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정숙, "한국에서의 「論語」의 수용과 전개" 20 : 359-387, 2000
2 송일기, "조선시대에 간행된 干支本 大學의 刊年推定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193-213, 2004
3 안현주, "조선시대 <사서>의 판본 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7
4 당윤희, "韓國所藏 中國本《四書大全》版本 小考" 중국어문학연구회 (43) : 375-394, 2007
5 "朝鮮王朝實錄"
6 김문식, "朝鮮時代 中國書籍의 輸入과 刊行: 四書․五經大全을 중심으로" 29 : 121-140, 2006
7 우정임, "朝鮮初期 書籍輸入․刊行과 그 性格: 性理學書를 중심으로" 24 : 39-69, 2000
8 이강범, "明代 ꡔ五經大全ꡕ 纂修의 배경과 經學史的 意義" 중국어문학연구회 (74) : 431-457, 2012
9 全在東, "四書大全의 收容과 그 意味" 20 : 89-123, 2008
10 鄭亨愚, "五經․四書大全의 輸入 및 그 刊行 廣布" 63 : 1-27, 1989
1 송정숙, "한국에서의 「論語」의 수용과 전개" 20 : 359-387, 2000
2 송일기, "조선시대에 간행된 干支本 大學의 刊年推定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193-213, 2004
3 안현주, "조선시대 <사서>의 판본 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7
4 당윤희, "韓國所藏 中國本《四書大全》版本 小考" 중국어문학연구회 (43) : 375-394, 2007
5 "朝鮮王朝實錄"
6 김문식, "朝鮮時代 中國書籍의 輸入과 刊行: 四書․五經大全을 중심으로" 29 : 121-140, 2006
7 우정임, "朝鮮初期 書籍輸入․刊行과 그 性格: 性理學書를 중심으로" 24 : 39-69, 2000
8 이강범, "明代 ꡔ五經大全ꡕ 纂修의 배경과 經學史的 意義" 중국어문학연구회 (74) : 431-457, 2012
9 全在東, "四書大全의 收容과 그 意味" 20 : 89-123, 2008
10 鄭亨愚, "五經․四書大全의 輸入 및 그 刊行 廣布" 63 : 1-27,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