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 characters assessment tool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general teacher character factors that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and based on this, develop and validate an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firstly, we have derived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through investigating the literatures, and after ensuring the validity on the contents, and we have ensure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a factor analysis process, and lastly we have conducted a reliability test. The recruited group for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ttend the related departments of vocational education nationwide and graduate students who attend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graduate schools nationwide.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400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from 3 universities of located in Daejeon, Chungnam, and Jeonnam, and have used the 210 responded surveys as our analysis data after excluding unresponsive and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350 collected surveys. As for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fter developing the first evaluation tool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we have restructured or added question items to fit the rea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y asking for advices from 10 currently working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one vocational education professor and seven masters or doctoral degree hold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professional career experiences of teaching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s a result, 77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secu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ol, 59 items of 10 factor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model validity, NC(Normed Chi square) value of 1.871, CFI value of .889, RMSEA value of .65 and RMS(SRMR) value of 0.45(.717) were shown to confirmed that this study model was appropriate. Finally,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tool, ‘negative teacher character’ item showed a value below the threshold level, so we have excluded from the final evaluation tool. As a result, finally 56 question items consisting of 9 factors were developed for teacher character assessment tool for pre-service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general teacher character factors that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and based on this, develop and validate an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teacher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general teacher character factors that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and based on this, develop and validate an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firstly, we have derived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through investigating the literatures, and after ensuring the validity on the contents, and we have ensure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a factor analysis process, and lastly we have conducted a reliability test. The recruited group for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ttend the related departments of vocational education nationwide and graduate students who attend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graduate schools nationwide.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400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from 3 universities of located in Daejeon, Chungnam, and Jeonnam, and have used the 210 responded surveys as our analysis data after excluding unresponsive and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350 collected surveys. As for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fter developing the first evaluation tool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we have restructured or added question items to fit the rea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y asking for advices from 10 currently working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one vocational education professor and seven masters or doctoral degree hold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professional career experiences of teaching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s a result, 77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secu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ol, 59 items of 10 factor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model validity, NC(Normed Chi square) value of 1.871, CFI value of .889, RMSEA value of .65 and RMS(SRMR) value of 0.45(.717) were shown to confirmed that this study model was appropriate. Finally,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tool, ‘negative teacher character’ item showed a value below the threshold level, so we have excluded from the final evaluation tool. As a result, finally 56 question items consisting of 9 factors were developed for teacher character assessment tool for pre-service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일반적인 교직 인성 요소들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구인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다음,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마지막으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직업교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과 직업교육 관련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이다. 이에 대전, 충남, 전남 소재 3개 대학의 특성화고 예비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회수된 350부의 설문지 중 미응답 및 불성실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210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평가 도구 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한 1차 평가 도구 개발 후, 특성화고 현직 교사 10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특성화고 현실에 맞도록 문항을 재구성하거나 추가하여 2차 평가 도구를 개발 하였다. 또한 직업교육 교수 1인, 특성화고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석사 혹은 박사학위 소지자 7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7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설문도구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 요인의 59개 항목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사한 결과, NC(Normed Chi square)값은 1.871, CFI값은 .889, RMSEA값은 .065, RMR(SRMR)값은 .045(.0717)로 나타나 본 연구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설문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부정적 교직 인성’ 항목이 임계치 이하의 수치가 나타나 최종 검사도구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평가 도구는 9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56문항이 개발되었다. 교사는 단순히 자신의 교과지식을 전달하는 자가 아닌 교과를 매개로 하여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자이다. 이때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것은 지식만으로는 부족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일반적인 교직 인성 요소들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일반적인 교직 인성 요소들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구인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다음,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마지막으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직업교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과 직업교육 관련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이다. 이에 대전, 충남, 전남 소재 3개 대학의 특성화고 예비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회수된 350부의 설문지 중 미응답 및 불성실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210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평가 도구 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한 1차 평가 도구 개발 후, 특성화고 현직 교사 10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특성화고 현실에 맞도록 문항을 재구성하거나 추가하여 2차 평가 도구를 개발 하였다. 또한 직업교육 교수 1인, 특성화고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석사 혹은 박사학위 소지자 7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7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설문도구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 요인의 59개 항목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사한 결과, NC(Normed Chi square)값은 1.871, CFI값은 .889, RMSEA값은 .065, RMR(SRMR)값은 .045(.0717)로 나타나 본 연구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설문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부정적 교직 인성’ 항목이 임계치 이하의 수치가 나타나 최종 검사도구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평가 도구는 9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56문항이 개발되었다. 교사는 단순히 자신의 교과지식을 전달하는 자가 아닌 교과를 매개로 하여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자이다. 이때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것은 지식만으로는 부족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인석, "특성화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비행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49-73, 2014

