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오나리(御成)와 무가(武家) 저택의 실내치장 = Toyotomi Hideyoshi’s Official Visitation Ritual (Onari) and the Interior Ado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4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rm onari refers to shogunal official visits to the residences of other elites, temples, or shrines. Regular onari (tsune no onari) were annual visits by the shoguns to the residences of important warrior elites, usually in the first month of the year. Special onari (shikisho no onari) occurred whenever there was a special reason for a visit. Shogunal visitations to the important warriors must have been important for the highest level of Japanese society. During these highly choreographed events numerous Chinese objects were displayed and various ceremonies and banquets were prepared and, through them, elite warriors not only make their closeness to the shogun clear, as a way to maintain and keep the power balance among powerful families, but also show off his power and wealth. This paper, which is part larger project of exploring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interior adornment and displayed objects in warrior elites’ residences, examines Toyotomi Hideyoshi’s onari. In particualr, focusing on two important primary sources, Bunroku sannen onariki and Toshi’ietei onari shoin toko kazari sono hokanoki, which records the events and reception room decoration for Hideyoshi’s visit to Maeda Toshi’ie’s residence in 1594, this paper finds out the transitional features of interior display and analyzes the political meaning of newly added elements, such as tea pot,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번역하기

      The term onari refers to shogunal official visits to the residences of other elites, temples, or shrines. Regular onari (tsune no onari) were annual visits by the shoguns to the residences of important warrior elites, usually in the first month of the...

      The term onari refers to shogunal official visits to the residences of other elites, temples, or shrines. Regular onari (tsune no onari) were annual visits by the shoguns to the residences of important warrior elites, usually in the first month of the year. Special onari (shikisho no onari) occurred whenever there was a special reason for a visit. Shogunal visitations to the important warriors must have been important for the highest level of Japanese society. During these highly choreographed events numerous Chinese objects were displayed and various ceremonies and banquets were prepared and, through them, elite warriors not only make their closeness to the shogun clear, as a way to maintain and keep the power balance among powerful families, but also show off his power and wealth. This paper, which is part larger project of exploring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interior adornment and displayed objects in warrior elites’ residences, examines Toyotomi Hideyoshi’s onari. In particualr, focusing on two important primary sources, Bunroku sannen onariki and Toshi’ietei onari shoin toko kazari sono hokanoki, which records the events and reception room decoration for Hideyoshi’s visit to Maeda Toshi’ie’s residence in 1594, this paper finds out the transitional features of interior display and analyzes the political meaning of newly added elements, such as tea pot,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나리는 쇼군의 공식적인 출행(出行) 혹은 타가(他家) 방문을 지칭하며, 무가 사회에서 중요한 의례이자 행사 중 하나이다. 무가 사회에서 오나리는 참가자 각각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한편 타인과의 관계를 구축해가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의례 공간에서 자신이 가진 권력과 군사력, 재력을 백분 과시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동한 장소에서는 다양한 향연과 연회의 공간이 설치되고 진상품과 헌상품이 증여 혹은 교환되었다. 본 논문은 무가 의례의 맥락에서 실내치장과 장식된 기물에 대한 정치적, 문화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의 첫 작업으로 히데요시를 기준으로 16세기 오나리 의례의 배경과 개요, 연향의 내용과 공간, 헌상물과 배령물(拜領物), 실내치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1594년 4월 마에다 토시이에 저택에서 이루어진 오나리와 그 실내 치장에 대한 문헌 사료인 『文禄三年卯月八日 加 賀之中納言殿江御成之事』와 『利家亭御成書院床飾其外之記』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이전 시기와의 차이점을 밝히고, 그 과도기적 성격을 규명한다. 특히, 서원의 장식 중 새롭게 확인된 엽차호(葉茶壺)에 대해서 16세기 유행한 차노유와 함께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다회와 명물 수장품이 지니는 정치적 성격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분석한다.
      번역하기

      오나리는 쇼군의 공식적인 출행(出行) 혹은 타가(他家) 방문을 지칭하며, 무가 사회에서 중요한 의례이자 행사 중 하나이다. 무가 사회에서 오나리는 참가자 각각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

      오나리는 쇼군의 공식적인 출행(出行) 혹은 타가(他家) 방문을 지칭하며, 무가 사회에서 중요한 의례이자 행사 중 하나이다. 무가 사회에서 오나리는 참가자 각각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한편 타인과의 관계를 구축해가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의례 공간에서 자신이 가진 권력과 군사력, 재력을 백분 과시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동한 장소에서는 다양한 향연과 연회의 공간이 설치되고 진상품과 헌상품이 증여 혹은 교환되었다. 본 논문은 무가 의례의 맥락에서 실내치장과 장식된 기물에 대한 정치적, 문화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의 첫 작업으로 히데요시를 기준으로 16세기 오나리 의례의 배경과 개요, 연향의 내용과 공간, 헌상물과 배령물(拜領物), 실내치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1594년 4월 마에다 토시이에 저택에서 이루어진 오나리와 그 실내 치장에 대한 문헌 사료인 『文禄三年卯月八日 加 賀之中納言殿江御成之事』와 『利家亭御成書院床飾其外之記』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이전 시기와의 차이점을 밝히고, 그 과도기적 성격을 규명한다. 특히, 서원의 장식 중 새롭게 확인된 엽차호(葉茶壺)에 대해서 16세기 유행한 차노유와 함께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다회와 명물 수장품이 지니는 정치적 성격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분석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태, "임진전쟁기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강화조건 연구" 조선시대사학회 (68) : 81-107, 2014

