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 노예가 법정에서 싸우는 법 - 프랑스 7월왕정기 “비르지니 재판”과 노예 가족, 1832-1847 = The Affaire Virginie and the Legal Struggles of Enslaved Women: Freedom Suits and Slave Families under the July Monarchy, 1832-184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10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는 프랑스혁명 때 식민지 노예제를 폐지했으나 나폴레옹이 이를 번복하여 1848년에야 최종적으로 노예해방령을 선포했다. 그러나 국가가 노예해방을 선언하기전에도 노예들은 일상에서 자유를 향한 크고 작은 투쟁을 계속했다. 프랑스의 7월왕정(1830~1848)은 점진적 노예제 폐지를 위해 노예들의 개인별 해방을 지원하는 각종 개혁법령을 입안했다. 많은 여성 노예는 이를 이용하여 자신과 가족, 특히 자녀들의 자유를찾고자 다양한 전략을 짜냈는데 그중 하나가 소송이었다. 비르지니 재판(1834~1845)은과들루프의 해방 노예 비르지니가 노예 가족을 해체해서는 안 된다는 흑인법 제47조를이용하여 자녀의 자유를 쟁취한 드문 예였다. 대농장주의 아성인 식민지 법원에서 패소한 비르지니는 본국의 최고법원인 파기원에 항소했고, 그 과정에서 본국 노예제폐지론자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비르지니 재판의 승리는 전후로 식민지에 큰 파급효과를 미쳐비슷한 ‘자유 재판’이 늘어났다. 이 글은 노예제에 관한 법령과 대서양 양쪽의 사법 체계, 본국의 노예제폐지운동, 노예제하의 젠더와 가족, 이 세 교차로 사이에서 비르지니 재판이 벌어진 사회적 맥락을 재구성하고, 여성 노예들이 어떻게 법의 틈새를 찾아내 자유를쟁취하려 했는지 고찰한다.
      번역하기

      프랑스는 프랑스혁명 때 식민지 노예제를 폐지했으나 나폴레옹이 이를 번복하여 1848년에야 최종적으로 노예해방령을 선포했다. 그러나 국가가 노예해방을 선언하기전에도 노예들은 일상에...

      프랑스는 프랑스혁명 때 식민지 노예제를 폐지했으나 나폴레옹이 이를 번복하여 1848년에야 최종적으로 노예해방령을 선포했다. 그러나 국가가 노예해방을 선언하기전에도 노예들은 일상에서 자유를 향한 크고 작은 투쟁을 계속했다. 프랑스의 7월왕정(1830~1848)은 점진적 노예제 폐지를 위해 노예들의 개인별 해방을 지원하는 각종 개혁법령을 입안했다. 많은 여성 노예는 이를 이용하여 자신과 가족, 특히 자녀들의 자유를찾고자 다양한 전략을 짜냈는데 그중 하나가 소송이었다. 비르지니 재판(1834~1845)은과들루프의 해방 노예 비르지니가 노예 가족을 해체해서는 안 된다는 흑인법 제47조를이용하여 자녀의 자유를 쟁취한 드문 예였다. 대농장주의 아성인 식민지 법원에서 패소한 비르지니는 본국의 최고법원인 파기원에 항소했고, 그 과정에서 본국 노예제폐지론자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비르지니 재판의 승리는 전후로 식민지에 큰 파급효과를 미쳐비슷한 ‘자유 재판’이 늘어났다. 이 글은 노예제에 관한 법령과 대서양 양쪽의 사법 체계, 본국의 노예제폐지운동, 노예제하의 젠더와 가족, 이 세 교차로 사이에서 비르지니 재판이 벌어진 사회적 맥락을 재구성하고, 여성 노예들이 어떻게 법의 틈새를 찾아내 자유를쟁취하려 했는지 고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ance abolished colonial slavery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but Napoleon later reversed this decision and reinstated slavery, ultimately leading to Haiti’s independence in 1804. Other French colonies, however, had to wait until the final abolition of slavery in 1848. Before the final abolition, enslaved men and women continued to resist and fight for freedom in their daily lives. During the July Monarchy (1830–1848), the government introduced various legal reforms to promote manumission as a step toward gradual emancipation.
      Many enslaved women took advantage of these initiatives to secure freedom for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often employing litigation as a strategy.
      One notable case was the Affaire Virginie (1834–1845), in which Virginie, a formerly enslaved woman in Guadeloupe, leveraged Article 47 of the Code Noir— which prohibited the separation of enslaved families — to win her children’s freedom. After losing in the colonial courts, which were dominated by plantation owners, Virginie appealed to the Court of Cassation, the highest court in Paris, gaining support from French abolitionists along the way. Her victory had far-reaching consequences in the colonies, inspiring a wave of similar “freedom suits,” most of which were initiated by enslaved women.
      This article reconstructs the social and legal context of the Affaire Virginie, situating it at the intersection of judicial systems regulating slavery, the abolitionist movement in France, and the gendered dynamics of family under slavery. It examines how enslaved women navigated legal contradictions between the metropole and the colonies, using these tensions to carve out opportunities for their families’ freedom.
      번역하기

      France abolished colonial slavery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but Napoleon later reversed this decision and reinstated slavery, ultimately leading to Haiti’s independence in 1804. Other French colonies, however, had to wait until the final aboliti...

      France abolished colonial slavery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but Napoleon later reversed this decision and reinstated slavery, ultimately leading to Haiti’s independence in 1804. Other French colonies, however, had to wait until the final abolition of slavery in 1848. Before the final abolition, enslaved men and women continued to resist and fight for freedom in their daily lives. During the July Monarchy (1830–1848), the government introduced various legal reforms to promote manumission as a step toward gradual emancipation.
      Many enslaved women took advantage of these initiatives to secure freedom for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often employing litigation as a strategy.
      One notable case was the Affaire Virginie (1834–1845), in which Virginie, a formerly enslaved woman in Guadeloupe, leveraged Article 47 of the Code Noir— which prohibited the separation of enslaved families — to win her children’s freedom. After losing in the colonial courts, which were dominated by plantation owners, Virginie appealed to the Court of Cassation, the highest court in Paris, gaining support from French abolitionists along the way. Her victory had far-reaching consequences in the colonies, inspiring a wave of similar “freedom suits,” most of which were initiated by enslaved women.
      This article reconstructs the social and legal context of the Affaire Virginie, situating it at the intersection of judicial systems regulating slavery, the abolitionist movement in France, and the gendered dynamics of family under slavery. It examines how enslaved women navigated legal contradictions between the metropole and the colonies, using these tensions to carve out opportunities for their families’ freedo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