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식민주의가 한국전쟁기 한국군위안부제도에 미친 영향과 과제 = The Effect of Japanese Colonialism on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1년부터 1954년까지 한국군에 설치되었던 한국군위안부제도는 일본식민주의의 결과물이었다. 1945년 8월 15일에 일제로부터 식민지 조선은 해방되었지만 식민주의가 청산되지 않은 채 수립된 대한민국의 모든 국가 기구에는 일제의 인적요소나 물적 요소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본식민주의가 남긴 군사문화도 한국 군사문화에 지속되었다. 그러한 일본식민주의 군사문화 중 하나가 한국전쟁기에 설치되어 운영된 한국군위안부제도였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기 한국군대에서 한국군위안부제도가 만들어지게 된 원인을 식민주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규명하였다. 우선 역사적 사실로서의 한국군 위안부제도를 간략하게 짚어보고, 둘째 한국군위안부제도를 누가 만들었는가를 규명했다. 마지막으로 한국군위안부와 일본군위안부와의 공통성을 짚어본 후 일본식민주의와 얽힌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1951년부터 1954년까지 한국군에 설치되었던 한국군위안부제도는 일본식민주의의 결과물이었다. 1945년 8월 15일에 일제로부터 식민지 조선은 해방되었지만 식민주의가 청산되지 않은 채 수립...

      1951년부터 1954년까지 한국군에 설치되었던 한국군위안부제도는 일본식민주의의 결과물이었다. 1945년 8월 15일에 일제로부터 식민지 조선은 해방되었지만 식민주의가 청산되지 않은 채 수립된 대한민국의 모든 국가 기구에는 일제의 인적요소나 물적 요소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본식민주의가 남긴 군사문화도 한국 군사문화에 지속되었다. 그러한 일본식민주의 군사문화 중 하나가 한국전쟁기에 설치되어 운영된 한국군위안부제도였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기 한국군대에서 한국군위안부제도가 만들어지게 된 원인을 식민주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규명하였다. 우선 역사적 사실로서의 한국군 위안부제도를 간략하게 짚어보고, 둘째 한국군위안부제도를 누가 만들었는가를 규명했다. 마지막으로 한국군위안부와 일본군위안부와의 공통성을 짚어본 후 일본식민주의와 얽힌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at was operated from 1951 to 1954 resulted from Japanese colonialism. Though Colonial Korea (Chosun) was liberated from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all the state apparatuses of the Republic of Korea we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legacies. There remained Japanese military culture in the Korean military. One of Japanese military cultures was the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whose Korean version was made and managed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 of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focusing on its relation to Japanese Colonialism. It firstly reviews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rough Hoo Bang Jun Sa (『後方戰史』) written by ROK army headquarters in 1956. Secondly, it investigates who made the Korean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And lastly, it inquires the commonalities between Korean comfort women system and Japanese comfort women system and proposes solutions on the problems concerning Japanese Colonialism.
      번역하기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at was operated from 1951 to 1954 resulted from Japanese colonialism. Though Colonial Korea (Chosun) was liberated from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all the state apparatuses of the Republic of Korea ...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at was operated from 1951 to 1954 resulted from Japanese colonialism. Though Colonial Korea (Chosun) was liberated from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all the state apparatuses of the Republic of Korea we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legacies. There remained Japanese military culture in the Korean military. One of Japanese military cultures was the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whose Korean version was made and managed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 of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focusing on its relation to Japanese Colonialism. It firstly reviews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rough Hoo Bang Jun Sa (『後方戰史』) written by ROK army headquarters in 1956. Secondly, it investigates who made the Korean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And lastly, it inquires the commonalities between Korean comfort women system and Japanese comfort women system and proposes solutions on the problems concerning Japanese Coloni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군본부, "후방전사(인사편)" 육군본부 1956

      2 송남헌, "해방삼년사" 까치 1985

      3 안진, "해방 전후사 인식3" 한길사 1987

      4 이임하, "한국전쟁과 여성성의 동원" 14 : 2004

      5 한용원, "한국의 군부정치" 대왕사 1993

      6 백종천, "한국의 군대와 사회" 나남출판 1994

      7 윤정석, "한국군의 창설과 일본 군사문화" (2) : 3-27, 2004

      8 박정미, "한국 성매매정책에 관한 연구 : '묵인-관리 체제'의 변동과 성판매여성의 역사적 구성, 1945~200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9 홍두승, "한국 군대의 사회학" 나남 1993

      10 Gandhi, Leela,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2000

      1 육군본부, "후방전사(인사편)" 육군본부 1956

      2 송남헌, "해방삼년사" 까치 1985

      3 안진, "해방 전후사 인식3" 한길사 1987

      4 이임하, "한국전쟁과 여성성의 동원" 14 : 2004

      5 한용원, "한국의 군부정치" 대왕사 1993

      6 백종천, "한국의 군대와 사회" 나남출판 1994

      7 윤정석, "한국군의 창설과 일본 군사문화" (2) : 3-27, 2004

      8 박정미, "한국 성매매정책에 관한 연구 : '묵인-관리 체제'의 변동과 성판매여성의 역사적 구성, 1945~200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9 홍두승, "한국 군대의 사회학" 나남 1993

      10 Gandhi, Leela,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2000

      11 노동은, "친일인명사전 전3권" 민족문제연구소 2009

      12 한용원, "창군" 박영사 1984

      13 차규헌, "전투" 병학사 1985

      14 정진성, "일본군 성노예: 일본군위안부문제의 실상과 그 해결을 위한 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5 김희오, "인간의 향기: 자유민주/대공투쟁과 함께한 인생역정" 원민 2000

      16 Duerr, Hans Peter, "음란과 폭력: 성을 통해 본 인간 본능과 충동의 역사" 한길 2003

      17 정종화, "영화에 미친 남자" 맑은소리 2006

      18 리영희, "역정-나의 청년시대-" 창작과비평사 1988

      19 藤目ゆき, "성의 역사학: 근대국가는 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삼인 2004

      20 안연선, "성노예와 병사 만들기" 삼인 2004

      21 채명신, "사선을 넘고넘어" 매일경제신문사 1994

      22 이종선, "북파공작원 HID" 창작시대 2001

      23 김정자, "미군위안부: 기지촌의 숨겨진 진실" 한울 2013

      24 김성곤,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1995

      25 안연선, "대중독재와 여성" 휴머니스트 2010

      26 上野千鶴子,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출판사 1999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선인 2001

      28 김귀옥, "납치 북한인을 공작원, 위안부로 이용했다: 북파공작원의 현대사 증언" 2000

      29 김귀옥, "군대와 성폭력" 선인 2012

      30 이계수, "군대 내 구타 가혹행위 및 그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에 관한 연구"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3 : 11-318, 2003

      31 宋連玉, "軍隊と性暴力" 現代史料出版 2010

      32 Said, Edward., "Representing the colonized: anthropology’s interlocutors" 15 (15): 205-225,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