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이르는 시기 향교의 재정 운영이 어떠했는지 공주향교를 사례로 살펴본 연구이다. 공주향교는 상대적으로 풍부한 재정 운영자료를 가지고 있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31595
2018
Korean
Gongju(공주 ; 公州) ; Hyangkyo(향교 ; 鄕校) ; Finance(재정 ; 財政) ; Dojo(도조 ; 賭租) ; Heunghak(흥학 ; 興學)
KCI등재
학술저널
79-118(4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이르는 시기 향교의 재정 운영이 어떠했는지 공주향교를 사례로 살펴본 연구이다. 공주향교는 상대적으로 풍부한 재정 운영자료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이르는 시기 향교의 재정 운영이 어떠했는지 공주향교를 사례로 살펴본 연구이다. 공주향교는 상대적으로 풍부한 재정 운영자료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당대 향교 운영의 일면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19세기 후반 흥학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으나 興學을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재원은 마련되지 않았다. 수령의 치적과 관련되어 있다보니 흥학을 위한 재원의 지속성은 담보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공주향교가 주도권을 가지고 흥학을 추진하지 못하였다.
본래 공주향교의 경상 세목은 전답을 위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많은 전답에도 불구하고 파악하지 못한 토지, 경작하지 못해 수취가 불가능한 토지, 흉년으로 감액된 수취액 등으로 실제 거둘 수 있는 수입 액수는 많지 않았다. 회계 운영에서도 독특한 점이 다수 발견된다. 제사와 흥학의 지출을 사용하면서도 대출과 부채를 그대로 유지하는 회계를 운영했다는 점이다. 재정 담당자에게 미리 대출을 해 주고 이자를 받아 이듬해에 사용하는 방식도 확인된다. 공주향교의 재정 지출은 사실상 제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반면 흥학은 단기적인 재원 조달로 유지되고 있었다. 조금 넓게 본다면 공주향교와 관련된 사람들이 향교 재정을 매개로 삶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nancial management of hyangkyo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case of Gongjuhyangkyo. Gongjuhyangkyo had relatively plentiful materials of financial mana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nancial management of hyangkyo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case of Gongjuhyangkyo. Gongjuhyangkyo had relatively plentiful materials of financial management. It showed one side of hyangkyo management in the period. There were continual efforts for heunghak in the late of the 19th century, but there was not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that could support heunghak(興學). It is related to chijuk of suryung, so it could not guarantee continuousness of financial resources for heunghak. Therefore, Gongjuhyangkyo could not promote heunghak with leadership.
Originally, economic-commercial items of Gongjuhyangkyo were formed by focusing on fields and paddles. However, there were not lots of incomes that could be obtained because of the lands that could not be grasped, lands that could not be collected as not cultivated, incomes that were reduced by bad year in spite of the lots of fields and paddles. In the operation of accounts, lots of particular points are discovered. It’s that accounts loans and debts are maintained were treated although using expenditure of jesa and heunghak. There was also the method that granted loans previously to a person in charge of finance, received interests, and used them in next year. Financial expenditure of Gongjuhyangkyo focused on jerye in fact. On the other hand, heunghak was maintained by financial procurement of the short term. In a broad sense, people related to Gongjuhyangkyo lived their lives by a medium of hyangkyo fin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충청남도, "충남의 서원·사우" 충청남도 1999
2 정진영, "조선후기의 예안향교" 5 : 1991
3 강대민, "조선후기 향교의 재정적 기반" 2 : 1986
4 윤희면, "조선후기 향교의 경제기반" 61·62 : 1988
5 윤희면, "조선후기 향교연구" 일조각 1990
6 이성심, "조선후기 도 단위 학교, 영학(營學)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39 (39): 55-94, 2017
7 金聖惠, "조선시대 향교의 재정운영에 관한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4
8 윤희면, "조선 후기 구례향교의 양반유생과 교육활동" 남도문화연구소 (27) : 71-102, 2014
9 왕현종, "단양향교의 토지 관련 고문서 자료와 경제 기반" 13 : 2010
10 이해준, "공주 명탄서원의 연혁과 변천" 20 : 2009
1 충청남도, "충남의 서원·사우" 충청남도 1999
2 정진영, "조선후기의 예안향교" 5 : 1991
3 강대민, "조선후기 향교의 재정적 기반" 2 : 1986
4 윤희면, "조선후기 향교의 경제기반" 61·62 : 1988
5 윤희면, "조선후기 향교연구" 일조각 1990
6 이성심, "조선후기 도 단위 학교, 영학(營學)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39 (39): 55-94, 2017
7 金聖惠, "조선시대 향교의 재정운영에 관한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4
8 윤희면, "조선 후기 구례향교의 양반유생과 교육활동" 남도문화연구소 (27) : 71-102, 2014
9 왕현종, "단양향교의 토지 관련 고문서 자료와 경제 기반" 13 : 2010
10 이해준, "공주 명탄서원의 연혁과 변천" 20 : 2009
11 윤희면, "고종대의 서원 철폐와 양반 유림의 대응" 10 : 1999
12 姜大敏, "韓國의 鄕校硏究"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13 "經國大典"
14 "汗長奴順先告目"
15 국사편찬위원회, "朝鮮社會史資料 2 公州(下)" 국사편찬위원회 1991
16 국사편찬위원회, "朝鮮社會史資料 2 公州(上)" 국사편찬위원회 1991
17 오송희, "朝鮮後期 濟州鄕校 運營實態" 10 : 2001
18 宋贊植, "朝鮮後期 校院生考" 11 : 1977
19 오영교, "朝鮮後期 地方官廳 財政과 殖利活動" 8 : 1987
20 "承政院日記"
21 "忠淸監營啓錄"
22 김세민, "廣州鄕校의 移建과 重修" 서울역사편찬원 (75) : 101-132, 2010
23 崔永浩, "幼學·學生·校生考" 101 : 1984
24 "官學院錄"
25 임선빈, "古文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稷山鄕校의 운영실태" 한국고문서학회 21 : 169-198, 2002
26 "公山誌"
27 李春眞, "19세기후반 湖西地域 鄕校 興學節目의 性格" 公州大學校 大學院 1999
28 김경용, "19세기말 更張期 朝鮮의 교육개혁과 『官學院錄』" 교육사학회 18 (18): 1-38, 2008
29 손지영, "19세기 창원향교 재정과 그 변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0 李政祐, "19~20세기 초 공주지방 유림의 활동과 향촌활동의 성격변화" 11·12 : 2000
31 유기선, "17~18세기 尙州鄕校의 靑衿儒生" 5 : 2017
금산향교 소장 고문서를 통해 본 19세기 錦山의 재지세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