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호박의 지방산 조성 =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umpki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63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호박의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gas chromatography법으로 분리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호박의 일반성분은 수분 57.3%, 탄수화물 40%, 조단백질 2.2%, 조지방 0.1%, 조회분 0.4%이었다. 지방...

      호박의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gas chromatography법으로 분리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호박의 일반성분은 수분 57.3%, 탄수화물 40%, 조단백질 2.2%, 조지방 0.1%, 조회분 0.4%이었다. 지방산은 15종이 검출되었고, 호박의 성장일수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C_14:0, C_15:0, C_16:1, C_17:0, C_18:0, C_18:1등은 20일 경과된 때가 많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_20:2, C_20:3, C_20:0은 어린 호박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C_18:3인 경우는 완전히 노랗게 익은 것이 어린 것일 때보다 90% 정도 증가하였다. C_16:0의 경우는 C(22.5%), B(22.9%), A(26.6%)를 보여 커짐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C_16:1와 C_18:1의 경우는 A가 가장 적고 C가 가장 높았다. Docosahexaeno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의 전구체인 ω-3 fatty acids인 α-linoleic acid가 44.8%로 가장 많았으며, linoleic acid(17.2%), stearic acid(3.5%) 등이었다. 그리고 polyunsaturated fatty acid가 62.2%이었고, n-6은 17.4%이었으며, n-3/n-6 ratio는 2.6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umpkins, this study was designed. Three samples of Korean pumpkins, A(yellowish ripe), B(unripe, 30 days old) and C(unripe, 20 days old) were used for fatty acid analysis by gas chromatogr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umpkins, this study was designed. Three samples of Korean pumpkins, A(yellowish ripe), B(unripe, 30 days old) and C(unripe, 20 days old) were used for fatty acid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Pumkin C , B and A showed 10, 12 and 15 kinds of fatty acids, respectively. In case of palmitic acid(C_16:0), pumpkin C, B and A showed 22.5%, 22.9% and 26.6%, respectively. In case of α-linolenic acid(C_18:3), pumpkin C, B and A showed 22.6%, 23.6% and 44.8%, respectively. In case of palmitoleic acid(C_16:1), pumpkin C. B and A showed 12.4%, 10.1% and 0.5%, respectively. In case of oleic acid(C_18:1), pumpkin C. B and A showed 9.2%, 7.7% and 2.8%, respectively, In case of stearic acid(C_18:0), pumpkin C, B and A showed 4.5%, 3.7% and 3.5%, respectively. The ratio of P/S was 1.4, 1.6 and 1.9 for sample C, B and A, respectively. The ratio of ω-3/ω-6 was 1.1, 0.9 and 2.6 for sample C, B and A,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ripe pumpkin (sample A) was thought to be good enough in nutritional aspects of fatty acids, particulary α-linoleic acid, C18:3(ω-3) se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