      2 박전열, "오다 노부나가의 정치수단으로써의 다도" 일본연구소 (28) : 425-446, 2010

      3 이정은, "아시카가의 문화적 권위와 『군다이칸소초키(君臺観左右帳記)』 제작의 경제적 의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6 : 217-246, 2018

      4 이정은, "무로마치 시대 座敷 장식의 정치성 : 천황의 行倖을 통해 본 아시카가 쇼군 저택 장식의 의미" 한국미술연구소 (41) : 63-86, 2015

      5 박전열, "도요토미 히데요시 다도의 정치적 요소"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9) : 3-25, 2010

      6 矢部健太郎, "豊臣 「武家清華家」 の創出" (746) : 2001

      7 "諸大名衆御成被申入記"

      8 谷晃, "茶会記の研究" 淡交社 2001

      9 "群書類従"

      10 竹本千鶴, "織豊期の茶会と政治" 思文閣出版 2006

      1 김경태, "임진전쟁기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강화조건 연구" 조선시대사학회 (68) : 81-107, 2014

      2 박전열, "오다 노부나가의 정치수단으로써의 다도" 일본연구소 (28) : 425-446, 2010

      3 이정은, "아시카가의 문화적 권위와 『군다이칸소초키(君臺観左右帳記)』 제작의 경제적 의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6 : 217-246, 2018

      4 이정은, "무로마치 시대 座敷 장식의 정치성 : 천황의 行倖을 통해 본 아시카가 쇼군 저택 장식의 의미" 한국미술연구소 (41) : 63-86, 2015

      5 박전열, "도요토미 히데요시 다도의 정치적 요소"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9) : 3-25, 2010

      6 矢部健太郎, "豊臣 「武家清華家」 の創出" (746) : 2001

      7 "諸大名衆御成被申入記"

      8 谷晃, "茶会記の研究" 淡交社 2001

      9 "群書類従"

      10 竹本千鶴, "織豊期の茶会と政治" 思文閣出版 2006

      11 石倉幸祐, "織豊政権御成故実に関する一考察" 88 : 5-, 1987

      12 박수철, "織田信長의 쇼군 追放 論理와 天皇" 동양사학회 (147) : 303-335, 2019

      13 金子拓, "織田信長権力論" 吉川弘文館 2015

      14 "続群書類従"

      15 武家史談会, "武家茶道の系譜" ペりかん社 1983

      16 二木謙一, "武家儀礼格式の研究" 吉川弘文館 2003

      17 中井淳史, "武家儀礼と土師器" 83 (83): 2000

      18 矢部健太郎, "日本茶の湯文化史の新研究" 雄山閣 2005

      19 川上貢, "日本中世住宅の研究" 中央公論美術出版 2002

      20 今谷明, "戦国期の室町幕府" 講談社学術文庫 2006

      21 徳川美術館, "徳川将軍の御成" 德川美術館 2012

      22 桜井英治, "御物の経済 : 室町幕府財政における贈与と商業"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02

      23 "御供之日記"

      24 佐藤豊三, "将軍家「御成」について(五) -織田信長と豊臣秀吉の御成-" 6 : 1979

      25 川本重雄, "寝殿造の空間と儀式" 中央公論美術出版 2005

      26 泉万里, "大阪大学総合学術博物館叢書2 武家屋敷の春と夏-萬徳寺所蔵 「武家邸内図屏風」-" 大阪大学出版会 2007

      27 "吾妻鏡"

      28 金子拓, "中世武家政権と政治秋序" 吉川弘文館 1998

      29 二木謙一, "中世武家儀礼の研究" 吉川弘文館 1985

      30 Kingery, W. David, "Learning from Things: Method and Theory of Material Culture Studies" Smithosnian Institution Press 1995

      31 Pitelka, Morgan, "Japanese Tea Culture: Art, History, and Practice" Routledge Curzon 2003

      32 Lee, Jungeun, "Displaying Authority: Ashikaga Formal Display in the Muromachi Period" University of Pittsburgh 2017

      33 Cort, Louis Allison, "Chigusa and the Art of Te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4

      34 Lillehoj, Elizabeth, "Art and Palace Politics in Early Modern Japan" Brill 2011

      35 Ching, Dora C. Y., "Around Chigusa: Tea and the Arts of the Sixteenth-century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isulsahakbo(Reviews on the Art History) ->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1.04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