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낱말밭(Wortfeld)이론에 근거하여 현대 국어 중 고발, 심 문, 진술에 관련된 자동사가 지니고 있는 개개의 낱말(word)들이 하나 의 낱말밭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가치(Stellenwert)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낱말밭(Wortfeld)이론에 근거하여 현대 국어 중 고발, 심 문, 진술에 관련된 자동사가 지니고 있는 개개의 낱말(word)들이 하나 의 낱말밭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가치(Stellenwert)를...
이 연구는 낱말밭(Wortfeld)이론에 근거하여 현대 국어 중 고발, 심
문, 진술에 관련된 자동사가 지니고 있는 개개의 낱말(word)들이 하나
의 낱말밭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가치(Stellenwert)를 우리 언어공
동체의 세계관(Weltansicht)과 관련하여 고찰해 보려고 시도된 것이다.
여기에서는 개별 낱말들이 다른 낱말과 변별되는 특성을 해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이희승(1985)「국어대사전」에서 어휘를 발췌하고, 한
글학회 지음(1992)「우리말큰사전」, 신기철·신용철(1982)「새우리말큰사
전」과 김광해(1993)「유의어·반의어사전」에서 어휘를 점검 보충하였다.
이 연구는 글이나 말로써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주장하는 언
표행위(言表行爲)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고발, 심문, 진술
의 낱말밭으로 크게 분류하여 개별 낱말의 분절성을 논의 하려 하다.
논의의 방법은 어휘의 내용(Inhalt)에 따라 원어휘소(Archilexem)를
중심으로하여 부분밭(Teilfeld)으로 분류하고, 먼저 큰밭(Großfeld)의
공통 특성을 논의한 후 여기에서 분절되어 나온 작은 영역의 공통 특성을
부가하였다. 그리고, 개별 낱말의 변별적 특성(Unterscheidende züge)을
추가하였다.
우리는 고발, 심문, 진술 자동사의 분절성(Arikulation, Gliederung)을
고찰함으로써 고발, 심문, 진술 자동사의 의미 요소가 우리 민족의 정신적
중간세계(die geistige Zwischenwelt)에서 어떻게 분절되어 있는가를 밝
히게 되며, 자동사의 어휘체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