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구강건강평가지수와 삶의 질의 연관성 분석 = Association between GOHAI (Geriatric Natural Health Assessment Index) and QOL (Quality of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5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55세 이상의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노인 구강건강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와 건강 만족도(Health satisfaction), QOL(Quality of Life)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55세 이상의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노인 구강건강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와 건강 만족도(Health satisfaction), QOL(Quality of Life)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2018년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최종 6,935명의 대상자로 분석하였으며,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와 삶의 질(QOL)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 복합표본 설계와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구강평가지수(GOHAI)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건강만족도 점수와 삶의 질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성별과 연령으로 세부분석한 결과 여성 집단과 남성 집단 모두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가 한 단위 증가할 경우건강 만족도와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65세 이하 및 이상 집단에서도 건강만족도 점수와 삶의 질 점수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65세이상 집단에서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가 한 단위 증가하면 가장 큰 폭으로 건강만족도와 삶의 질이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강건강이 가장 취약하지만 GOHAI의 한 단위 증가로 최대의 삶의 질과 건강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65세 이상 집단의 구강건강을 개선시키기 위해 해당 집단의 구강건강관리 필요성과 구체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evance of the Geriatric Natu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Health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middle and high-aged people in Korea. The final 6,935 people were analyzed using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evance of the Geriatric Natu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Health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middle and high-aged people in Korea. The final 6,935 people were analyzed using the 2018 Aging Research Panel Survey,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chi-square test, composite sample design, and multi-linear regression to identify the link between the Geriatric Natu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and quality of life (QOL). The health satisfaction score and quality of life score increased statistically as the Geriatric Natu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creased by one unit. As a result of the detailed analysis by gender and age, both the female and mal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when the elderly health assessment index increased by one unit, and the health satisfaction scores and quality of life scores were significant even for those under 65 and abov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the Geriatric Natu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groups aged 65 or older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health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need for oral health care and specific management measures of the group in order to improve oral health of groups aged 65 or older who are most vulnerable to oral health but can promote maximum quality of life and health satisfaction with an increase in a unit of GOHAI.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 우석류,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5 (35): 39-71, 2010

      3 박정순, "전북 일부 지역 노인구강보건사업 실태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17 (17): 555-564, 2017

      4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

      5 허익강,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철학회 48 (48): 101-110, 2010

      6 원주시, "원주시 지역사회 건강조사"

      7 황수현, "성인의 연령별 구강건강행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2 (2): 21-30, 2019

      8 +이규은, "성별에 따른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54-64, 2014

      9 이근유,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 15 (15): 325-332, 2015

      10 홍성희,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89-108, 2016

      1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 우석류,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5 (35): 39-71, 2010

      3 박정순, "전북 일부 지역 노인구강보건사업 실태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17 (17): 555-564, 2017

      4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

      5 허익강,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철학회 48 (48): 101-110, 2010

      6 원주시, "원주시 지역사회 건강조사"

      7 황수현, "성인의 연령별 구강건강행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2 (2): 21-30, 2019

      8 +이규은, "성별에 따른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54-64, 2014

      9 이근유,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 15 (15): 325-332, 2015

      10 홍성희,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89-108, 2016

      11 김귀분,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146-155, 2008

      12 조민정, "노인의 기능 치아 수와 구강건강평가(GOHAI)와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6 (16): 455-461, 2016

      13 정재필,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따른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2

      14 정재필,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4 (4): 51-61, 2012

      15 김미화, "노인 구강건강 수준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 14 (14): 488-494, 2014

      16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7 최연희, "국가차원의 구강건강조사체계 비교: 미국과 한국"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7 (37): 167-171, 2013

      18 김지화,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질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4873-4880, 2010

      19 강수균,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3 (3): 113-137, 2000

      20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통계"

      21 신선정, "강원도 일부 노인에서의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의 타당도와 신뢰도"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5 (35): 187-195, 2011

      22 Clemens, T., "What is the effect of unemployment on all-cause mortality? A cohort stud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25 (25): 115-121, 2015

      23 OECD, "Health Status: Life expectancy"

      24 Kundapur, V., "Effect of Loss of Teeth and its Association with General Quality of Life using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Gohai)among Older Individuals Residing in Rural Areas" 13 (13): 6-12, 2017

      25 Pongiglione, B., "Disability and all-cause mortality in the older population : evidence from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31 (31): 735-746, 2016

      26 Atchison, K. A.,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54 (54): 680-687, 1990

      27 Slade, G. D.,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11 (11): 3-11, 1994

      28 El Osta, N., "Comparison of the OHIP-14 and GOHAI as measures of oral health among elderly in Lebanon" 10 (10): 131-, 2012

      29 Patcharaphol, S., "Appetite Loss and Related Factor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10 (10): 23-30, 2014

      30 조영식,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 건강 결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 11 (11): 305-31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