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제적 해체 가족과 일반 가족의 가족 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자녀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아동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차이를 밝혀보기 위하여, 해체 가족 196명과 일반 가족 30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1798
2010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87-214(2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제적 해체 가족과 일반 가족의 가족 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자녀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아동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차이를 밝혀보기 위하여, 해체 가족 196명과 일반 가족 300...
본 연구는 경제적 해체 가족과 일반 가족의 가족 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자녀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아동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차이를 밝혀보기 위하여, 해체 가족 196명과 일반 가족 300명 등 총 49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족유형과 가족 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자녀양육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족유형과 가족 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아동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reveals differences in the stresses of child-rearing based on family interaction type between economically-dissolved and normal families. For this goal,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496 subjects, of whom 196 were from dissolved familie...
This research reveals differences in the stresses of child-rearing based on family interaction type between economically-dissolved and normal families. For this goal,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496 subjects, of whom 196 were from dissolved families and 300 from normal familie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aring stresses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type of the family. Observed by family type, the child-rearing stresses of mothers in normal families were less than those of mothers in dissolved families. Observed by interaction family type, balanced families revealed the lowest child-rearing stress, the higher stress on mid-range and extreme families had the highest stress. Second, based on interaction type within the family types,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their peer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by family type,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from normal families wa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dissolved families. Observed by interaction family type, peer interaction was most positive in children from balanced families, while corresponding peer interaction was most negative in children from extreme familie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옥, "해체가정과 일반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차이" 대한가정학회 45 (45): 61-70, 2007
2 최경석,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4
3 김오남, "편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4 김정미, "취학 전 빈곤아동에 대한 부모, 가정환경 자극,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 탐색" 한국아동학회 28 (28): 305-317, 2007
5 김은정, "이혼으로 인한 '가족상실','경제소득' 및 '양육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19 (19): 79-104, 2007
6 정연옥, "이혼가정 자녀의 스트레스 조절효과로써 부모양육태도와 유기공포"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689-708, 2006
7 김승경, "이혼 가정 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위험-보호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한국아동학회 26 (26): 261-278, 2005
8 정현빈,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9 민혜영,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0 임순화,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51-278, 2010
1 박정옥, "해체가정과 일반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차이" 대한가정학회 45 (45): 61-70, 2007
2 최경석,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4
3 김오남, "편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4 김정미, "취학 전 빈곤아동에 대한 부모, 가정환경 자극,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 탐색" 한국아동학회 28 (28): 305-317, 2007
5 김은정, "이혼으로 인한 '가족상실','경제소득' 및 '양육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19 (19): 79-104, 2007
6 정연옥, "이혼가정 자녀의 스트레스 조절효과로써 부모양육태도와 유기공포"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689-708, 2006
7 김승경, "이혼 가정 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위험-보호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한국아동학회 26 (26): 261-278, 2005
8 정현빈,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9 민혜영,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0 임순화,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51-278, 2010
11 이현정,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12 윤현숙,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389-405, 2007
13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5 (35): 141-150, 1997
14 송주미, "양육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자녀행동지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15 황혜원, "빈곤아동의 문해능력과 사회정서 발달: 미국의 빈곤가족과 이와 관련된 변인을 중심으로" 28 (28): 227-241, 2006
16 유주연, "빈곤가정 유아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7-59, 2010
17 박은정, "맞벌이 가정의 가족 상호작용과 부모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0
18 김민정,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9 이미숙,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부부갈등 및 생활의 질" 38 (38): 117-133, 2000
20 강병재, "가족해체와 보육정책. i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3 추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83-106, 2003
21 서수경, "가족해체에 관한 한국·독일의 비교" 9 (9): 65-90, 2004
22 민혜영, "가족상호작용 유형과 유아의 기질에 따른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2 (2): 43-66, 1999
23 김희태,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유능성"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1-21, 2009
24 Gallagher, T. M., "language skill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school-age children" 24 : 199-205, 1993
25 McLoyd, V. C.,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61 : 311-346, 1990
26 Belsky, J.,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55 (55): 83-96, 1984
27 Abidin, R. R.,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21 (21): 407-412, 1992
28 Selye, H., "Stress with distress. in: Living with Stress and Promoting Well-being" Mosby Publsiher. 9-15, 1980
29 Albers, L. K.,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environment: 15-year fallow-up of disturbed adolescents" 25 : 379-389, 1986
30 Fantuzzo, J. W., "Preschool version of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 An empirical analysis of its use with low-income children" 36 (36): 199-214, 1998
31 Coolahan, K., "Preschool peer interaction and readiness to learn :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peer play,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92 : 458-465, 2000
32 Ladd, G. W.,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58 (58): 1168-1189, 1987
33 Rubin, K. H.,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5th ed.)" John Wiley & Sons 619-700, 1998
34 Abidin, R. R.,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35 Card, N. A.,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enmity with peers: the role of avoidment and preoccupied attachment. in: Enemies and the darker side of peer relation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2" Jossey Bass 235-37, 2003
36 Rubin, L., "Model for active learning collaborative peer teaching" 46 (46): 26-30, 1998
37 McLanahan, S. S., "Growing up with a Single Parent : What Hurts, What Help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38 Parker, J. G.,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29 : 611-621, 1993
39 Olson, D. H., "FACES Ⅲ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3
40 Thomas, V. K., "FACES III and FAM III : A comparison of family assessment instrument" 1989
41 Hetherington, E. M., "Effects of divorce on parents and children. in: Nontraditional Families: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Erlbaum 233-285, 1982
42 Hetherington, E. M., "Coping with marital transitions :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57 (57): 2-30, 1992
43 Fantuzzo, J. W.,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10 (10): 105-120, 1995
44 통계청, "2009년 혼인통계 결과. 통계청"
45 통계청, "2009년 이혼통계 결과. 통계청"
46 통계청, "2001 인구동태 통계연보" 통계청 2002
유아놀이 유형과 유아의 언어 · 사회적 · 정서능력과의 관계 분석
소집단 과학실험활동에서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시각자료를 통한 문화적 묘사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 ![]() |
2013-04-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2 | 1.339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