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액자소설적 성격 연구 ―「병신과 머저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ure of a frame story in Chungjun Lee's novel ― centering on A Deformed Person And A Foo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ungjun Lee's attitude of recognizing reality that he understands it in various aspects and explores the truth of life is expressed as a polyphonic discourse of constructing a text and a stratified descriptive situation. In particular, his consideration of the aspect of effective stat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narrative communication of 'how' to convey the shape of the truth he himself has got,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roles of a frame narrator and readers.
      The conflict of 'me' in a frame layer forming the main axis of this novel is made the foreground not only in the novel of 'an elder brother' introduced in the layer of the internal story but also in the elder brother who writes such a novel and in a polyphonic discourse through 'Hyein's letter' which 'I' comes to get in a frame layer. Through such a polyphonic discourse I am changed into the reflective subject who slowly confirms the conflict internal to me and deepens it. On the one hand, the internal story controlled by a frame narrator is conveyed to readers through the aspects of various descriptive situations, that is, objective summary description, direct quotation, annotative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as an editor, and the effect of distance control by them. Eventually, his flexible attitude of recognizing reality through objectifying a speaker and his structure of a frame story in which he induces his read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t form one primary feature of his world of novel.
      번역하기

      Chungjun Lee's attitude of recognizing reality that he understands it in various aspects and explores the truth of life is expressed as a polyphonic discourse of constructing a text and a stratified descriptive situation. In particular, his considerat...

      Chungjun Lee's attitude of recognizing reality that he understands it in various aspects and explores the truth of life is expressed as a polyphonic discourse of constructing a text and a stratified descriptive situation. In particular, his consideration of the aspect of effective stat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narrative communication of 'how' to convey the shape of the truth he himself has got,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roles of a frame narrator and readers.
      The conflict of 'me' in a frame layer forming the main axis of this novel is made the foreground not only in the novel of 'an elder brother' introduced in the layer of the internal story but also in the elder brother who writes such a novel and in a polyphonic discourse through 'Hyein's letter' which 'I' comes to get in a frame layer. Through such a polyphonic discourse I am changed into the reflective subject who slowly confirms the conflict internal to me and deepens it. On the one hand, the internal story controlled by a frame narrator is conveyed to readers through the aspects of various descriptive situations, that is, objective summary description, direct quotation, annotative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as an editor, and the effect of distance control by them. Eventually, his flexible attitude of recognizing reality through objectifying a speaker and his structure of a frame story in which he induces his read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t form one primary feature of his world of no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경, "?매잡이?의 서술 방식 연구" 민족어문학회 48 : 14-480, 2003

      2 김병로, "현대 액자소설에의 서사시학적 접근" 15 : 1989

      3 이재선, "한국단편소설연구" 일조각 1986

      4 김현, "장인의 고뇌, 이청준" 은애 1979

      5 이청준, "작가의 작은 손" 열화당 1978

      6 우찬제, "자유의 질서, 말의 꿈, 반성적 탐색,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7 마희정, "이청준 소설의 탐색구조 연구-<매잡이>,<소문의 벽>,<이어도>,<시간의 문>을 중심으로" 충북대 1995

      8 권택영, "이청준 소설의 중층 구조,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9 정혜경,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액자소설의 변이형 연구-「병신과 머저리」를 중심으로" 14 : 2000

      10 우찬제, "이청준 소설론, 타자의 목소리" 문학동네 1996

      1 정혜경, "?매잡이?의 서술 방식 연구" 민족어문학회 48 : 14-480, 2003

      2 김병로, "현대 액자소설에의 서사시학적 접근" 15 : 1989

      3 이재선, "한국단편소설연구" 일조각 1986

      4 김현, "장인의 고뇌, 이청준" 은애 1979

      5 이청준, "작가의 작은 손" 열화당 1978

      6 우찬제, "자유의 질서, 말의 꿈, 반성적 탐색,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7 마희정, "이청준 소설의 탐색구조 연구-<매잡이>,<소문의 벽>,<이어도>,<시간의 문>을 중심으로" 충북대 1995

      8 권택영, "이청준 소설의 중층 구조,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9 정혜경,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액자소설의 변이형 연구-「병신과 머저리」를 중심으로" 14 : 2000

      10 우찬제, "이청준 소설론, 타자의 목소리" 문학동네 1996

      11 김병익, "왜 글을 쓰는가, 이청준" 은애 1979

      12 권성우, "영혼의 비상학을 위한 자유주의자의 소설 탐색" (42) : 1990

      13 로저 파울러, "언어학과 소설" 문학과지성사 1985

      14 김인환, "언어학과 문학" 작가 2008

      15 구수경, "소설의 시점, 한국현대소설론" 학연사 1993

      16 김치수, "소설에 대한 두 질문, 이청준" 은애 1979

      17 석경징, "서술이론과 문학비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8 김정하, "서술어법과 중층시점-이청준의 이어도,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19 김정숙, "서사 주체의 다층적 탐색정신-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30 : 1998

      20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창작과 비평 1966

      21 김병익, "말의 탐구, 화해에의 변증,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22 오생근, "갇혀 있는 자의 시선, 이청준" 은애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