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사회 연결망이 청소년 정치사회 참여에 미치는 구조 분석 -정치사회 관심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Social Capital, Political Interest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uth Facebook Network Stru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0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 시간과 접촉하는 친구 수가 친구의 정치사회 관심이라는 변수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그리고 정치사회 참여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 시간과 접촉하는 친구 수가 친구의 정치사회 관심이라는 변수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그리고 정치사회 참여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주요 관심은 페이스북 이용이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그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의 유형이 청소년의 정치사회참여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대한 인지는 페이스북을 통해 교류하는 친구의 숫자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대한 인지는 교량적 사회자본을 매개하여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결속적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은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의 정도는 정치사회 참여 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to study the network characters of youth Facebook network and its power as a new medium of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sharing. We explore to classifies social capital into two different forms: bridging network and bon...

      The goal of this paper to study the network characters of youth Facebook network and its power as a new medium of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sharing. We explore to classifies social capital into two different forms: bridging network and bonding network, and then analyzes the linkage between them. By comparing how many youth have facebook friends and how often they use them,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youth facebook network that effect the linkage beh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 structure was studied for a particular type of social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zing this structur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capital,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factors that occur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혜영,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이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경로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41-166, 2014

      2 김영인, "청소년의 대한민국청소년의회 참여경험과 시민성 변화" 한국청소년학회 14 (14): 99-127, 2007

      3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63-92, 2007

      4 이윤주,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천중심 기능학습의 필요성 -사회과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치참여 연구동향을 기반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85-113, 2015

      5 정재열, "지속가능한 사회연결망서비스(SNS)를 위한 연구사회적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87) : 182-208, 2014

      6 이윤주, "의사소통 연결망이 청소년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어린이청소년참여위원회의 집합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7 이소영, "웹 2.0 시대 온라인 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 대학생 유권자의 정치행태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4 (24): 89-116, 2012

      8 금희조,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9-46, 2010

      9 금희조,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48-371, 2010

      10 박진우,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신뢰성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 (19): 207-219, 2014

      1 유혜영,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이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경로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41-166, 2014

      2 김영인, "청소년의 대한민국청소년의회 참여경험과 시민성 변화" 한국청소년학회 14 (14): 99-127, 2007

      3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63-92, 2007

      4 이윤주,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천중심 기능학습의 필요성 -사회과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치참여 연구동향을 기반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85-113, 2015

      5 정재열, "지속가능한 사회연결망서비스(SNS)를 위한 연구사회적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87) : 182-208, 2014

      6 이윤주, "의사소통 연결망이 청소년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어린이청소년참여위원회의 집합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7 이소영, "웹 2.0 시대 온라인 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 대학생 유권자의 정치행태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4 (24): 89-116, 2012

      8 금희조,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9-46, 2010

      9 금희조,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48-371, 2010

      10 박진우,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신뢰성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 (19): 207-219, 2014

      11 조화순, "소셜네트워크와 정치변동" 한울 아카데미 2012

      12 송경재,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특성과 정치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6 (26): 129-157, 2010

      13 한국인터넷진흥원,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4

      14 심홍진,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microblogging service)와 사회자본(social capital): 트위터 초기사용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27-347, 2010

      15 정낙원,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의 정치 참여 효과 메커니즘 분석: ‘친구들’을 통한 정보습득과 규범 인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73-294, 2013

      16 이창호, "다문화사회 대중매체의 사회통합적 역할 탐구: 다문화정책 담당자 및 다문화방송 제작자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370-414, 2010

      17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8 이기종, "구조방정식모형: 인과성 통계분석 및 추론" 국민대학교 출판부 2012

      19 Kline, R. B., "구조방정식모형 : 원리와 적용" 학지사 2010

      20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2012

      21 Verba. S.,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lism in American politics" Harvard Universiy Press 1995

      22 Ajzen, 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 Hall 1980

      23 Bennett, S., "The ‘digital natives’ debate: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39 : 775-786, 2008

      24 Granovetter, M. S., "The Strength of Weak Ties" 78 (78): 1360-1380, 1973

      25 Valenzuela. S., "The Social Media Basis of Youth Protest Behavior: The Case of Chile" 62 : 299-314, 2012

      26 Gennaro, C., "The Internet and the Public: Online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United Kingdom" 59 (59): 299-313, 2006

      27 Owen, D., "The Internet and politics: Citizens, voters and activists" NY. Routledge 17-33, 2006

      28 Ellison, N, B.,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ʼ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12 : 1143-1168, 2007

      29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63 : 636-654, 2003

      30 Coleman, J.,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s95-s120, 1988

      31 Eveland, W. P. Jr., "Political discussion frequency, network size, and Heterogeneity of discussion as predictions of political knowledge and participation" 59 : 205-224, 2009

      32 Campbell, S. W., "Political Involvement in “Mobilized” Society: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61 : 1005-1024, 2011

      33 Huckfeldt. R., "Patterns of Disagreement in Democratic Politics: Comparing German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49 : 497-514, 2005

      34 Owen, H., "Open space technology" BK Business Book 2008

      35 Subrahmanyam, K., "Online and Offline social network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by emerging adults" 29 : 420-433, 2008

      36 Choi, S., "Network architecture, salience and coordination" 73 (73): 76-90, 2011

      37 Vitak. J., "It's complicated:Facebook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2008 election" 14 : 107-114, 2011

      38 Valenzuela. S., "Is there social capital in a social network site?: Facebook use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rust, and participation" 14 : 875-901, 2009

      39 Waechter, R. M., "Expected and unanticipated consequences of the quali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s" 295 : 2780-2783, 2006

      40 Kushin, M. J., "Did Social Media Really Matter?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media and political decision making in the 2008 election" 13 : 608-630, 2010

      41 Chwe, M.,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in Social Network" 67 : 1-16, 2000

      42 Fishbein, M., "Belief, attitudes,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Pub 1975

      43 Park, N., "Being immersed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Facebook Groups, uses and gratification and social outcomes" 12 : 729-733, 2009

      44 Abercrombie, N., "Audiences: A sociological theory of performance and imagination" Sage Publications 1998

      45 Hartup. W., "Adolescents and their friends" 60 : 3-22, 1993

      46 송인덕, "<나는 꼼수다> 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지식, 정치효능감,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TV, 신문, 인터넷 이용 효과와의 상대적 비교"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7) : 101-147, 2012

      47 통계청, "2014 한국의 주요 사회지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