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 기초한 가정과교육에서의 실천개념 고찰을 위한 시론(1) = Clarifying the concept of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using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2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d the concept of practical or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based on the review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divided human soul into rational part and irrational part. A virtue related with rational part is intellectual virtue and a virtue related with irrational part is moral virtue. Rational part is divided into calculative part and scientific part. Phronesis is one of an intellectual virtue in calculative part of soul. Aristotle defines phronesis as a state of soul that issues in praxis. Phronesis in narrow sense is a virtue which leads to praxis and it is differ from either sophia or techne. Phronesis in broad sense it includes both praxis and poiesis. Phronesis is closely related with moral virtue. Because moral virtues are habits according to right reason, hence right reasons should be considered, and this is intellectual virtue. It is called for attention that what the concept of practical or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should b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elation with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This study proposed a tentative conceptualization of praxis and phronimos in context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clothing planning and the most categories(83.3%) had connections of repetitions. In the clothing material section, categories evaluated as gaps and developments were 55.6% and 44.4%. The clothing construction 주제어(Key Words)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실천(praxis), 실천적 지혜(phronesis), 지적 덕(intellectual virtue), 도덕적 덕(moral virtue), 가정과교육 본질(natur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pproached the concept of practical or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based on the review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divided human soul into rational part and irrational part. A virtue re...

      This study approached the concept of practical or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based on the review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divided human soul into rational part and irrational part. A virtue related with rational part is intellectual virtue and a virtue related with irrational part is moral virtue. Rational part is divided into calculative part and scientific part. Phronesis is one of an intellectual virtue in calculative part of soul. Aristotle defines phronesis as a state of soul that issues in praxis. Phronesis in narrow sense is a virtue which leads to praxis and it is differ from either sophia or techne. Phronesis in broad sense it includes both praxis and poiesis. Phronesis is closely related with moral virtue. Because moral virtues are habits according to right reason, hence right reasons should be considered, and this is intellectual virtue. It is called for attention that what the concept of practical or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should b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elation with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This study proposed a tentative conceptualization of praxis and phronimos in context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clothing planning and the most categories(83.3%) had connections of repetitions. In the clothing material section, categories evaluated as gaps and developments were 55.6% and 44.4%. The clothing construction 주제어(Key Words)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실천(praxis), 실천적 지혜(phronesis), 지적 덕(intellectual virtue), 도덕적 덕(moral virtue), 가정과교육 본질(natur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실천 개념은 어때야 하는지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서 덕의 분류에서 실천적 지혜(phronesis)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천적 지혜는 praxis로 이끄는 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실천교과라고 명시되어 있는 가정과교육의 실천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핵심적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영혼을 이성적 부분과 비이성적 부분으로 나누고 이성적 부분을 다시 인식적 부분과 사량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영혼의 비이성적 부분을 식물적 부분과 욕구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인식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지적 덕, 욕구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도덕적 덕이라 하였다. 실천적 지혜는 인간 정신의 이성적 부분 중 사량적 부분에 해당하는 지적 덕 중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분류에 기초할 때 실천적 지혜는 좁은 의미에서 praxis와 관계하는 덕으로 sophia와 구별되며, techne와도 구별된다. 넓은 의미에서 실천적 지혜는 techne를 포함하는 사량적 부분의 덕이다. 실천적 지혜는 도덕적 덕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올바른 욕구와 logos를 따라 선택한 행동에 이르게 한다. 이 연구의 논의를 기초로 가정과교육은 실천 개념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가의 과제와 실과와 기술과의 관련성은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옳은지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praxis의 의미를 잠정적으로 ‘도덕적으로 실천하는 행동, 선을 구체화 또는 실현하는 행동, 혹은 최선의 선을 추구하는 좋은 삶’으로 보았다.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에서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의 의미는 ‘개인 및 가정생활에서 일어나는 실천적 문제의 구체적 상황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해 최고의 선을 구체화하는 행동(praxis)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실천적 지혜와 다른 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실천적 지혜를 통해 이론과 실천을 통합할 수 있으며, 도덕적 덕과 불가분리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는 것이 행동하는 것으로, 행동하는 것이 잘 행동하는 것으로 가게 해주는 덕이 실천적 지혜이므로,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으로 교육할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실천 개념은 어때야 하는지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서 덕의 분류에서 실천적 지혜(phronesis)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중심...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실천 개념은 어때야 하는지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서 덕의 분류에서 실천적 지혜(phronesis)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천적 지혜는 praxis로 이끄는 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실천교과라고 명시되어 있는 가정과교육의 실천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핵심적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영혼을 이성적 부분과 비이성적 부분으로 나누고 이성적 부분을 다시 인식적 부분과 사량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영혼의 비이성적 부분을 식물적 부분과 욕구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인식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지적 덕, 욕구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도덕적 덕이라 하였다. 실천적 지혜는 인간 정신의 이성적 부분 중 사량적 부분에 해당하는 지적 덕 중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분류에 기초할 때 실천적 지혜는 좁은 의미에서 praxis와 관계하는 덕으로 sophia와 구별되며, techne와도 구별된다. 넓은 의미에서 실천적 지혜는 techne를 포함하는 사량적 부분의 덕이다. 실천적 지혜는 도덕적 덕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올바른 욕구와 logos를 따라 선택한 행동에 이르게 한다. 이 연구의 논의를 기초로 가정과교육은 실천 개념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가의 과제와 실과와 기술과의 관련성은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옳은지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praxis의 의미를 잠정적으로 ‘도덕적으로 실천하는 행동, 선을 구체화 또는 실현하는 행동, 혹은 최선의 선을 추구하는 좋은 삶’으로 보았다.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에서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의 의미는 ‘개인 및 가정생활에서 일어나는 실천적 문제의 구체적 상황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해 최고의 선을 구체화하는 행동(praxis)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실천적 지혜와 다른 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실천적 지혜를 통해 이론과 실천을 통합할 수 있으며, 도덕적 덕과 불가분리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는 것이 행동하는 것으로, 행동하는 것이 잘 행동하는 것으로 가게 해주는 덕이 실천적 지혜이므로,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으로 교육할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praxis]과 만듦[poiesis]" 한국서양고전학회 23 : 95-124, 2005

