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영향평가의 적정성에 대한 현행 사법심사 기준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43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discuss the current judicial test with respect to the adequacy of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and to suggest its alternative test. Judicial observance of the substantial adequacy of administrative actions should not be abdicated just on the basis that EIS has been discussed by the MOE(Minister of Environment).
      The current judicial review test that the extraordinary inadequacy of EIS could make void of a permit by the administrative is to be revisited and supplanted with as follows:
      The informations relating to alternative of proposed actions and mitigation measures are proper and sufficient enough to serve the primary purpose of EIS, ultimately of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FAEP), that EIS must be able to inform the public and ensure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its actions being considered by agency, consequently support reasonable decision-making of the agency. If not as such, EIS would be found inadequate under FAEP, which would be a reason to set aside actions in ques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discuss the current judicial test with respect to the adequacy of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and to suggest its alternative test. Judicial observance of the substantial adequacy of administrative 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discuss the current judicial test with respect to the adequacy of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and to suggest its alternative test. Judicial observance of the substantial adequacy of administrative actions should not be abdicated just on the basis that EIS has been discussed by the MOE(Minister of Environment).
      The current judicial review test that the extraordinary inadequacy of EIS could make void of a permit by the administrative is to be revisited and supplanted with as follows:
      The informations relating to alternative of proposed actions and mitigation measures are proper and sufficient enough to serve the primary purpose of EIS, ultimately of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FAEP), that EIS must be able to inform the public and ensure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its actions being considered by agency, consequently support reasonable decision-making of the agency. If not as such, EIS would be found inadequate under FAEP, which would be a reason to set aside actions in ques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환경영향평가 내용의 부실이 승인 등 처분의 적법성에 미치는 영향
      • Ⅲ. 현행 사법심사기준의 대안 탐색
      • Ⅳ. 환경영향평가 내용의 적정성 여부에 관한 사법심사의 유형별 고찰
      • Ⅴ. 나가며
      • Ⅰ. 들어가며
      • Ⅱ. 환경영향평가 내용의 부실이 승인 등 처분의 적법성에 미치는 영향
      • Ⅲ. 현행 사법심사기준의 대안 탐색
      • Ⅳ. 환경영향평가 내용의 적정성 여부에 관한 사법심사의 유형별 고찰
      • Ⅴ.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주, "환경영향평가제도" 한국환경법학회 9 : 1987

      2 조홍식, "환경영향평가절차의 이행방안에 관한 소고" 환경영향평가정책연구회 1999

      3 박균성, "환경영향평가의 하자와 사업계획승인처분의 효력, 행정판례연구 Ⅶ" 2002

      4 이영창, "환경소송에서 행정청의 재량에 대한 사법심사의 방법과 한계" 49 : 2009

      5 김홍균, "환경법-문제․사례" 홍문사 2007

      6 박균성, "환경법(제4판)" 박영사 2010

      7 김홍균, "환경법" 홍문사 2010

      8 김해룡, "행정상의 미래예측의 법리-독일의 경우를 중심으로" 21 :

      9 정하중, "행정법에 있어서 재량과 판단여지 그리고 사법심사의 한계" 서강법학 1995

      10 Jeffrey M. Gaba, "미국 환경법" 형설출판사 2005

      1 김원주, "환경영향평가제도" 한국환경법학회 9 : 1987

      2 조홍식, "환경영향평가절차의 이행방안에 관한 소고" 환경영향평가정책연구회 1999

      3 박균성, "환경영향평가의 하자와 사업계획승인처분의 효력, 행정판례연구 Ⅶ" 2002

      4 이영창, "환경소송에서 행정청의 재량에 대한 사법심사의 방법과 한계" 49 : 2009

      5 김홍균, "환경법-문제․사례" 홍문사 2007

      6 박균성, "환경법(제4판)" 박영사 2010

      7 김홍균, "환경법" 홍문사 2010

      8 김해룡, "행정상의 미래예측의 법리-독일의 경우를 중심으로" 21 :

      9 정하중, "행정법에 있어서 재량과 판단여지 그리고 사법심사의 한계" 서강법학 1995

      10 Jeffrey M. Gaba, "미국 환경법" 형설출판사 2005

      11 조해현, "건축허가와 환경문제, 환경법의 제문제(하)" 법원도서관 2002

      12 金敏培, "美國의 環境影響評價와 司法審査" 한국토지공법학회 14 : 241-265, 2001

      13 日本辯護士聯合會, "ケースメソド 環境法(弟2版)" 日本評論社 2006

      14 Lauren E. Schmidt, "Recent Developments i Climate Change Law" 37 : 63-, 2008

      15 David C. Shilton, "Is the Supreme Court Hostile to NEPA? Some Possible Explanations for a 12-0 Record" 20 : 551-, 1992

      16 Steven Ferrey, "Environmental Law(Fifth Edition)" Aspen Publishers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69 1.034 1.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