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노동자와 선주민의 조우와 내적 갈등: 한국 이주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 Encounters, and Internal Tensions between Migrant Worker and Local Resident -An Oral Life History of Migrant Worker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0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ypifies the liv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of the Pakistani male migrant worker in South Korea, and examines the encounters and internal tensions between migrant workers and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the researcher’s biases of migrant workers. Life history is a construction crea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living in a particular society at a certain time by the history and trace of the individual’s life. And a study on the oral life history is to analyze the mov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ociety and the change of individual’s agency orientation through the specific lives of individuals, and to typify a case. When the life of Mr. Kumile, the narrator of this study, is typified, he was born in a poor family, carried out transnational migrant labor and got married internationally. He makes strategic decision of nationality and practices his life as a Muslim simultaneously. The encounter with the migrant worker Mr. Kumile discloses the spatiotemporal backwardness of the Korean researcher who has been bound by narrow nati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This article explores how ignorance arising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other societies, namely, Islamic culture and religion, is causing conflicts in the encounters with migrants. In addition, it also criticizes the limitations of solid national identity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life of Mr. Kumile who maintains his own identity in strategic migration and nationality choices living.
      번역하기

      This article typifies the liv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of the Pakistani male migrant worker in South Korea, and examines the encounters and internal tensions between migrant workers and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th...

      This article typifies the liv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of the Pakistani male migrant worker in South Korea, and examines the encounters and internal tensions between migrant workers and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the researcher’s biases of migrant workers. Life history is a construction crea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living in a particular society at a certain time by the history and trace of the individual’s life. And a study on the oral life history is to analyze the mov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ociety and the change of individual’s agency orientation through the specific lives of individuals, and to typify a case. When the life of Mr. Kumile, the narrator of this study, is typified, he was born in a poor family, carried out transnational migrant labor and got married internationally. He makes strategic decision of nationality and practices his life as a Muslim simultaneously. The encounter with the migrant worker Mr. Kumile discloses the spatiotemporal backwardness of the Korean researcher who has been bound by narrow nati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This article explores how ignorance arising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other societies, namely, Islamic culture and religion, is causing conflicts in the encounters with migrants. In addition, it also criticizes the limitations of solid national identity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life of Mr. Kumile who maintains his own identity in strategic migration and nationality choices liv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으로 이주해 온 파키스탄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초국적 이주의 삶을 유형화해내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자의 편견을 분석하면서 이주노동자와 선주민의 조우와 내적 갈등에 대해 고찰한다. 생애사는 개인의 삶의 이력·흔적으로써 특정 사회 특정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낸 구성물이며, 구술생애사 연구는 개인들의 구체적 생애를 통해 그 사회의 변동과 개인의 행위지향의 변화를 분석하고 하나의 사례를 유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술자인 쿠마일 씨의 생애를 유형화하면,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초국적 이주노동을 감행하였고, 베트남계 한국여성과 결혼 후 전략적으로 국적을 선택함과 동시에 무슬림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초국적 이주노동자의 생애를 보여준다. 이주노동자 쿠마일 씨가 살아온 생애와의 조우는 편협한 국민국가적 경험과 관점에 속박된 한국인 필자의 시공간적 후진성을 들춰낸다. 이 글은 다른 사회의 문화, 즉 이슬람 문화와 종교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발생한 무지가 이주자와의 조우에서 어떤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전략적 이주와 국적 선택 속에서 이슬람정체성을 유지하며 삶을 살아가고 있는 쿠마일 씨의 생애를 통해 선주민이 가진 견고한 국민정체성의 한계를 비판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국으로 이주해 온 파키스탄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초국적 이주의 삶을 유형화해내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자의 편견을 분석하면서 이주노동자와 선주민의 조우와 ...

      이 글은 한국으로 이주해 온 파키스탄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초국적 이주의 삶을 유형화해내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자의 편견을 분석하면서 이주노동자와 선주민의 조우와 내적 갈등에 대해 고찰한다. 생애사는 개인의 삶의 이력·흔적으로써 특정 사회 특정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낸 구성물이며, 구술생애사 연구는 개인들의 구체적 생애를 통해 그 사회의 변동과 개인의 행위지향의 변화를 분석하고 하나의 사례를 유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술자인 쿠마일 씨의 생애를 유형화하면,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초국적 이주노동을 감행하였고, 베트남계 한국여성과 결혼 후 전략적으로 국적을 선택함과 동시에 무슬림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초국적 이주노동자의 생애를 보여준다. 이주노동자 쿠마일 씨가 살아온 생애와의 조우는 편협한 국민국가적 경험과 관점에 속박된 한국인 필자의 시공간적 후진성을 들춰낸다. 이 글은 다른 사회의 문화, 즉 이슬람 문화와 종교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발생한 무지가 이주자와의 조우에서 어떤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전략적 이주와 국적 선택 속에서 이슬람정체성을 유지하며 삶을 살아가고 있는 쿠마일 씨의 생애를 통해 선주민이 가진 견고한 국민정체성의 한계를 비판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미,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7

      2 김준환, "한국 내 이주무슬림의 종교와 문화번역 :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3 "파키스탄 인력송출 양해각서 체결"

      4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5 김남혁, "제국의 시선 : 여행기와 문화횡단" 현실문화 2015

      6 김영천,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27, 2011

      7 이민경, "이주-정착-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2) : 223-264, 2016

      8 김동문, "우리는 왜 이슬람을 혐오할까" 선율 2017

      9 김현미,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돌베개 2014

      10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1 김현미,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7

      2 김준환, "한국 내 이주무슬림의 종교와 문화번역 :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3 "파키스탄 인력송출 양해각서 체결"

      4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5 김남혁, "제국의 시선 : 여행기와 문화횡단" 현실문화 2015

      6 김영천,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27, 2011

      7 이민경, "이주-정착-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2) : 223-264, 2016

      8 김동문, "우리는 왜 이슬람을 혐오할까" 선율 2017

      9 김현미,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돌베개 2014

      10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11 레나토 로살도, "문화와 진리" 아카넷 2000

      12 Gilbert, Kathleen R, "The Emotional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CRC 2001

      13 Brubaker, Rogers,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France and German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14 Shulman, Stephan, "Challenging the Civic/ethnic Dichotomies in the Study of Nationalism" 35 : 2002

      15 Kouritzin, "Bringing Life to Research: Life History Research and ESL" 17 (17): 2000

      16 Wall, Sarah, "An Autoethnography on Learning about Autoethnography" 5 (5): 2006

      17 "2019년 5월 15일, 인천, 4차 인터뷰"

      18 "2019년 12월 12일, 인천, 5차 인터뷰"

      19 "2018년 8월 25일, 인천, 3차 인터뷰"

      20 "2018년 7월 15일, 인천, 2차 인터뷰"

      21 "2018년 7월 14일, 인천, 1차 인터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이민인종연구회 -> 이주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and Ethnicity Studies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Histo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