      2 "초중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기준(1946~1997)" 교육인적자원부 2001

      3 "직업교육훈련 100년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4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5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4

      6 "제 7차 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1997

      7 "인간과 생활환경에 관한 가정학적 접근" 31-50, 1997

      8 "우리나라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 개념들에 관한 분석적 연구" 1993

      9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대한 정의적 해석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2001

      10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연구" 2001

      1 "함[praxis]과 만듦[poiesis]" 한국서양고전학회 23 : 95-124, 2005

      2 "초중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기준(1946~1997)" 교육인적자원부 2001

      3 "직업교육훈련 100년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4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5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4

      6 "제 7차 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1997

      7 "인간과 생활환경에 관한 가정학적 접근" 31-50, 1997

      8 "우리나라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 개념들에 관한 분석적 연구" 1993

      9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대한 정의적 해석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2001

      10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연구" 2001

      11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개념" 2000

      12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와 교육의 실제"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17 : 9-27, 1997

      13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에 관한 연구" 141-160, 1987

      14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 1985

      15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 연구" 2002

      16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 의거한 도덕과 수업지도 방안" 전북대학교 19 : 1-20, 1999

      17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정관 연구" 16 (16): 235-246, 1995

      18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덕론" 2000

      19 "아리스토텔레스에서의 실천철학의 정초" 서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 : 193-215, 1997

      20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실천지의 적용단계" 철학연구회 48 : 21-43, 2000

      21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Phronesis와 Praxis" 1993

      22 "아리스토텔레스 학문체계에 대한 중세의 비판적 수용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해서를 중심으로-" 2002

      23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프로네시스에 대한 고찰" 2006

      24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실천지의 역할" 철학연구회 65 : 55-75, 2004

      25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실천적 인식의 문제" 1999

      26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 있어서 덕과 행위의 문제에 관한 연구" 1971

