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은 ‘블랙 스완(Black Swan)’처럼 기존의 상식으로는 예측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는 여러 방면에서 많은 시사점과 전망을 남길 것이다. 코로나-19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90363
2020
Korean
코로나19 ; 위험사회 ; 비전통안보 ; 신자유주의 ; 탈세계화 ; 국제연대 ; Covid19 ; Dangerous Society ; Non-Traditional Security ; Neoliberalism ; De Globalization ; International Solidarity
KCI등재
학술저널
1-45(4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 확산은 ‘블랙 스완(Black Swan)’처럼 기존의 상식으로는 예측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는 여러 방면에서 많은 시사점과 전망을 남길 것이다. 코로나-19 ...
코로나-19 확산은 ‘블랙 스완(Black Swan)’처럼 기존의 상식으로는 예측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는 여러 방면에서 많은 시사점과 전망을 남길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글로벌 사회를 크게 변화시킬 것이며, 아마도 인류에게 다가올 위험사회를 보다 깊이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국제경제질서와 국가 거버넌스, 그리고 국제관계에까지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펜데믹은 정치적인 특징과 경제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중간의 전략적 경쟁은 첨예화되고, 지정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코로나-19에 대한 대응방식에 있어서도 한국의 민주적 방식과 중국의 전체주의적 방식이 모두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실패에 따른 정부의 역할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 소비수요가 활력을 상실해가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적자재정과 통화방면의 양적완화는 시장보다는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인 것이다. 더욱이 경제민족주의와 미중간의 패권경쟁은 탈동조화 경향을 보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전염병이 전 세계로의 확산은 포스트 냉전시기 무역과 금융의 자유화로 대변되는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에 의한 세계화를 재성찰하고 재정의해야 함을 의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pread of Corona 19 has become an unpredictable situation with conventional common sense, such as "Black Swan." The "Post Corona 19 era" will leave many implications and prospects in many areas. The Corona19 Pandemics will greatly change the globa...
The spread of Corona 19 has become an unpredictable situation with conventional common sense, such as "Black Swan." The "Post Corona 19 era" will leave many implications and prospects in many areas. The Corona19 Pandemics will greatly change the global society,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more deeply on the potentially dangerous society to come to mankind, and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national governa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ince the new Corona19 Pandemics have both political and economic features,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will sharpen and have an important impact on geopolitics. In terms of how to respond to Corona 19, the government should even consider changing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the wake of market failure at a time when both Korea"s democratic and China"s totalitarian models are under way. Amid consumer demand losing steam, the government"s deficit-financing and quantitative easing in the monetary sector are the best that the government can choose rather than the market. Economic nationalism and the hegemonic rivalry between the U.S. and China will show a trend of the great de-coupling. In conclusion, the spread of the Corona-19 epidemic around the world means that globalization by the neo-liberal paradigm represented by post-Cold War trade and financial liberaliz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nd redefined.
목차 (Table of Contents)
코로나19에 맞선 동남아의 대응: 초기 대처과정의 잠정적 함의
코로나19로 가속화하는 중국의 디지털 혁명: 윈(雲) 열풍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