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화선, "청소년 문학에 나타난 성장의 문제: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3 : 2008
2 김려령, "완득이" 창비 2008
3 박범종, "영화 <완득이>를 중심으로 본 다문화사회의 차별과 소통"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339-370, 2019
4 정선주, "소설『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 판타지 고찰: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29-158, 2014
5 계성, "성장소설로 본 한국의 다문화 공간-중국인 거리, 코끼리, 완득이를 중심으로" 11 : 2016
6 이기형, "대중문화 텍스트로 진단하는 ‘다문화주의’의 현황: 영화『완득이』를 논의의 주요한 사례와 매개(catalyst)로" 한국언론학회 10 (10): 97-160, 2014
7 이미림, "다문화성장소설연구 -<코끼리>, ≪완득이≫, ≪이슬람 정육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373-401, 2012
8 윤일수, "다문화를 바라보는 현대인의 시선 - 다문화가족 소재 영화 <나의 결혼원정기>와 <완득이>를 대상으로 - " 한국사상문화학회 (83) : 303-324, 2016
9 이미림,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137-167, 2016
10 허정, "『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95-138, 2012
1 김화선, "청소년 문학에 나타난 성장의 문제: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3 : 2008
2 김려령, "완득이" 창비 2008
3 박범종, "영화 <완득이>를 중심으로 본 다문화사회의 차별과 소통"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339-370, 2019
4 정선주, "소설『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 판타지 고찰: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29-158, 2014
5 계성, "성장소설로 본 한국의 다문화 공간-중국인 거리, 코끼리, 완득이를 중심으로" 11 : 2016
6 이기형, "대중문화 텍스트로 진단하는 ‘다문화주의’의 현황: 영화『완득이』를 논의의 주요한 사례와 매개(catalyst)로" 한국언론학회 10 (10): 97-160, 2014
7 이미림, "다문화성장소설연구 -<코끼리>, ≪완득이≫, ≪이슬람 정육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373-401, 2012
8 윤일수, "다문화를 바라보는 현대인의 시선 - 다문화가족 소재 영화 <나의 결혼원정기>와 <완득이>를 대상으로 - " 한국사상문화학회 (83) : 303-324, 2016
9 이미림,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137-167, 2016
10 허정, "『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95-138, 2012
11 김예림, "‘존중’ 없는 사회의 대중문화, 그 욕망과 미망에 대한 단상: 『도가니』와 『완득이』를 중심으로" 2012
12 하웅용, "‘완득이’에 함의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관한 담론 연구" 한국인격교육학회 10 (10): 39-56, 2016
13 "https://tinyurl.com/w2wfp6e"
14 "https://en.wikipedia.org/wiki/Talking_cure"
15 "https://blog.naver.com/leemyeongkook/221656080938"
16 "https://blog.naver.com/hanadarin/221545637205"
17 Isaac Sequeira, "William Faulkner: A Centennial Tribute" Prestige 1999
18 계운경, "<완득이>의 상업전략과 사회질서의 유지·재생산 -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1-81, 2013
19 송현호, "<완득이>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 동반자적 교사의 역할과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59) : 403-426, 2015
20 김미영, "<서평>다문화 가족의 얼굴들-김여령, 『완득이』 (창비, 2008)"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 (2): 170-17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