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나물 형태의 삼나물, 미역취, 다래순, 방풍나물, 생채인 참나물의 75%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 방지 활성, α-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84573
2015
Korean
594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164-169(6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묵나물 형태의 삼나물, 미역취, 다래순, 방풍나물, 생채인 참나물의 75%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 방지 활성, α-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
묵나물 형태의 삼나물, 미역취, 다래순, 방풍나물, 생채인 참나물의 75%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 방지 활성, α-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함량을 구하여 이들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삼나물과 다래순에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삼나물, 다래순, 방풍나물에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미역취와 다래순에서 높았다. 삼나물 추출물은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다래순 추출물은 다른 산채에 비해 토코페롤 함량이 높았다. 산채 추출물의 산화 방지 성분 함량과 in vitro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플라보노이드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r2=0.8895)를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으나, α-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이 높았던 삼나물과 다래순은 항당뇨, 항비만 활성을 가진 잠재적인 식품 자원으로 기대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tioxidant content,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samnamul (shoot of Aruncus dioicus), miyeokchwi (Solidago virgaurea), daraesoon (shoot of Ac...
This study evaluate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tioxidant content,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samnamul (shoot of Aruncus dioicus), miyeokchwi (Solidago virgaurea), daraesoon (shoot of Actinidia arguta Planchon), and bangpungnamul (leaves of Ledebouriella seseloides), as muknamul, and fresh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Tocopherol content (4.8-78.3 mg/100 g) of sanchae was lower than polyphenols (4.4-12.2 g/100 g). Daraesoon with high tocopherol contents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Samnamul had the highest level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ntioxidant activity was correlated with flavonoid content (r2=0.8895), bu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other antioxidants tested, suggesting that polyphenol content in samnamul, miyeokchwi, daraesoon, bangpung, and chamnamul might not be critical determinant of antioxidant activity.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samnamul and daraesoon could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obes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생약 추출물의 탐색"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221-226, 2006
2 신소림, "추출방법 및 용매에 따른 청나래고사리의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1 (21): 56-61, 2011
3 이종국, "지질분해효소 저해물질 함유 약용식물의 선발 및 저해물질 추출조건" 한국약용작물학회 20 (20): 1-7, 2012
4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5 이인순, "산채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생물공학회 27 (27): 114-120, 2012
6 김현영,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용매분획물의 항산화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508-1514, 2012
7 이정민, "마전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43-1248, 2010
8 오수정, "돌김의 조성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403-408, 2013
9 장주리, "도라지 부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65-71, 2011
10 남유경, "국내 자생 산채류의 연구현황과 개발 가능성"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8 (8): 1-10, 2005
1 김영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생약 추출물의 탐색"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221-226, 2006
2 신소림, "추출방법 및 용매에 따른 청나래고사리의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1 (21): 56-61, 2011
3 이종국, "지질분해효소 저해물질 함유 약용식물의 선발 및 저해물질 추출조건" 한국약용작물학회 20 (20): 1-7, 2012
4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5 이인순, "산채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생물공학회 27 (27): 114-120, 2012
6 김현영,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용매분획물의 항산화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508-1514, 2012
7 이정민, "마전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43-1248, 2010
8 오수정, "돌김의 조성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403-408, 2013
9 장주리, "도라지 부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65-71, 2011
10 남유경, "국내 자생 산채류의 연구현황과 개발 가능성"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8 (8): 1-10, 2005
11 김희연,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308-315, 2011
12 Davidson MH, "Weight control and risk factor reduction in obese subjects treated for 2 years with orlista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81 : 235-242, 1999
13 Chun J,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raw and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United States diet" 19 : 196-204, 2006
14 Kim YD,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wild vegetables in Korea" 15 : 10-16, 1986
15 MFDA, "Korean Food Standards Codex. Method 1.1.1.1, 1.1.2, 1.1.3.1, 1.1.4.3, 1.1.5.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16 안해천, "In vitro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Antioxidants of Samnamul (Aruncus dioicus) during Rehydration and Cooking" 한국식품과학회 23 (23): 1287-1293, 2014
17 Qi L, "Genes, environment, and interactions in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A focus on physical activity and lifestyle changes" 8 : 519-532, 2008
18 Ahn SY,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cultivation of wild vegetable crops" 27 : 36-, 2009
19 최준혁, "Cr3+ 또는 Selenium 첨가 배양액으로 재배한 치커리의 항산화활성 및 α-glucosidase저해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9 (29): 53-59, 2014
20 Scheen AJ, "Clinical efficacy of acarbose in diabetes mellitus: A critical review of controlled trials" 24 : 311-320, 1998
21 Cho YO,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Korean wild leafy vegetables: Aster scaber and Ligularia fischeri" 7 : 146-150, 2002
22 Wang SY,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51 : 1506-1512, 2003
23 Han KS,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dible mountain herb juices against Trp-P-1 and 2-AF" 7 : 161-168, 1992
24 손아영, "(+)-Catechin 가열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물질 분리 및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242-249, 2013
인스턴트커피에 커피크리머, 탈지분유, 설탕의 첨가가 휘발성향기성분과 맛에 미치는 영향
옥수수 섬유질로부터 검과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의 수율향상을 위한 압출성형 조건의 최적화
원주산과 옥천산 참옻나무의 부위별 flavonoid 및 urushiol 함량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0-1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08 | 2.01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