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발해 건국 집단의 분화 · 재편과정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4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중국학계에서 말갈의 중심 묘제로 인식하고 있는 제2송화강 유역의 토광묘를 검토대상으로 삼아, 발해 건국지인 육정산고분군에서 확인된 이후 급격히 석실묘로 대체된 까닭...

      이 논문에서는 중국학계에서 말갈의 중심 묘제로 인식하고 있는 제2송화강 유역의 토광묘를 검토대상으로 삼아, 발해 건국지인 육정산고분군에서 확인된 이후 급격히 석실묘로 대체된 까닭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고고학적 측면에서는 제2송화강 유역의 토광묘가 육정산고분군에서만 그 존재가 확인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문헌학적으로는 건국기 발해의 사회 모습, 말갈 대외 교섭권의 제한과 갈등 과정, 발해와 말갈간의 군사적 갈등, 말갈 세력의 일본으로의 이탈, 발해 사신과 말갈관리의 윗자리 다툼과정 등등의 관련 자료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토광묘에서 석실묘로의 묘제 변화는 발해 건국 과정 및 그 후 정국 운영 과정에서 고구려 유민이 또 다른 주체인 말갈과의 정치적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함으로서 말갈의 정치적 위상이 급격하게 쇠락했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발해 건국 집단의 정치적 분화 · 재편의 결과가 묘제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motive behind the rapid replacement of the stone chamber tomb after the pit-tomb of the second Songhua river basin, the center of the tomb styles of Malgal, was identified in the tombs of Liudingshan, the Balhae establi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motive behind the rapid replacement of the stone chamber tomb after the pit-tomb of the second Songhua river basin, the center of the tomb styles of Malgal, was identified in the tombs of Liudingshan, the Balhae establishment sight. For further examination, this paper took notice of the pit-tomb of the second Songhua river basin that can only be identified in the tombs of Liudingshan in an archealogical aspect.
      In a philological aspec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sources related to the society of Balhae during it’s establishment, the limitations and the discord processes of the international bargaining rights of Malgal, military conflicts between Balhae and Malgal, Malgal groups desert to Japan, the quarrel between the ambassador of Balhae and the administrator of Malgal for higher position, etc.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tomb styles from the pit-tomb to the stone chamber tomb was reflected by the outcomes of the division and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group of Balhae, which was effected by the rapid decline of Malgal’s political standing after the Koguryo migrants secured their leadership through political competition with another main agent, Malgal,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Balhae and the government management process after Balhae was fou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토광묘 조영집단의 말갈에 대한 이해
      • 3. 묘제 변화의 고고학적 해석
      • 4. 발해 건국 중심 세력의 분화 · 재편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토광묘 조영집단의 말갈에 대한 이해
      • 3. 묘제 변화의 고고학적 해석
      • 4. 발해 건국 중심 세력의 분화 · 재편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六頂山渤海墓葬-2005~2009年淸理發掘報告" 文物出版社 187-190, 2012

      2 송기호, "사실과 전제 : 발해 고분 연구의 경우" 25 : 92-, 2000

      3 한규철, "발해의 고구려 역사 계승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33 : 97-116, 2004

      4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사자료집(하)" 동북아역사재단 860-872, 2004

      5 한규철, "발해국의 고구려 계승성 : 고분과 주거문화를 중심으로" 9 : 75-, 1997

      6 이종수, "무덤의 변화양상을 통해 본 부여사 전개과정 고찰" 한국고대학회 (30) : 125-156, 2009

      7 이종수, "고고자료를 통해 본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 검토" 한국고대학회 (33) : 207-234, 2010

      8 孫進己, "高句麗渤海硏究集成-渤海卷3" 哈爾濱出版社 275-, 1994

      9 王承禮, "靺鞨的發展和渤海王國的建立" 3 : 75-, 1979

      10 王志剛, "關于渤海“珍陵”的兩點認識" 4 : 36-, 2009

      1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六頂山渤海墓葬-2005~2009年淸理發掘報告" 文物出版社 187-190, 2012

