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결 자료의 어휘 = Lexical elements in Kugyol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2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국어 어휘사 자료를 전반적으로 조망하는 큰 기획 목표 아래 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어휘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차적으로 전체 석독 어휘에 대하여 부사류, 동...

      이 논문은 국어 어휘사 자료를 전반적으로 조망하는 큰 기획 목표 아래 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어휘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차적으로 전체 석독 어휘에 대하여 부사류, 동사류, 명사류로 나누고 각 부류별로 현토되는 구결자를 중심으로 유형화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문헌별로 표기 양상과 출현 양상에서 유의미한 점을 찾을 수 있도록 출현 빈도도 함께 제시하였다. 부사류는 ‘X/’, ‘X’, ‘X’, ‘X//’, ‘X’, ‘X’, ‘X’, ‘X’, ‘X’ 등으로 유형화하였고 나머지 ‘新, 專, 已, 不’ 등의 부사들을 따로 묶어 제시하였다. 동사류는 ‘X//’, ‘X’, ‘X’, ‘X/’ 등으로 유형화 하였고 “삼다”류, “같다”류 그리고 ‘事, 入’ 등의 나머지 동사들을 따로 묶어 제시하였다. 명사류는 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문헌의 성격을 고려하더라도 명사류의 수가 많이 보이지 않는다. 특히 의존명사가 중세국어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국어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음독 한자 어휘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함께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한자어의 수용 과정과 관련하여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논의에서 구결 자료의 어휘 전반에 대하여 목록화하고 유형화하지는 못하였지만, 구결 자료의 어휘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조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대국어의 어휘 및 문법적 논의가 더 깊게 진척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기, "李秉根先生退任紀念 國語學論叢" 태학사 665-690, 2006

      2 朴英燮, "蘭汀南廣祐博士 古稀紀念 國語學關係 博士學位論文要約集"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3-405, 1990

      3 김영만, "향가의 ‘善陵’과 ‘頓部叱’에 대하여"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21 : 31-56, 1991

      4 장윤희, "중세국어 ‘-암/엄 직-’의 문법사" 3 (3): 1-22, 2001

      5 박진호,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국어학회 (50) : 115-147, 2007

      6 김유범, "시간성 의존명사 ‘다’를 찾아서" 3 (3): 209-229, 2001

      7 백두현,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한국문화사 2005

      8 황국정,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 ’과 ‘- /- ’이 실현된 구문의 통시적 차이를 중심으로-" 口訣學會 6 : 281-342, 2000

      9 장윤희, "석독구결 및 그 자료의 개관" 구결학회 (12) : 47-80, 2004

      10 김영만, "석독구결 ‘皆’, ‘悉’와 고려 향찰 ‘頓部叱’, ‘盡良’의 비교 고찰" 口訣學會 2 : 1-26, 1997

      1 이병기, "李秉根先生退任紀念 國語學論叢" 태학사 665-690, 2006

      2 朴英燮, "蘭汀南廣祐博士 古稀紀念 國語學關係 博士學位論文要約集"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3-405, 1990

      3 김영만, "향가의 ‘善陵’과 ‘頓部叱’에 대하여"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21 : 31-56, 1991

      4 장윤희, "중세국어 ‘-암/엄 직-’의 문법사" 3 (3): 1-22, 2001

      5 박진호,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국어학회 (50) : 115-147, 2007

      6 김유범, "시간성 의존명사 ‘다’를 찾아서" 3 (3): 209-229, 2001

      7 백두현,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한국문화사 2005

      8 황국정,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 ’과 ‘- /- ’이 실현된 구문의 통시적 차이를 중심으로-" 口訣學會 6 : 281-342, 2000

      9 장윤희, "석독구결 및 그 자료의 개관" 구결학회 (12) : 47-80, 2004

      10 김영만, "석독구결 ‘皆’, ‘悉’와 고려 향찰 ‘頓部叱’, ‘盡良’의 비교 고찰" 口訣學會 2 : 1-26, 1997

      11 김두찬, "석독구결 ‘ ’에 대하여" 國語學會 37 : 251-261, 2001

      12 이은규, "석독 입겿문의 동사 ‘삼-’의 의미 기능" 언어과학회 1 (1): 177-198, 2004

      13 이병기, "명사와 국어사" 한국어학회 62 : 27-58, 2014

      14 신중진, "말음첨기의 생성과 발달에 대하여-음절말 자음 첨기를 중심으로-" 口訣學會 4 : 85-114, 1998

      15 손세모돌,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 한국언어문화학회 13 : 1995

      16 이은규, "대방광불화엄경소(권35) 석독 입겿문의 동사 ‘삼-’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81 : 165-188, 2003

      17 김두찬, "다시 토 ‘ ’와 ‘ ’에 대하여" 口訣學會 5 : 59-74, 1999

      18 박성종,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77-120, 1998

      19 김대식, "국어 어휘사의 원리" 보고사 1998

      20 이장희,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 ’에 대하여" 문학과언어학회 17 : 43-56, 1996

