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혜경, "?매잡이?의 서술 방식 연구" 민족어문학회 48 : 14-480, 2003
2 김병로, "현대 액자소설에의 서사시학적 접근" 15 : 1989
3 이재선, "한국단편소설연구" 일조각 1986
4 김현, "장인의 고뇌, 이청준" 은애 1979
5 이청준, "작가의 작은 손" 열화당 1978
6 우찬제, "자유의 질서, 말의 꿈, 반성적 탐색,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7 마희정, "이청준 소설의 탐색구조 연구-<매잡이>,<소문의 벽>,<이어도>,<시간의 문>을 중심으로" 충북대 1995
8 권택영, "이청준 소설의 중층 구조,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9 정혜경,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액자소설의 변이형 연구-「병신과 머저리」를 중심으로" 14 : 2000
10 우찬제, "이청준 소설론, 타자의 목소리" 문학동네 1996
1 정혜경, "?매잡이?의 서술 방식 연구" 민족어문학회 48 : 14-480, 2003
2 김병로, "현대 액자소설에의 서사시학적 접근" 15 : 1989
3 이재선, "한국단편소설연구" 일조각 1986
4 김현, "장인의 고뇌, 이청준" 은애 1979
5 이청준, "작가의 작은 손" 열화당 1978
6 우찬제, "자유의 질서, 말의 꿈, 반성적 탐색,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7 마희정, "이청준 소설의 탐색구조 연구-<매잡이>,<소문의 벽>,<이어도>,<시간의 문>을 중심으로" 충북대 1995
8 권택영, "이청준 소설의 중층 구조,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9 정혜경,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액자소설의 변이형 연구-「병신과 머저리」를 중심으로" 14 : 2000
10 우찬제, "이청준 소설론, 타자의 목소리" 문학동네 1996
11 김병익, "왜 글을 쓰는가, 이청준" 은애 1979
12 권성우, "영혼의 비상학을 위한 자유주의자의 소설 탐색" (42) : 1990
13 로저 파울러, "언어학과 소설" 문학과지성사 1985
14 김인환, "언어학과 문학" 작가 2008
15 구수경, "소설의 시점, 한국현대소설론" 학연사 1993
16 김치수, "소설에 대한 두 질문, 이청준" 은애 1979
17 석경징, "서술이론과 문학비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8 김정하, "서술어법과 중층시점-이청준의 이어도,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19 김정숙, "서사 주체의 다층적 탐색정신-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30 : 1998
20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창작과 비평 1966
21 김병익, "말의 탐구, 화해에의 변증,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22 오생근, "갇혀 있는 자의 시선, 이청준" 은애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