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유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적 유능감의 구성요소는 기존연구와 척도의 형식을 따라 다문화 인식 · 다문화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9743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51(2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유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적 유능감의 구성요소는 기존연구와 척도의 형식을 따라 다문화 인식 · 다문화 지...
본 연구는 예비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유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적 유능감의 구성요소는 기존연구와 척도의 형식을 따라 다문화 인식 · 다문화 지식 · 다문화 기술로 나누었다. 문화적 다양성과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관련 문제를 다룬 에피소드 상황에 대한 응답자의 다문화 인식 · 다문화 지식 · 다문화 기술을 측정하였다. 또한, 자기평정식 척도에서 나 타나는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응답자가 문화적 인식 · 지식 · 기술 진술문 뿐만 아니라 이에 대비되는 비문화적 인식 · 지식 · 기술 진술문을 각각 평정하도록 하여 그 점수 차이를 합산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된 척도는 1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며, 양호한 신뢰도를 보이고 내용타당도 · 구인타당도 · 구성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prospective social workers. The scale adopted three constructs of cultural competence, which include multi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It was made up with concrete epi...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prospective social workers. The scale adopted three constructs of cultural competence, which include multi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It was made up with concrete episodes based on which respondents rate sets of competing statements relating to multi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The score of each item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each score of non-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from the corresponding score of 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when cultural statements got higher scores than did non-cultural statements. Each score was summed up to make a total cultural competence score. Through preliminary and main test, 16 episodes and corresponding sets of statement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version. The final scale showed satisfactory level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and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is scale we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진호, "한국경제 빈부격차 심화되는가?" 한울아카데미 2008
2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35): 117-144, 2007
3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취업자격 체류외국인 국적별 현황"
4 김옥순, "청소년의 문화간 역량 연구: 경기도 거주 청소년의 문화지능 검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1-172, 2010
5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조사결과"
6 문용린,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7 정지언, "이문화 집단에 대한 편견과 문화교류 역량을 중심으로 본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219-244, 2012
8 최소연, "원조전문직을 위한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5 (35): 23-53, 2010
9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학술정보 2005
10 송기범,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8 (28): 39-69, 2010
1 윤진호, "한국경제 빈부격차 심화되는가?" 한울아카데미 2008
2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35): 117-144, 2007
3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취업자격 체류외국인 국적별 현황"
4 김옥순, "청소년의 문화간 역량 연구: 경기도 거주 청소년의 문화지능 검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1-172, 2010
5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조사결과"
6 문용린,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7 정지언, "이문화 집단에 대한 편견과 문화교류 역량을 중심으로 본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219-244, 2012
8 최소연, "원조전문직을 위한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5 (35): 23-53, 2010
9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학술정보 2005
10 송기범,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8 (28): 39-69, 2010
11 이재경,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8 (28): 183-204, 2012
12 민선영,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1 : 1-28, 2008
13 최승희, "문화적 민감성 척도 개발"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2008
14 민성혜,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83-206, 2009
15 민무숙,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3,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현황과 정책과제" 여성정책연구원 2009
16 최원희, "다문화적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화적 유능감(cultural competence) 실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6 (26): 89-113, 2008
17 최혜지, "다문화 실천인력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7 (37): 405-439, 2011
18 노충래,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07-231, 2011
19 중앙일보, "다문화 가족정책 사공이 너무 많다"
20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국적별 결혼이민자(국민의 배우자) 체류현황"
21 안상수,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 2012
22 Cross, T. L., "Towards a Cultural System of Care"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1989
23 Cushner, K., "The inventory of cross-cultural sensitivity,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Action: Skill Building Experiences" West Pub. Co 176-179, 1992
24 Gallegos, J., "The ethnic competence model for social work education, In Color in a white society. Silver Spring"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1982
25 Bernae, H., "The confidence of community health nurses in caring for ethnically diverse populations" 19 (19): 201-203, 1987
26 Fong, R., "The Multicultural Awareness-Knowledge-Skills Survey : Social Worker Edition(MAKSS-SW)" University of Hawaa'i-Manoa, School of Social Work 1998
27 문태원, "The Impacts of Language Proficien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national Experience on Cultural Intelligence" 한국인간발달학회 15 (15): 123-145, 2008
28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NASW),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Practice" 2001
29 DeVellis, R. F., "Scale Development" Sage Publications 1991
30 Ponterotto, J, G., "Revision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awareness scale" 30 : 153-180, 2002
31 D'Andrea, M., "New developments in the assessment of multicultural competence : The Multicultural Awareness Knowledge-Skills Survey–Teachers Form, In Handbook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Inc 154-167, 2003
32 Bitonti, C., "Multicultural competence in Nevada human services : A Statewide survey" 4 (4): 67-83, 1996
33 Sue, D. W., "Multicultural Social Work Practice" Wiley 2006
34 장은동, "Lum의 '사회복지 문화적 역량 자기평가'척도 한국판 타당화 및 하위 요인의 구조적 관계 검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35 Weaver, H. N., "Explorations in Cultural Competence" Thomson Brooks/Cole 2005
36 D'Andrea, M., "Evaluating the impact of multicultural counseling training" 70 : 143-150, 1991
37 Sodowsky, G., "Development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Inventory(MCI), A self-report Measure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41 : 137-148, 1994
38 Epstein, R., "Defin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e" 287 (287): 226-235, 2002
39 Lum, D.,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iverse Groups and Justice Issues" Brooks/Cole 2007
40 Plata, M., "Cultural sensitivity in testing"
41 Cuevas, M. C., "Cultural competence, 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of social work students" University of Texas 2002
42 Suarez-Balcazar, Y.,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instrument. Center for capacity building for minorities with disability research"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2010
성인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87 | 2.08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