      27 "실천적 행위의 교육적 의미 마르크스와 듀이를 중심으로" 1989

      28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도덕성에 미치는 효과" 41 (41): 53-68, 2003

      29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1999

      30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과 다른 요인이 한국 여고생들의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37 (37): 43-61, 1999

      31 "실천적 이성의 교육적 의미" 2003

      32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9-28, 2006

      33 "실천적 가정과 수업 I" 신광출판사 2004

      34 "실천의 의미와 교육" 인천교육대학교 343-365, 1987

      35 "실천문제 중심의 가정생활문화교육" 105-129, 2006

      36 "실과(기술가정) 교육목표 및 내용체계 연구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37 "식생활 단원에 적용한 실천적 추론 수업이 여고생의 도덕성에 미치는 효과" 1999

      38 "새로운 가정학 패러다임 모색을 위학 기존 패러다임의 비판적 검토" 1-25, 1996

      39 "비판과학으로서의 가정학 개념의 재정립과 가정학교육의 방향" 34 (34): 343-352, 1996

      40 "미국 오하이오주의 실천적 문제 중심 모형을 적용한 ‘일과 가족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34 (34): 327-343, 1996

      41 "도덕적 프락시스에 있어서 덕과 서사의 위상에 관한 연구" 2004

      42 "덕윤리와 의무윤리의 통합교육론-덕성과 자율성의 조화를 위한 교육적 대안 모색-" 2004

      43 "대화의 교육적 의미 Gadamer의 해석학적 지식론의 경우" 1994

      44 "기술교과 내용을 보는 두 가지 관점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 6 (6): 73-87, 2006

      45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교과의 대안적 모형" 77-93, 2005

      46 "가정학의 새로운 접근" 1993

      47 "가정과교육의 미래 발전 전략 탐색: 정체성과 임파워먼트 및 비젼을 중심으로" 2006

      48 "가정과교육 방향의 재조명을 위한 가정학 철학 정립의 중대성" 43-59, 1992

      49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가정과의 성격, 내용구조,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갖추어야할 소양에 대한 기초연구(Ⅰ):델파이 조사연구" 41 (41): 149-171, 2003

      50 "가르치는 일의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락시스’를 바탕으로 한 가르침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철학적 연구" 2002

      51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4

      52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7

      53 "Translated by J" Beacon Press 1973

      54 "Translated by J" Beacon Press 1971

      55 "Translated by Coit" 1932

      56 "Thinking for ethical action in families and communities" AAFCS 1997

      57 "The works of Aristotle"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58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59 "The concept of theory in home economics" East Lansing, MI: Kappa Omicron Nu, Inc. 1995

      60 "Reas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society Translated by T" Beacon Press 1984

      61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logical Society" 1971

      62 "Practical resoning in the family conctext"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998

      63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n the secondary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998

      64 "Positioning the profession for the 21st century" 1993

      65 "Philosophical studies of home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Michigan State University 1993

      66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994

      67 "New paradigm of home economics for the 21st century: Challenges and perspectives" 1997

      68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998

      69 "Journal of Home Economics" 42-49, 1991

      70 "Inquiry into thinking"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998

      71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Vincenti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81

      72 "History of a concept from Aristotle to Marx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67

      73 "Habermas의 Praxis 이론과 그 교육실천적 논의" 9 : 151-168, 1991

      74 "Gadamer 철학적 해석학에서 실천의 의미" 1991

      75 "For Educat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1995

      76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Toward a critical science approach" AAFCS. 1999

      77 "Families as contexts for thinking"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998

      78 "Communication and evolution of society Translated by T" Beacon Press 1979

      79 "Balancing work, family, and community life Oregon Department of Education" 1996

      80 "Aristoteles의 윤리적 덕에 있어서 실천지의 역할" 영남대학교 6 : 131-157, 1990

      81 "Aristoteles의 덕론에 관한 연구" 2001

      82 "Aristoteles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덕론의 교육적 의의" 1996

      83 "An empowering orientation for home economics" 21-26, 1993

      84 "A practical or technical science? In Laster State of the field" 1986

      85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 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19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