      2 송기호, "사실과 전제 : 발해 고분 연구의 경우" 25 : 92-, 2000

      3 한규철, "발해의 고구려 역사 계승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33 : 97-116, 2004

      4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사자료집(하)" 동북아역사재단 860-872, 2004

      5 한규철, "발해국의 고구려 계승성 : 고분과 주거문화를 중심으로" 9 : 75-, 1997

      6 이종수, "무덤의 변화양상을 통해 본 부여사 전개과정 고찰" 한국고대학회 (30) : 125-156, 2009

      7 이종수, "고고자료를 통해 본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 검토" 한국고대학회 (33) : 207-234, 2010

      8 孫進己, "高句麗渤海硏究集成-渤海卷3" 哈爾濱出版社 275-, 1994

      9 王承禮, "靺鞨的發展和渤海王國的建立" 3 : 75-, 1979

      10 王志剛, "關于渤海“珍陵”的兩點認識" 4 : 36-, 2009

      11 金毓黻., "關于“渤海貞惠公主墓碑硏究”的補充" 2 : 1956

      12 王俠, "貞惠公主墓與貞孝公主墓" 4 : 139-140, 1985

      13 魏國忠, "論大祚榮政權初稱“靺鞨”" 8 : 229-234, 2014

      14 郝慶雲, "簡述渤海國主體民族的族屬" 2 : 83-, 2003

      15 魏存成, "第二松花江中游地區的靺鞨渤海墓葬" 1 : 44-, 1998

      16 李春紅, "牡丹江中下游地區渤海墓葬硏究" 鄭州大學 2015

      17 郭素美, "渤海的主體民族及其來源" 2 : 231-, 2013

      18 侯莉閩, "渤海珍陵新探" 2 : 33-34, 2002

      19 李蜀蕾, "渤海墓葬類型演變再檢討" 1 : 40-42, 2005

      20 鄭永振, "渤海墓葬硏究" 2 : 9-10, 1984

      21 魏存成, "渤海墓葬的整體面貌和主要特徵" 4 : 16-, 2008

      22 梁玉多, "渤海國號初稱“靺鞨”考" 3 : 36-38, 2006

      23 林相先, "渤海 支配勢力의 變動과 姓氏" 6 : 103-, 1999

      24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楡樹老河深" 文物出版社 119-122, 1987

      25 王承禮, "敦化六頂山渤海墓淸理發掘記" 3 : 208-, 1979

      26 辛巍, "從社會生活習俗看渤海的民族來源" 4 : 117-, 2012

      27 黑龍江省文物考古研究所, "寧安虹鳟魚場1992—1995年度渤海墓地考古發掘報告" 文物出版社 562-, 2009

      28 吉林省文物工作隊, "吉林永吉楊屯第三次發掘" 科學出版社 7 : 23-50, 1991

      29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永吉査里巴靺鞨墓地" 9 : 29-47, 1995

      30 劉景文, "吉林楡樹老河深墓葬群族屬探討" 1 : 23-, 1986

      31 吉林市博物館, "吉林楊屯大海猛遺址" 5 : 120-151, 1987

      3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和龍市龍海渤海王室墓葬發掘簡報" 6 : 26-27, 2009

      33 한규철, "三國과 渤海史에서의 靺鞨" 고려사학회 (58) : 7-32, 2015

      34 "『類聚國史』 卷193 延曆十五年 四月"

      35 "『資治通鑑』 卷201 唐紀18"

      36 "『舊唐書』 卷5 高宗紀. 列傳 第149下 北狄 靺鞨傳ㆍ渤海靺鞨傳"

      37 "『續日本紀』 卷十六 天平 八年"

      38 "『松漠紀聞』 卷上 渤海"

      39 "『新唐書』 卷219 列傳 第144 渤海傳"

      40 "『冊府元龜』 卷964 封冊2. 卷967 繼襲2. 卷971 朝貢4"

      41 김진광, "8世紀 渤海의 遼東進出" 2 : 16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