. Contrary to popular belief,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modern Western concepts of knowledge that emerged during this period, the intellectual traditions of East Asia tend to be very actively utilized as specific examples. Second, it is the rhetoric of discrimination based on nationalistic desires. In the text of the reading during this period, Chosun, unlike the Red race and the Black race, is shaped as a nation capable of building a modern nation. And to this end, the strategy of distinguishing the neighboring peoples by calling them “barbaric” stands out. Third, the strategy of synesthesia discourse composition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adjacent media is prominent. These include poetic forms that emphasize orality, dialogue format that consists of short questions and answers, and visual reproduction through image-telling. As such, the reading text of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haping modern knowledge concepts through various discourse strategies.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actively produced-distributed reading text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looks at the unique discourse strategy used i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knowledge.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discourse strategies could be...

      This paper focuses on actively produced-distributed reading text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looks at the unique discourse strategy used i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knowledge.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discourse strategies could be identified: First, it is a variation of East Asian intellectual tradition that meets the expectation horizon of Implied Reader. Contrary to popular belief,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modern Western concepts of knowledge that emerged during this period, the intellectual traditions of East Asia tend to be very actively utilized as specific examples. Second, it is the rhetoric of discrimination based on nationalistic desires. In the text of the reading during this period, Chosun, unlike the Red race and the Black race, is shaped as a nation capable of building a modern nation. And to this end, the strategy of distinguishing the neighboring peoples by calling them “barbaric” stands out. Third, the strategy of synesthesia discourse composition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adjacent media is prominent. These include poetic forms that emphasize orality, dialogue format that consists of short questions and answers, and visual reproduction through image-telling. As such, the reading text of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haping modern knowledge concepts through various discourse strate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개화기 활발히 생산-유통된 독본 텍스트를 중심으로, 근대적 지식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사용된 고유한 담화 구성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담화 구성 전략이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규명할 수 있었다. 첫째, 내포독자의 기대지평에 부응하는 동아시아 지적 전통의 변용 양상이다.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이 시기 새롭게 등장한 서구의 근대 지식 개념어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의 지적 전통은 구체적인 예시로 매우 활발히 활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내셔널리즘적 욕망에 기반을 둔 구별짓기의 수사학이다. 이 시기 독본 텍스트에서 조선은 홍인종이나 흑인종과는 달리 근대 민족 국가를 건설할 역량을 지닌 민족으로 형상화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주변부 민족을 ‘야만부락’으로 호명하는 구별짓기의 전략이 두드러진다. 셋째, 인접 매체와의 결합을 통한 공감각적 담화 구성 전략이 두드러진다. 구술성을 강조한 시가 양식이나, 짧은 질문과 답으로 구성된 대화 형식은 물론, 이미지텔링을 통한 시각적 재현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개화기 독본 텍스트는 근대적 지식 개념을 다양한 담화 구성 전략을 통해 형상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번역하기

      이 글은 개화기 활발히 생산-유통된 독본 텍스트를 중심으로, 근대적 지식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사용된 고유한 담화 구성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담화 ...

      이 글은 개화기 활발히 생산-유통된 독본 텍스트를 중심으로, 근대적 지식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사용된 고유한 담화 구성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담화 구성 전략이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규명할 수 있었다. 첫째, 내포독자의 기대지평에 부응하는 동아시아 지적 전통의 변용 양상이다.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이 시기 새롭게 등장한 서구의 근대 지식 개념어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의 지적 전통은 구체적인 예시로 매우 활발히 활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내셔널리즘적 욕망에 기반을 둔 구별짓기의 수사학이다. 이 시기 독본 텍스트에서 조선은 홍인종이나 흑인종과는 달리 근대 민족 국가를 건설할 역량을 지닌 민족으로 형상화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주변부 민족을 ‘야만부락’으로 호명하는 구별짓기의 전략이 두드러진다. 셋째, 인접 매체와의 결합을 통한 공감각적 담화 구성 전략이 두드러진다. 구술성을 강조한 시가 양식이나, 짧은 질문과 답으로 구성된 대화 형식은 물론, 이미지텔링을 통한 시각적 재현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개화기 독본 텍스트는 근대적 지식 개념을 다양한 담화 구성 전략을 통해 형상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호,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앤씨 2011

      2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 2009

      3 현채, "신찬 초등소학" 경진 2012

      4 최남선, "시문독본" 신문관 1923

      5 조선총독부,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급한문독본(5)" 1911

      6 학부편집국,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4)" 1909

      7 박찬승, "민족 · 민족주의(한국개념사총서 5)" 소화 2016

      8 오형엽, "문학과 수사학" 소명출판 2011

      9 노대환, "문명(한국개념사총서 6)" 소화 2010

      10 이정찬, "근대적 문종 인식으로서 ‘설명’의 출현과 그 배경"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 강진호,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앤씨 2011

      2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 2009

      3 현채, "신찬 초등소학" 경진 2012

      4 최남선, "시문독본" 신문관 1923

      5 조선총독부,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급한문독본(5)" 1911

      6 학부편집국,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4)" 1909

      7 박찬승, "민족 · 민족주의(한국개념사총서 5)" 소화 2016

      8 오형엽, "문학과 수사학" 소명출판 2011

      9 노대환, "문명(한국개념사총서 6)" 소화 2010

      10 이정찬, "근대적 문종 인식으로서 ‘설명’의 출현과 그 배경"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1 황호덕,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1): 연구편" 박문사 2012

      12 김찬기,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와 계몽의 언어" 민족문화연구원 (58) : 621-647, 2013

      13 학부편집국, "국민소학독본" 1895

      14 휘문의숙, "고둥소학독본" 휘문의숙 1906

      15 이경구, "개념의 번역과 창조" 돌베개 2012

      16 황호덕,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2): 번역편" 박문사 2012

      17 김태준, "‘문(文)’의 전통과 근대 교육제도" 동악어문학 2002

      18 강진호, "‘국어’ 교과서의 탄생과 근대 민족주의 ― 「국민소학독본」(1895)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6 : 257-293,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