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서사로서의 『완득이』에 그려진 성장의 의미 = The Meaning of Growth in Wandeuki as a Migration Growth Narra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0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2000, the number of Asian immigrants has explosively increased due to a high number of Southeast Asian laborers entering Korea and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Southeast Asian women and Korean men. As the result, Korean society has rapidl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Most notabl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ot only experience racial discrimination, but they also suffer from identity crisis as well. This paper analyzes the novel, Wandeuki and its eponymous movie as migration growth narratives. They disclose our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al gazes against foreigners. They also show that Korean society tends to unconsciously look down on dark-skinned foreigners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order to grow into adulthood in such a society, the protagonist is required to learn and acquire some essential traits. First, he should learn how to discern the hidden truth from the external appearance, which enables him to figure out the real motives of people. Second, he needs to achieve orality through which he can express what he thinks and feels and persuade others. Orality is a necessary skill in order to be acknowledged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Finally, he also learns how to build relationship with people around him. He especially needs to admit and accept his Vietnamese mother. He also recover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with his father as his father ends up retracting his strong disapproval of him and allowing him to practice kickboxing. It can be said Wandeuk successfully goes through initiation into the adult world in that he finally admits his own identity as a multicultural adolescent and reaches reconciliation with the world.
      번역하기

      Since 2000, the number of Asian immigrants has explosively increased due to a high number of Southeast Asian laborers entering Korea and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Southeast Asian women and Korean men. As the result, Korean society has rapidly ch...

      Since 2000, the number of Asian immigrants has explosively increased due to a high number of Southeast Asian laborers entering Korea and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Southeast Asian women and Korean men. As the result, Korean society has rapidl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Most notabl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ot only experience racial discrimination, but they also suffer from identity crisis as well. This paper analyzes the novel, Wandeuki and its eponymous movie as migration growth narratives. They disclose our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al gazes against foreigners. They also show that Korean society tends to unconsciously look down on dark-skinned foreigners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order to grow into adulthood in such a society, the protagonist is required to learn and acquire some essential traits. First, he should learn how to discern the hidden truth from the external appearance, which enables him to figure out the real motives of people. Second, he needs to achieve orality through which he can express what he thinks and feels and persuade others. Orality is a necessary skill in order to be acknowledged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Finally, he also learns how to build relationship with people around him. He especially needs to admit and accept his Vietnamese mother. He also recover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with his father as his father ends up retracting his strong disapproval of him and allowing him to practice kickboxing. It can be said Wandeuk successfully goes through initiation into the adult world in that he finally admits his own identity as a multicultural adolescent and reaches reconciliation with the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 이후 동남아 출신 이주 노동자들의 증가와 국제결혼의 확대 등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 변화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배태하기 마련이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경우, 부모 세대의 차별을 고스란히 이어받으면서 여기에 더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이로 인한 방황이라는 문제를 떠안는다. 본 연구는 김려령이 쓴 소설 『완득이』와 이를 영화로 각색한 이한 감독의 <완득이>를 이주 성장 서사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주 서사로서의 『완득이』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타자에 대한 무의식적인 차별과 편견을 폭로한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피부색에 근거해 우리와 저들로 구분하며, 이주노동자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감추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편 가르기는 모든 외국인들에게 해당되는 보편적인 구분이 아니라 우리보다 피부색이 더 짙은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민들에게만 해당된다는 점에서 한국인들의 의식에 각인된 뿌리 깊은 백인선호, 흑백 차별, 사대주의 등을 보여준다. 도완득은 장애인 아버지를 둔 가난한 집 아이라는 자신의 환경에 주눅이 들어서 혼자만의 세계에 숨어 지내 온 십칠 세 소년이다. 그러나 자신의 약점과 수치를 세상에 떠벌이면서 세상으로 나오도록 도발하는 담임선생 이동주에 이끌려 세상과 마주하며, 어른으로 성장해 간다. 이 과정에서 완득은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 내면에 숨겨진 실체를 구분해서 사람을 제대로 알아보는 법을 배운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폭력이 아니라 말을 통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을 설득하는 이야기 능력을 배운다. 끝으로, 완득은 타인과 관계 맺는 법을 배운다. 이는 이주여성이라는 소수자 정체성을 지닌 어머니를 공개적으로 수용하고, 장애인이라는 신체적 소수자인 아버지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번역하기

      2000년 이후 동남아 출신 이주 노동자들의 증가와 국제결혼의 확대 등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해가고 있다. ...

