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의 권설음화 조음 현상 연구 = A study of the lateral-Chinese retroflex sound in spoken Korea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39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후인 7세, 9세 중국계(한국계 중국인 제외)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측음 조음 오류 현상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는 데 있다. 아동은 가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후인 7세, 9세 중국계(한국계 중국인 제외)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측음 조음 오류 현상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는 데 있다. 아동은 가정에서부터 언어 습득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중국인 어머니로부터 양질의 한국어 교육을 받지 못한 다문화가정 아동은 또래의 한국인 아동보다 한국어 조음 오류가 높다. 특히,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은 설측음을 중국어 권설음화로 조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가 낮을수록 그 오류는 더 많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의 권설음화로 조음하는 현상은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의 권설음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얼화운의 음향적 특징은, F3의 주파수가 큰 폭으로 하강하여 F2에 접근하는데, F2에 접근할수록 권설이다. 그 이유는 F2가 혀의 앞뒤 위치인데, 혀가 뒤로 갈수록 F2는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F3의 주파수가 큰 폭으로 하강하여 F2에 접근한다는 것은 권설음에 가깝다는 뜻이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F3이 F2로 하강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반 가정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다문화가정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도 실험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과 동일한 현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은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권설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진하였던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측음 조음 오류를 실험 연구를 통해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권설음과 한국어 설측음의 음운 체계 대조로 보고 이를 음향음성학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arries out an acoustic and phonetic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7-9-year-old pre-school Chinese children in Korea (excluding mixed Korean-Chines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oth before and after school. It then considers t...

      This study carries out an acoustic and phonetic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7-9-year-old pre-school Chinese children in Korea (excluding mixed Korean-Chines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oth before and after school. It then considers the cause of their pronunciation errors. Children are primarily taught language at home. In Korea, children who do not receive high-quality Korean-language education from Chinese mothers with low proficiency in Korean make more minor errors when speaking Korean than Korean children of the same age. In particula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often pronounce Korean words using a lateral-Chinese retroflex sound; the younger the child and the lower the Chinese mother s proficiency in Korean, the more errors that child is likely to make. This phenomen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attributed to the prevalence of the retroflex sound in Chinese, their mothers’ native tongue. The acoustical feature of this rhotacization is a sharp fall in the F3 frequency, as it approaches F2. F2 resonates at the front and back of the tongue; as the tongue moves lower, so does F2. Approaching F2 with a large drop in the frequency of F3 creates a sound that is close to the Chinese retroflex sou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aware of F3 falling to F2. Although this phenomenon occurs in children and Chines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ver seen in children from Korean families. This show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fluenced by their mother s native language. This study makes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by analyzing the error patterns found in the speech of Chinese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Using an acoustic phonetics analysis, It demonstrates that these error patterns are caused by the Chinese mother’s native language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phonological syst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실험 절차 및 실험 도구 4.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 조음 현상 5.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 분석 결과 6. 결론
      •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실험 절차 및 실험 도구 4.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 조음 현상 5.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 분석 결과 6.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2 신호철, "한국어 유음(流音)의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 - 중국어 모어 화자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 (16) : 2003

      3 석동일, "한국 표준 그림 조음검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121-143, 2002

      4 김현자, "학령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한국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14 (14): 15-28, 2001

      5 박지윤,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통역 보조교사제에 대한 제언" 이화어문학회 29 : 103-125, 2011

      6 범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의 ‘ㄹ’ 발음의 길이와 포먼트에 대한 연구" 대한음성학회 (57) : 43-58, 2006

      7 박지윤,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음운 습득과 산출 오류 양상 : 7세, 9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20

      8 김수진,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2007

      9 김미형, "인지적 대조언어학의 방법론 연구" 한신문화사 2009

      10 김선정, "음운생략과제를 통한 5-6세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및 음운처리능력과의 상관도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6-28, 2006

      1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2 신호철, "한국어 유음(流音)의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 - 중국어 모어 화자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 (16) : 2003

      3 석동일, "한국 표준 그림 조음검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121-143, 2002

      4 김현자, "학령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한국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14 (14): 15-28, 2001

      5 박지윤,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통역 보조교사제에 대한 제언" 이화어문학회 29 : 103-125, 2011

      6 범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의 ‘ㄹ’ 발음의 길이와 포먼트에 대한 연구" 대한음성학회 (57) : 43-58, 2006

      7 박지윤,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음운 습득과 산출 오류 양상 : 7세, 9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20

      8 김수진,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2007

      9 김미형, "인지적 대조언어학의 방법론 연구" 한신문화사 2009

      10 김선정, "음운생략과제를 통한 5-6세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및 음운처리능력과의 상관도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6-28, 2006

      11 권도하, "유아의 언어발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사 22 (22): 102-106, 1979

      12 김영태, "우리말 조음·음운평가" 학지사 2004

      13 김영태, "아동의 음운변동에 관한 연구(Ⅱ) : 대치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치료학회 29-51, 1992

      14 배소영, "아동용 발음평가" 휴브알엔씨 2007

      15 박지윤,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의 관련성에 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박창원, "다문화 사회를 위한 통합과 공존의 조화" 이화어문학회 34 : 5-36, 2014

      17 김영태,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전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 : 7-34, 1996

      18 김민정, "‘아동용 조음검사’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연령" 한국음성과학회 12 (12): 13-13, 2005

      19 Spencer, A., "Towards a Theory of Phonological Development" 68 : 3-8, 1986

      20 Brown, "The role of the L1 grammar in the L2 acquisition of segmental structure" 14 (14): 136-193, 1993

      21 Smith, N. V., "The Acquisition of Phonology : A Case Stu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22 Stoel-Grammon, C.,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University Park Press 1985

      23 엄정희, "3·4·5세 아동의 말소리 발달에 관한 연구: 자음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