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규산나트륨은 우리나라 식품첨가물공전에 등록되어 있는 품목으로 식용유지류의 여과보조제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최종식품 완성 전에 제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84570
2015
Korean
594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145-148(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메타규산나트륨은 우리나라 식품첨가물공전에 등록되어 있는 품목으로 식용유지류의 여과보조제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최종식품 완성 전에 제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
메타규산나트륨은 우리나라 식품첨가물공전에 등록되어 있는 품목으로 식용유지류의 여과보조제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최종식품 완성 전에 제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샥스핀 등 수산물에 중량 증량의 목적으로 메타규산나트륨을 불법 사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메타규산나트륨의 사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메타규산나트륨의 수용액은 강알칼리성용액으로 식품에 첨가되면 해리되어 그 자체로 분석할 수 없으며, 규소 양의 측정을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추정할 경우 시료 자체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규소와 구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규산나트륨의 첨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메타규산나트륨 수용액에 가공되지 않은 상어지느러미를 침지하여 중량의 증가, pH 및 규소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를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러나 Robberecht 등(7)의 연구결과 6종의 어류에서 규소가 1.77-84.19 mg/kg의 범위에서 검출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수산물의 종류와 개체 간에 규소 함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샥스핀의 규소 함량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좀 더 보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 이후에 대조군과 pH, 수분 및 규소 함량 비교를 통해 메타규산나트륨 사용 여부를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Korea Food Additives Code, sodium metasilicate is permitted for use as a filtering agent for edible oils and fats. Sodium metasilicate is currently used as a food additives to increase the weight of shark fins. In this study, we devel...
According to the Korea Food Additives Code, sodium metasilicate is permitted for use as a filtering agent for edible oils and fats. Sodium metasilicate is currently used as a food additives to increase the weight of shark fi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nalytical method to quantify sodium metasilicate in food. Sodium metasilicate content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pH and silicon content of shark fins. Silicon content was analyz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following microwave-assisted digestion with HNO<SUB>3</SUB> (65%) and H<SUB>2</SUB>O<SUB>2</SUB> (30%). Shark fin total silicon content was 7.17±8.92 mg/kg, while the soluble silicon content was 2.34±3.80 mg/kg. After soaking raw shark fin in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metasilicate, fin weight, pH and silicon content were measured. These results would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shark fins safety manag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Sripanyakorn S, "The silicon content of beer and its bioavailability in healthy volunteers" 91 : 403-409, 2004
2 Coradin T, "The silicomolybdic acid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ilicate/biopolymer interaction studies" 18 : 567-576, 2004
3 Woods JT, "The molybdenum blue reaction: A spectrophotometric study" 13 : 760-764, 1941
4 Korean of Society Food Science and Technology, "Terminology dictionary of food science"
5 Galhardo CX,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phosphate and silicate by sequential injection using molybdenum blue chemistry" 417 : 191-200, 2000
6 Casey TR, "Silicon in beer and brewing" 90 : 784-788, 2010
7 EPA, "Methods for Chemical Analysis of Water and Wastes. Method 370.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3
8 Robberecht H, "Dietary silicon intake in Belgium: Sources, availability from foods, and human serum levels" 407 : 4777-4782, 2009
9 Jugdaohsingh R, "Dietary silicon intake and absorption" 75 : 887-893, 2002
10 Dejneka W, "Determination of total and bioavailable silicon in selected foodstuffs" 14 : 193-196, 2003
1 Sripanyakorn S, "The silicon content of beer and its bioavailability in healthy volunteers" 91 : 403-409, 2004
2 Coradin T, "The silicomolybdic acid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ilicate/biopolymer interaction studies" 18 : 567-576, 2004
3 Woods JT, "The molybdenum blue reaction: A spectrophotometric study" 13 : 760-764, 1941
4 Korean of Society Food Science and Technology, "Terminology dictionary of food science"
5 Galhardo CX,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phosphate and silicate by sequential injection using molybdenum blue chemistry" 417 : 191-200, 2000
6 Casey TR, "Silicon in beer and brewing" 90 : 784-788, 2010
7 EPA, "Methods for Chemical Analysis of Water and Wastes. Method 370.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3
8 Robberecht H, "Dietary silicon intake in Belgium: Sources, availability from foods, and human serum levels" 407 : 4777-4782, 2009
9 Jugdaohsingh R, "Dietary silicon intake and absorption" 75 : 887-893, 2002
10 Dejneka W, "Determination of total and bioavailable silicon in selected foodstuffs" 14 : 193-196, 2003
11 Bowen HJM, "Determination of the silicon content of food" 35 : 1225-1229, 1984
1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products in Korea"
13 Mojsiewicz-Piekowska K, "Analytical fractionation of silicon compounds in foodstuffs" 14 : 153-162, 2003
14 Powell JJ, "A provisional database for the silicon content of foods in the United Kingdom" 94 : 804-812, 2005
인스턴트커피에 커피크리머, 탈지분유, 설탕의 첨가가 휘발성향기성분과 맛에 미치는 영향
옥수수 섬유질로부터 검과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의 수율향상을 위한 압출성형 조건의 최적화
원주산과 옥천산 참옻나무의 부위별 flavonoid 및 urushiol 함량 비교
우리나라 일부 산채의 in vitro 산화 방지 활성, 알파-글루코시데이스와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활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0-1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08 | 2.01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