      21 이장희, "고려시대 석독구결문의 미정관형구성에 대하여" 경북어문학회 30 : 103-120, 1996

      22 장윤희, "고대국어의 파생 접미사 연구" 국어학회 (47) : 91-144, 2006

      23 천소영, "고대 국어의 어휘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0

      24 장경준, "點吐口訣 硏究의 成果와 當面 課題" 구결학회 (21) : 67-98, 2008

      25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26 장고은, "高麗時代 字吐釋讀口訣의 口訣字 ‘ ’, ‘ ’의 分布와 機能" 93-102, 2013

      27 남경란, "音讀口訣 硏究의 回顧와 展望" 구결학회 (21) : 99-137, 2008

      28 이승재, "韓日語學論叢" 국학자료원 495-522, 1995

      29 정재영, "韓國의 口訣" 구결학회 (17) : 125-185, 2006

      30 남풍현, "韓國語史 硏究에 있어 口訣資料의 寄與에 대하여" 구결학회 (25) : 5-20, 2010

      31 정재영, "韓國 角筆 符號口訣 資料와 日本 訓點 資料 연구-華嚴經 資料를 중심으로" 태학사 2003

      32 남풍현, "釋讀口訣의 起源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00 : 233-242, 1988

      33 남풍현, "釋讀口訣에 쓰인 ‘支’의 形態와 機能에 대하여" 구결학회 (20) : 93-122, 2008

      34 이용, "釋讀口訣에 나타난 不定詞의 機能에 대하여" 구결학회 (11) : 249-274, 2003

      35 황선엽, "釋讀 訣辭典" 태학사 2009

      36 남풍현, "語文學論叢(淸凡陳泰夏敎授啓七頌壽紀念)" 태학사 459-469, 1997

      37 박성종, "舊譯仁王經 口訣의 語彙" 口訣學會 5 : 201-220, 1999

      38 서민욱, "者’字의 부호구결에 대하여" 口訣學會 7 : 167-197, 2001

      39 남풍현, "瑜伽師地論釋讀口訣의 硏究" 태학사 1999

      40 남풍현, "瑜伽師地論(권20)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한글 轉寫" 口訣學會 3 : 253-336, 1998

      41 장경준, "瑜伽師地論 點吐釋讀口訣의 解讀 方法 硏究" 태학사 2007

      42 김영만, "瑜伽師地論 의 “由-”와 “如-”의 讀法에 대하여" 口訣學會 6 : 41-60, 2000

      43 송민, "漢字語에 대한 어휘사적 조명" 국어학회 (66) : 3-40, 2013

      44 심재기, "漢字語 收容에 關한 通時的 硏究" 國語學會 18 : 89-109, 1989

      45 이승재, "晉本 華嚴經 卷第二十·周本 華嚴經 卷第二十二" 태학사 2009

      46 남풍현, "字吐釋讀口訣에 나타난 不讀字에 대한 考察" 구결학회 (18) : 207-250, 2007

      47 김성주, "字吐釋讀口訣 硏究의 回顧와 展望" 구결학회 (21) : 39-66, 2008

      48 안병희, "均如의 方言本 著述에 대하여" 國語學會 16 : 41-54, 1987

      49 이기문, "國語의 인칭대명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3 : 325-338, 1978

      50 이건식, "國語史와 借字表記" 태학사 133-160, 1995

      51 정재영, "國語史와 借字表記" 태학사 285-316, 1995

      52 손희하, "國語史와 借字表記" 태학사 317-332, 1994

      53 이기문,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54 송철의, "國語史 資料와 國語學의 硏究(安秉禧先生 回甲紀念論叢)" 문학과 지성사 352-370, 1993

      55 정재영, "國語 語彙의 基盤과 歷史" 태학사 737-784, 1998

      56 朴英燮, "國語 漢字語의 起源的 系譜 硏究: 現用 漢字語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1987

      57 이승재, "國寶二百四號 周本 華嚴經 卷第三十六" 태학사 2006

      58 이승재, "周本 華嚴經 卷第六(國寶二百三號)·卷第五十六七" 태학사 2006

      59 이승재, "周本 華嚴經 卷第三十一·卷第三十四" 태학사 2009

      60 남풍현, "古代國語의 時代 區分" 구결학회 (11) : 1-22, 2003

      61 남풍현, "古代 韓國語의 如實法 動詞 ‘支/디’와 ‘多支/다디’에 대하여" 구결학회 (29) : 247-280, 2012

      62 안병희, "口訣과 漢文訓讀에 對하여" 震檀學會 41 : 139-158, 1976

      63 金永萬, "口訣語 如( , , , )의 解讀法 硏究" 한민족어문학회 (40) : 117-139, 2002

      64 이승재, "初雕大藏經 瑜伽師地論 卷第五·卷第八" 태학사 2005

      65 정재영, "依存名詞 ‘’의 文法化" 태학사 1996

      66 안대현,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과 古代 韓國語의 ‘ム/矣’" 구결학회 (31) : 71-95, 2013

      67 이현희, "‘조초’의 文法史" 진단학회 (107) : 129-175, 2009

      68 이전경, "‘爲’자에 현토된 석독표기자와 그 해독" 구결학회 28 : 165-190, 2012

      69 김성주, "‘爲’에 懸吐되는 口訣字와 機能" 구결학회 (15) : 29-54, 2005

      70 이승재,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月印 423-43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Of Kugyol -> The Society for Kugyol Studies KCI등재
      2014-1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ugyol Studies -> Kugyol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ugyol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1 1.7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