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동양화의 해외 체험 -일본 전시의 참여와 그 출품작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1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60년대 동양화의 해외 전시 참여와 출품작을 고찰하였다. 특히 일본에서 전시된 동양화를 집중 연구하였다. 여타 서구 국제미술제 출품작과 일본 출품작의 조형성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한국 미술의 해외 진출은 1950년대부터 적극 시도되었다. 특히 1960년대에는 파리 비엔날레, 상파울루 비엔날레를 비롯하여 동시대 작가의 국제 미술제 참여가 활성화되었다. 비엔날레의 출품작에는 주로 추상이 선정되었고, 서양화, 조각 분야에 비해 동양화 분야의 작품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동양화 출품작도 대부분 수묵의 흘림, 번짐 효과를 드러내거나, 한지가 아닌 여타 물성을 활용한 추상 회화였다. 국제 미술제에서 장르를 불문하고 추상이 선택되자 동양화 분야도 이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새로운 추상성 모색에 고심한 것이다.
      1965년 한일 수교가 체결되자 양국의 문화교류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국내 미술인들도 일본을 방문하여 동시대 미술을 발표하였다. 일본 국제 미술제에서도 주로 수묵의 물성과 추상성을 탐색하는 동양화가 출품되었다. 그러나 일본 전시에서는 한지의 특성이나 한국적 채색을 모색하는 작품이 호평을 받았다. 예컨대 한지 바탕의 질감을 응용한 권영우의 물성 실험은 훗날 ≪다섯 가지 흰색≫에서도 소개되었다. 천경자나 박노수의 채색화는 한국의 "민족성"과 "국토애"를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으나, 여전히 일본 채색화의 연장선에서 이를 해석하려는 입장도 발견되었다.
      이렇듯 본 논문은 동양화 작가들이 현대성 담론을 수용하고 이에 맞는 조형성을 고안하여 동시대 미술계에서 주변이 아닌 중심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도 고찰하였다. 이것이 본 논문의 연구 의의라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960년대 동양화의 해외 전시 참여와 출품작을 고찰하였다. 특히 일본에서 전시된 동양화를 집중 연구하였다. 여타 서구 국제미술제 출품작과 일본 출품작의 조형성을 비교하기 위...

      본 논문은 1960년대 동양화의 해외 전시 참여와 출품작을 고찰하였다. 특히 일본에서 전시된 동양화를 집중 연구하였다. 여타 서구 국제미술제 출품작과 일본 출품작의 조형성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한국 미술의 해외 진출은 1950년대부터 적극 시도되었다. 특히 1960년대에는 파리 비엔날레, 상파울루 비엔날레를 비롯하여 동시대 작가의 국제 미술제 참여가 활성화되었다. 비엔날레의 출품작에는 주로 추상이 선정되었고, 서양화, 조각 분야에 비해 동양화 분야의 작품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동양화 출품작도 대부분 수묵의 흘림, 번짐 효과를 드러내거나, 한지가 아닌 여타 물성을 활용한 추상 회화였다. 국제 미술제에서 장르를 불문하고 추상이 선택되자 동양화 분야도 이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새로운 추상성 모색에 고심한 것이다.
      1965년 한일 수교가 체결되자 양국의 문화교류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국내 미술인들도 일본을 방문하여 동시대 미술을 발표하였다. 일본 국제 미술제에서도 주로 수묵의 물성과 추상성을 탐색하는 동양화가 출품되었다. 그러나 일본 전시에서는 한지의 특성이나 한국적 채색을 모색하는 작품이 호평을 받았다. 예컨대 한지 바탕의 질감을 응용한 권영우의 물성 실험은 훗날 ≪다섯 가지 흰색≫에서도 소개되었다. 천경자나 박노수의 채색화는 한국의 "민족성"과 "국토애"를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으나, 여전히 일본 채색화의 연장선에서 이를 해석하려는 입장도 발견되었다.
