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 놀이유형과 놀이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 놀이에 대한 이해와 유아 교육현장에서 놀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놀이지도 방안 모색에 기초 정보를 제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1796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5-159(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놀이유형과 놀이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 놀이에 대한 이해와 유아 교육현장에서 놀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놀이지도 방안 모색에 기초 정보를 제공...
본 연구는 유아 놀이유형과 놀이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 놀이에 대한 이해와 유아 교육현장에서 놀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놀이지도 방안 모색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만 4, 5세 유아 105명이었으며, ‘유아놀이 유형검사’, ‘KEDI-WISC의 언어성검사’, ‘VSMSC, 그리고 ’정서능력검사‘ 도구를 통해 유아의 언어능력, 사회적능력, 정서능력을 검사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r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유아 놀이유형과 제반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놀이 유형과 언어 사회적 정서능력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아놀이 유형을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사회적능력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 of child play, language ability, social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 used in this study were 105 children consisted of four-year-old and five-year-old. The Typ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 of child play, language ability, social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 used in this study were 105 children consisted of four-year-old and five-year-old. The Type of Young Child's play Inventory, ‘The Verbal area of KEDI-WISC’, ‘VSMSC, and ’Young Child's Emotional Profile'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types of young child's play, language ability, social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It can be considered a practical knowledge for young children's play that should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소집단 과학실험활동에서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해체 가족과 일반가족의 가족 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자녀양육스트레스및 아동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시각자료를 통한 문화적 묘사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