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은 작품과 공간이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작가와 대중이 작품과 공간이라는 매개를 통해 서로 소통하는 장소이다. 전시는 작가의 의도가 담긴 작품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창구로서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74829
이정범 (한양여자대학교)
2022
Korean
David Lachapelle ; Dépaysement ; Exhibition ; 데이비드 라샤펠 ; 데페이즈망 ; 전시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26(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시장은 작품과 공간이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작가와 대중이 작품과 공간이라는 매개를 통해 서로 소통하는 장소이다. 전시는 작가의 의도가 담긴 작품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창구로서 정...
전시장은 작품과 공간이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작가와 대중이 작품과 공간이라는 매개를 통해 서로 소통하는 장소이다. 전시는 작가의 의도가 담긴 작품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창구로서 정형화된 형태로 작품이 전시되며 작품이 내재하고 있는 작가의 의도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의 전시 형태를 살펴보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작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전시 형태도 포함하여 의미를 전달 전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데이비드 라샤펠의 전시와 전시 형태를 분석하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작품에서 전시 공간까지 확장하여 더욱 자극적으로 대중에게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데이비드 라샤펠의 작품은 현실의 기록과 비평이라는 주제를 사진이라는 매체에 키치와 데페이즈망과 같은 의미 전달 도구를 활용하여 작품과 전시 공간에 의미를 함께 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비드 라샤펠의 작품과 전시 공간에 표현된 데페이즈망 기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allery space is a place where work and space harmonize; it is a place where artist and the public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work. The exhibition serves as a window to connect the two together. Usually, the work gets displayed i...
The gallery space is a place where work and space harmonize; it is a place where artist and the public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work. The exhibition serves as a window to connect the two together. Usually, the work gets displayed in a standardized form to convey the artist's intentions to the public. However, looking at nowadays exhibition arrangement, it seems that the meaning the artist wants to convey is not only limited through the work, but also through the exhibition form and space. Analyzing David LaChapelle's exhibition format, it is judged that the artist tries to convey his idea to the public in a more stimulating way by extending the meaning from the work to the exhibition space. David LaChapelle's adds Kitsch and Depaysement technique in his photography while targeting the theme in ‘Record/Criticism of reality’. This becomes more observable in a specifically planned exhibition spac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Depaysement technique that were both conveyed in David LaChapelle's work and in the exhibition space.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한솔, "현대 공간의 데페이즈망 특성에 관한 연구 : 르네 마그리트 작품 분석을 통해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0
2 김세리, "초현실주의적 표현 연구: 데페이즈망을 적용한 사진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3 안영주, "모던디자인의 젠더 관념과 페미니스트 디자인사 기록으로서의 전시"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6 (16): 69-80, 2019
4 이정열, "데페이즈망을 활용한 현대 실내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79-86, 2007
5 정용해, "데페이즈망 분석을 통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5 (15): 19-30, 2018
6 이석훈 ; 김지은, "데페이즈망 개념을 통해 본 샤넬 패션쇼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265-276, 2022
7 김은영, "데이빗 라샤펠(David LaChapelle, 1963~ )의 작품에 대한 연구 : 1985년부터 2006년 사이의 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1 장한솔, "현대 공간의 데페이즈망 특성에 관한 연구 : 르네 마그리트 작품 분석을 통해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0
2 김세리, "초현실주의적 표현 연구: 데페이즈망을 적용한 사진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3 안영주, "모던디자인의 젠더 관념과 페미니스트 디자인사 기록으로서의 전시"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6 (16): 69-80, 2019
4 이정열, "데페이즈망을 활용한 현대 실내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79-86, 2007
5 정용해, "데페이즈망 분석을 통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5 (15): 19-30, 2018
6 이석훈 ; 김지은, "데페이즈망 개념을 통해 본 샤넬 패션쇼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265-276, 2022
7 김은영, "데이빗 라샤펠(David LaChapelle, 1963~ )의 작품에 대한 연구 : 1985년부터 2006년 사이의 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바이오헬스 관련 전시 사례연구 - 국내 외 과학관 사례를 중심으로 -
메타버스 개념을 적용한 안전체험관 체험 콘텐츠에 관한 기초적 연구
18세기 픽처레스크 미학 측면의 전시 유형에 관한 연구 - 뮤지엄의 온·오프라인 병행적 전시를 중심으로 -
국내 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의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열린 수장고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