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신부의 임신 중 음주 발생 관련 요인 = Factors Affecting Pregnant Women`s Dr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9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some scopes that are need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ng drinking during pregnancy. Specifically, the factors affecting on pregnant women`s alcohol u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between May 7 and May 20 of 2008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sample consisted of 173 pregnant women in G city. Among the respondents, 14.45% were found to have used alcohol during pregnancy. Alcohol dependancy in mothers(r = .20, p<.01), drinking during pre-pregnancy (r = .37, p<.01), first drinking time(r = -.17, p = .02), attitude towards drinking during pregnancy(r = -.36, p=<.01), necessity of drinking-prevention education during pre-pregnancy(r=.23, p<.01), alcohol expectancy(r = .14, p = .04)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dictors are the attitude towards drinking during pregnancy(OR=.15, p<.01), necessity of drinking-prevention education during pre-pregnancy(OR=.37, p<.01), and frequency of drinking during pre-pregnancy(OR = 2.18, p = .02). To effectively prevent drinking of pregnant women, surveys should be carried out repeatedly and policies such as education for prohibiting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on public broadcasting program need to be install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some scopes that are need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ng drinking during pregnancy. Specifically, the factors affecting on pregnant women`s alcohol u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between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some scopes that are need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ng drinking during pregnancy. Specifically, the factors affecting on pregnant women`s alcohol u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between May 7 and May 20 of 2008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sample consisted of 173 pregnant women in G city. Among the respondents, 14.45% were found to have used alcohol during pregnancy. Alcohol dependancy in mothers(r = .20, p<.01), drinking during pre-pregnancy (r = .37, p<.01), first drinking time(r = -.17, p = .02), attitude towards drinking during pregnancy(r = -.36, p=<.01), necessity of drinking-prevention education during pre-pregnancy(r=.23, p<.01), alcohol expectancy(r = .14, p = .04)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dictors are the attitude towards drinking during pregnancy(OR=.15, p<.01), necessity of drinking-prevention education during pre-pregnancy(OR=.37, p<.01), and frequency of drinking during pre-pregnancy(OR = 2.18, p = .02). To effectively prevent drinking of pregnant women, surveys should be carried out repeatedly and policies such as education for prohibiting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on public broadcasting program need to be install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주의 성 요한 알코올 상담 치료센터, "회복에 이르는 길" 하나의학사 1993

      2 김은숙, "한국 고위험 음주 성인여성의 특성과 영향요인" 한국알코올과학회 11 (11): 45-56, 2010

      3 보건복지부, "파랑새프랜 2010안" 보건복지부 2006

      4 박경일, "태아 알코올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체험" 이화여자대학교 2008

      5 최선화, "청소년과 약물남용" 홍익제 1996

      6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한 열두마당" 청소년보호위원회 2002

      7 최희수, "첫 음주 시기에 따른 직장 근로자들의 음주행태 및 문제음주에 관한 연구" 3 (3): 214-220, 2002

      8 배은주, "주부들의 음주관련 변인들과 음주행동의 설명 모형 탐색" 충남대학교 2003

      9 염계정, "임신 중 음주의 영향 요인" 삼육대학교 2010

      10 부산알코올상담센터, "임신 중 음주실태에 관한 조사보고서" 부산알코올상담센터 2008

      1 천주의 성 요한 알코올 상담 치료센터, "회복에 이르는 길" 하나의학사 1993

      2 김은숙, "한국 고위험 음주 성인여성의 특성과 영향요인" 한국알코올과학회 11 (11): 45-56, 2010

      3 보건복지부, "파랑새프랜 2010안" 보건복지부 2006

      4 박경일, "태아 알코올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체험" 이화여자대학교 2008

      5 최선화, "청소년과 약물남용" 홍익제 1996

      6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한 열두마당" 청소년보호위원회 2002

      7 최희수, "첫 음주 시기에 따른 직장 근로자들의 음주행태 및 문제음주에 관한 연구" 3 (3): 214-220, 2002

      8 배은주, "주부들의 음주관련 변인들과 음주행동의 설명 모형 탐색" 충남대학교 2003

      9 염계정, "임신 중 음주의 영향 요인" 삼육대학교 2010

      10 부산알코올상담센터, "임신 중 음주실태에 관한 조사보고서" 부산알코올상담센터 2008

      11 양승희, "일지역 여성의 음주인식, 음주행태, 문제음주에 관한 연구" 7 (7): 23-45, 2006

      12 허은정, "일부 지역 여성의 음주양태 및 음주관련문제" 15 (15): 202-214, 2001

      13 이민규, "음주행동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인 요인" 12 (12): 165-178, 1993

      14 정슬기,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 영향요인 분석: 남자 대학생과의 비교"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7 (27): 176-198, 2007

      15 김정주, "여성이라 더 위험한 음주" 64 : 8-11, 2009

      16 전현진,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5 (25): 21-43, 2008

      17 이정숙,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음주경험" 9 (9): 409-427, 2000

      18 최진경, "여성 문제음주자에 대한 사정요인 탐색을 위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3

      19 김옥수, "여대생과 직장 여성들의 사회적지지, 우울, 음주, 흡연에 대한 비교 연구" 13 (13): 363-372, 2001

      20 황인복, "알코올에 대한 인지적 기대가 음주 행동에 미치는 영향" 32 (32): 961-970, 1993

      21 김성재, "알코올리즘의 재발에 관한 이론적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1996

      22 황종우, "알코올 박사의 건강이야기" 아침 1995

      23 오혜정, "아동기 학대 경험과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성장 후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4

      24 류병호, "술 권하는 사회" 예림미디어 1999

      25 최근도, "성인여성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대학교 2005

      26 광주요한알코올상담센터, "광주광역시 북구 청소년 및 여성음주 실태조사" 광주요한알코올상담센터 2008

      27 Hellandsjo, E. T., "Teenage alcohol and intoxication debur: the impact of family socialization factors, living area and participation in organized sports" 37 : 74-80, 2002

      28 SBS TV, "SBS 뉴스추적 2008. 5. 27일자"

      29 Aarons, G.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marijuana and stimulant effect expectancy questionnaires for adolescent" 26 (26): 219-236, 2001

      30 Zammit, S. L., "Pregnant women’s alcohol consumption: The predictive utility of intention to drink and prepregnancy drinking behavior" 17 (17): 1513-1522, 2008

      31 Savage, C. L., "Family history of alcohol use as predictor of alcohol and tobacco use during pregnancy" 15 : 119-123, 2004

      32 Leonardson, G. R., "Factors predictive of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in three rural states" 3 (3): 1-6, 2007

      33 Beck, A. T., "Cognitive therapy of substance abuse" The Guilford Press 1993

      34 Warren, K. R., "Alcohol-related birth defects-The past, present, and future" 25 (25): 153-158, 2001

      35 Ethen, M. K., "Alcohol consumption by women before and during pregnancy" 13 : 274-285, 2009

      36 CDC, "Alcohol consumption among women who are pregnant or who might become pregnant-United States"

      37 Charalambous, M. P., "Alcohol and the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current review" 37 : 307-312, 2002

      38 Harrison, P. A., "Alcohol and drug use before and during pregnancy: An examination of use patterns and predictors of cessation" 13 : 386-394, 2009

      39 So Hee Lee,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and Related Risk Factors in Korea" 대한경정신의학회 7 (7): 86-92, 2010

      40 보건복지부, "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