      2000년 이후 동남아 출신 이주 노동자들의 증가와 국제결혼의 확대 등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 변화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배태하기 마련이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경우, 부모 세대의 차별을 고스란히 이어받으면서 여기에 더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이로 인한 방황이라는 문제를 떠안는다. 본 연구는 김려령이 쓴 소설 『완득이』와 이를 영화로 각색한 이한 감독의 <완득이>를 이주 성장 서사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주 서사로서의 『완득이』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타자에 대한 무의식적인 차별과 편견을 폭로한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피부색에 근거해 우리와 저들로 구분하며, 이주노동자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감추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편 가르기는 모든 외국인들에게 해당되는 보편적인 구분이 아니라 우리보다 피부색이 더 짙은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민들에게만 해당된다는 점에서 한국인들의 의식에 각인된 뿌리 깊은 백인선호, 흑백 차별, 사대주의 등을 보여준다. 도완득은 장애인 아버지를 둔 가난한 집 아이라는 자신의 환경에 주눅이 들어서 혼자만의 세계에 숨어 지내 온 십칠 세 소년이다. 그러나 자신의 약점과 수치를 세상에 떠벌이면서 세상으로 나오도록 도발하는 담임선생 이동주에 이끌려 세상과 마주하며, 어른으로 성장해 간다. 이 과정에서 완득은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 내면에 숨겨진 실체를 구분해서 사람을 제대로 알아보는 법을 배운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폭력이 아니라 말을 통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을 설득하는 이야기 능력을 배운다. 끝으로, 완득은 타인과 관계 맺는 법을 배운다. 이는 이주여성이라는 소수자 정체성을 지닌 어머니를 공개적으로 수용하고, 장애인이라는 신체적 소수자인 아버지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화선, "청소년 문학에 나타난 성장의 문제: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3 : 2008

      2 김려령, "완득이" 창비 2008

      3 박범종, "영화 <완득이>를 중심으로 본 다문화사회의 차별과 소통"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339-370, 2019

      4 정선주, "소설『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 판타지 고찰: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29-158, 2014

      5 계성, "성장소설로 본 한국의 다문화 공간-중국인 거리, 코끼리, 완득이를 중심으로" 11 : 2016

      6 이기형, "대중문화 텍스트로 진단하는 ‘다문화주의’의 현황: 영화『완득이』를 논의의 주요한 사례와 매개(catalyst)로" 한국언론학회 10 (10): 97-160, 2014

      7 이미림, "다문화성장소설연구 -<코끼리>, ≪완득이≫, ≪이슬람 정육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373-401, 2012

      8 윤일수, "다문화를 바라보는 현대인의 시선 - 다문화가족 소재 영화 <나의 결혼원정기>와 <완득이>를 대상으로 - ­" 한국사상문화학회 (83) : 303-324, 2016

      9 이미림,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137-167, 2016

      10 허정, "『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95-138, 2012

      1 김화선, "청소년 문학에 나타난 성장의 문제: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3 : 2008

      2 김려령, "완득이" 창비 2008

      3 박범종, "영화 <완득이>를 중심으로 본 다문화사회의 차별과 소통"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339-370, 2019

      4 정선주, "소설『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 판타지 고찰: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29-158, 2014

      5 계성, "성장소설로 본 한국의 다문화 공간-중국인 거리, 코끼리, 완득이를 중심으로" 11 : 2016

      6 이기형, "대중문화 텍스트로 진단하는 ‘다문화주의’의 현황: 영화『완득이』를 논의의 주요한 사례와 매개(catalyst)로" 한국언론학회 10 (10): 97-160, 2014

      7 이미림, "다문화성장소설연구 -<코끼리>, ≪완득이≫, ≪이슬람 정육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373-401, 2012

      8 윤일수, "다문화를 바라보는 현대인의 시선 - 다문화가족 소재 영화 <나의 결혼원정기>와 <완득이>를 대상으로 - ­" 한국사상문화학회 (83) : 303-324, 2016

      9 이미림,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137-167, 2016

      10 허정, "『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95-138, 2012

      11 김예림, "‘존중’ 없는 사회의 대중문화, 그 욕망과 미망에 대한 단상: 『도가니』와 『완득이』를 중심으로" 2012

      12 하웅용, "‘완득이’에 함의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관한 담론 연구" 한국인격교육학회 10 (10): 39-56, 2016

      13 "https://tinyurl.com/w2wfp6e"

      14 "https://en.wikipedia.org/wiki/Talking_cure"

      15 "https://blog.naver.com/leemyeongkook/221656080938"

      16 "https://blog.naver.com/hanadarin/221545637205"

      17 Isaac Sequeira, "William Faulkner: A Centennial Tribute" Prestige 1999

      18 계운경, "<완득이>의 상업전략과 사회질서의 유지·재생산 -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1-81, 2013

      19 송현호, "<완득이>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 동반자적 교사의 역할과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59) : 403-426, 2015

      20 김미영, "<서평>다문화 가족의 얼굴들-김여령, 『완득이』 (창비, 2008)"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 (2): 170-17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이민인종연구회 -> 이주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and Ethnicity Studies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Histo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