      이렇듯 본 논문은 동양화 작가들이 현대성 담론을 수용하고 이에 맞는 조형성을 고안하여 동시대 미술계에서 주변이 아닌 중심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도 고찰하였다. 이것이 본 논문의 연구 의의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articipation and exhibition of Oriental paintings in overseas exhibitions in the 1960s. In particular, the paper intensively studies the Oriental paintings exhibited in Japan. This is to compare the formativeness of the works exhibited at other Western international art festivals to those exhibited in Japan. The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art was actively tried since the 1950s. In particular, the 1960s witnessed a wide activation of contemporary artist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art festivals, including the Paris Biennale and the Sao Paulo Biennale. Abstract was mainly selected as the entries for the Biennales, and the Oriental painting world offere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works compared to Western painting and sculpture. Most of the Oriental painting exhibits were abstract paintings that revealed the effects of ink spillage and smearing or the ones that utilized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Korean traditional paper(Hanji). As abstraction was popularly selected at international art festivals by Korean artists regardless of genre, the field of Oriental painting strove to find a means to keep pace with such international trend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developed in earnest. Accordingly, Korean artists also visited Japan to present contemporary art. Oriental painting, mainly exploring the materiality and abstraction of ink, were exhibited at the Japan International Art Festival. Also, there were works that experimented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or explored Korean-style colors. Kwon Young-Woo"s experiments on physical properties applying the textur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ere later introduced in the 〈Five Whites〉 exhibition. Chun Kyung-ja and Pak No-soo"s colorful paintings were regarded as representing Korean nationality and territorial attachment. However, there was still a stance to interpret this group of works as an extension of Japanese color painting.
      As such, this paper examines the perspective of Oriental paintings that entered overseas in the 1960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orts of Oriental painting artists to be recognized as the center (and not the other) of the contemporary art world by embracing the discourse of modernity and devising a formative form that suits such discourse of modernity. This is regarded to b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this paper.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participation and exhibition of Oriental paintings in overseas exhibitions in the 1960s. In particular, the paper intensively studies the Oriental paintings exhibited in Japan. This is to compare the formativeness of the works ...

      This paper examines the participation and exhibition of Oriental paintings in overseas exhibitions in the 1960s. In particular, the paper intensively studies the Oriental paintings exhibited in Japan. This is to compare the formativeness of the works exhibited at other Western international art festivals to those exhibited in Japan. The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art was actively tried since the 1950s. In particular, the 1960s witnessed a wide activation of contemporary artist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art festivals, including the Paris Biennale and the Sao Paulo Biennale. Abstract was mainly selected as the entries for the Biennales, and the Oriental painting world offere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works compared to Western painting and sculpture. Most of the Oriental painting exhibits were abstract paintings that revealed the effects of ink spillage and smearing or the ones that utilized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Korean traditional paper(Hanji). As abstraction was popularly selected at international art festivals by Korean artists regardless of genre, the field of Oriental painting strove to find a means to keep pace with such international trend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developed in earnest. Accordingly, Korean artists also visited Japan to present contemporary art. Oriental painting, mainly exploring the materiality and abstraction of ink, were exhibited at the Japan International Art Festival. Also, there were works that experimented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or explored Korean-style colors. Kwon Young-Woo"s experiments on physical properties applying the textur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ere later introduced in the 〈Five Whites〉 exhibition. Chun Kyung-ja and Pak No-soo"s colorful paintings were regarded as representing Korean nationality and territorial attachment. However, there was still a stance to interpret this group of works as an extension of Japanese color painting.
      As such, this paper examines the perspective of Oriental paintings that entered overseas in the 1960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orts of Oriental painting artists to be recognized as the center (and not the other) of the contemporary art world by embracing the discourse of modernity and devising a formative form that suits such discourse of modernity. This is regarded to b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this pap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국제 미술제와 동양화
      • Ⅲ. 동양화의 일본 전시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국제 미술제와 동양화
      • Ⅲ. 동양화의 일본 전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