      2 정주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 40 (40): 92-110, 2015

      3 김인곤,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27-52, 2015

      4 장은정, "중등학교 예비교사 인성 평가지표 개발" 교육문제연구소 27 (27): 85-113, 2014

      5 박선형, "중등교원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원자격기준의 체계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307-334, 2005

      6 박성혜,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과 설명 변인: 교사 영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917-936, 2015

      7 정윤경,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 한독교육학회 20 (20): 77-104, 2015

      8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9 조운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적성ㆍ인성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01-123, 2014

      10 김경령,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기점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17-139, 2014

      1 서인석, "특성화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비행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49-73, 2014

      2 정주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 40 (40): 92-110, 2015

      3 김인곤,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27-52, 2015

      4 장은정, "중등학교 예비교사 인성 평가지표 개발" 교육문제연구소 27 (27): 85-113, 2014

      5 박선형, "중등교원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원자격기준의 체계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307-334, 2005

      6 박성혜,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과 설명 변인: 교사 영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917-936, 2015

      7 정윤경,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 한독교육학회 20 (20): 77-104, 2015

      8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9 조운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적성ㆍ인성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01-123, 2014

      10 김경령,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기점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17-139, 2014

      11 서경혜,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47-176, 2013

      12 이미식, "배려의 윤리(Ethic of Ca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인성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109-129, 2003

      13 이해경, "남녀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불안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131-158, 2013

      14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15 홍기칠, "교직적성・인성 검사도구의 적용연구" 22 (22): 113-135, 2006

      16 김정환, "교직적성·인성 검사 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7 강태훈, "교직 적·인성 측정을 위한 중등 예비교사선발 면접방법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275-304, 2013

      18 김종철,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83

      19 문승태, "교사의 근무학교에 따른 직업윤리, 조직몰입 및 조직효과성과의 인과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43-166, 2007

      20 김민웅,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인성 수준 조사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6 (36): 23-46, 2017

      21 김민웅,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59-87, 2016

      22 Merrell, K. W., "강한아이 초등 고학년용" 교육과학사 2014

      23 Merrell, K. W., "강한아이 중학생용" 교육과학사 2014

      24 Merrell, K. W., "강한 청소년 고등학생용" 교육과학사 2015

      25 Sockett, H., "Teacher dispositions: Building a teacher education framework of moral standards" AACTE(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for Teacher Education) 2006

      26 Byrne, B.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EQS, and LISREL: Comparative approaches to testing for the factorial validity of a measuring instrument" 1 (1): 55-86, 2001

      27 노형진, "SPSS를 활용한 주성분분석과 요인분석" 한올출판사 2014

      28 Murphy, K. R.,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enticeHall 1991

      29 Bentler, P. M.,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16 (16): 78-117, 1987

      30 Noddings, N., "Is Teaching a Practice?" 37 (37): 241-251, 2003

      31 Lee. I. J.,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326-343, 2014

      32 Carr, D., "Character in teaching" 55 (55): 369-389, 2007

      33 Kaiser, H. F., "An index of factor simplicity" 39 : 31-36, 1974

      34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