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 두 언어간의 연구 및 대비는 교학, 번역 등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고있다. 조선어 피동과 중국어에서의 관계에 대하여 류영록은 《조중문법대비》와 《한중번역교본》에서 조중 피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26403
2013
Korean
학술저널
58-64(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조중 두 언어간의 연구 및 대비는 교학, 번역 등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고있다. 조선어 피동과 중국어에서의 관계에 대하여 류영록은 《조중문법대비》와 《한중번역교본》에서 조중 피동...
조중 두 언어간의 연구 및 대비는 교학, 번역 등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고있다. 조선어 피동과 중국어에서의 관계에 대하여 류영록은 《조중문법대비》와 《한중번역교본》에서 조중 피동의 구성방식, 조중 피동법과 동사, 조중 피동법의 NP의 특점 등을 분석하였다.
본 론문에서는 주로 우인혜의 《우리말 피동 연구》와 류영록의 《조한어문법대비》의 리론에 근거하여 《조선말대사전》, 《?代???典》에 수록된 어휘를 기초로 조선어에서 널리 인정되는 피동의 세가지 류형중에서 “이, 히, 기, 리”라는 피동접미사로 이루어진 피통문 그리고 접미피 동문의 동사형태, 행동자표시, 문형 등과 중국어에서의 “被”자구를 대비함으로써 조선어 접미피 동문은 중국어 피동문과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