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따른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 후 교사들의 인식 변화 = Changes of teachers’ perception after online distance learning experien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4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위기 완화를 위해 2020년도 4월에 온라인 원격수업이 전국의 학교에 전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일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면서, 교사들이 보인 인...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위기 완화를 위해 2020년도 4월에 온라인 원격수업이 전국의 학교에 전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일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면서, 교사들이 보인 인식의 변화,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 새로운 교육적 기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전국의 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4월과 8월에 수집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였고, 교사들과 면담을 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온라인 원격수업의 형태는 학기 초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을 포함하는 혼합형 수업이었으나, 학기말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으로 바뀌었다. 관심을 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도입은 학기 내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교사들은 콘텐츠 활용 수업이 온라인 원격수업의 장점을 잘 살리는 수업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온라인 원격수업에 사용되는 콘텐츠는 학기초에는 EBS 제공 동영상이나 교사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학기말에는 민간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의 직접 제작이 학생을 위해 좋다고 생각하나 학기 내내 제작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지속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온라인 원격수업의 기술적 우려는 학기초와 비교해 학기말에는 크게 줄어들었다. 디지털 교과서나 다른 기술 사용은 용이성이 기술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교사들은 학기 초에 온라인 원격수업 운영의 큰 애로사항으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부여 및 참여 유도와 같은 수업 활동을 꼽았고 이는 온라인 원격수업의 적응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교사들은 이로 인해 수업 전문성이 발현되기 어려웠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이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나오므로, 에듀테크를 통해 학사관리나 수업 운영을 지원받는 환경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비대면 수업 기간 동안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개별학습으로 지원하여 교육격차를 완화시키는 기회로 삼는 창의적 적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line distance learning has been forced in 2020 April to alleviate the pandemic crisi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ew educati...

      Online distance learning has been forced in 2020 April to alleviate the pandemic crisi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while experiencing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is study used two survey don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pril and August 2020,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At the beginning of distance learning, a “combined learning format” (including a content applied instructional model) was the most used, but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contents applied” format was most common.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though it ha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it draws most of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contents mostly used were teacher produced contents at the beginning and EBS videos, but at the end private sector produced contents were the mostly used. Teachers recognize that teacher made video contents are effective but they were exhaus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o produce their own contents any more. At the beginning, teachers perceive how to motiva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online learning management as the most difficulty task for online instruction and it remained until the end of the semester. Teachers claimed that those difficulties prohibited teachers’ practice of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Teachers asked the support of EduTech to deal with instructional management and academic activities. Teachers recognized the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schools and showed creative adoption by supporting individualized learning to release educational ga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교육 5대 핵심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2 교육부,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3 김미량, "정보교육을 위한 교재의 이해와 활용" 교육과학사 2018

      4 강명희,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교과교육연구소 13 (13): 937-960, 2009

      5 두민영,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185-210, 2017

      6 박상훈, "온라인 국제교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2015

      7 서울경제, "쌍방향 수업 비중 자사고가 일반고의 4배"

      8 손승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227-251, 2011

      9 김희삼, "교육정책의 숨은 비용: 교사의 노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8 (68): 295-331, 2020

      10 조미헌, "e-Learning 컨텐츠 설계" 교육과학사 2019

      1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교육 5대 핵심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2 교육부,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3 김미량, "정보교육을 위한 교재의 이해와 활용" 교육과학사 2018

      4 강명희,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교과교육연구소 13 (13): 937-960, 2009

      5 두민영,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185-210, 2017

      6 박상훈, "온라인 국제교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2015

      7 서울경제, "쌍방향 수업 비중 자사고가 일반고의 4배"

      8 손승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227-251, 2011

      9 김희삼, "교육정책의 숨은 비용: 교사의 노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8 (68): 295-331, 2020

      10 조미헌, "e-Learning 컨텐츠 설계" 교육과학사 2019

      11 Simonson, M., "Teaching and learning at a distance: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Prentice Hall 2003

      12 김회수,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e-러닝 정책 수용·확산 검사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4 (24): 23-52, 2018

      13 조소영, "Rogers의 혁신의 확산이론에 기반한 초등학교 교사의 e-러닝 확산과 채택" 한국교육공학회 28 (28): 409-438, 2012

      14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39, 1989

      15 Hattie, J., "Hattie Ranking: 252 Influences And Effect Sizes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

      16 Leung, N., "Fast forward china: How COVID-19 is accelerating 5 key trends shaping the Chinese economy" McKinsey & Company 2020

      17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 The Free Press 1995

      18 Moore, G.,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2 (2): 192-222, 1991

      1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OVID-19 확산 예방조치 온라인 개학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학습 현황 1차 조사" KERIS 2020

      20 Harte, C., "Australian Perspective against Covid-19" Presentation material for the CBNU talk 2020

      21 장상현, "AI교육서비스로 교육문제를 해결해 보자"

      22 Fernando, M. R., "2020년 COVID-19 대응을 위한 교육 가이드 프레임워크" OECD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3.7 3.7 3.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9 2.68 3.751 0.7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