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 =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99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re analyzed. This study derived 19 parks by the roadside and 13 lines to connect green axes. The result of roadside greenery status were selected 56,546m lines by natural green space and constructed green space. The result of sidewalks width were selected 8,600m lines that sidewalks width more than 5m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in Songpa-gu.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lines were selected: Olympic Expressway, Songpa-daero, Nambusunhwan-no and Wiryeseong-gil. To improve the street planting strips, two pla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green structures of the street planting strips mainly with shrubs and to effectively create street planting strips through the green spaces along the streets. A plan to promote the amount of planting street trees in Songpa-gu analyzed the streets. Complements the understory layer sections were the highest the entire length of 34,206 m of 63.6% in strengthening for network streets. Greenspace network streets were calculated for planting of volume by promotion plan. Planting volume increased 4,708 trees before expand planting plan, so the total tree was considered 9,518 trees.
      번역하기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re analyzed. This study derived 19 parks by the roadside and 13 lines to connect green axes. The result of roadside greenery status were selected 56,546m lines by natural green space and constructed green space. The result of sidewalks width were selected 8,600m lines that sidewalks width more than 5m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in Songpa-gu.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lines were selected: Olympic Expressway, Songpa-daero, Nambusunhwan-no and Wiryeseong-gil. To improve the street planting strips, two pla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green structures of the street planting strips mainly with shrubs and to effectively create street planting strips through the green spaces along the streets. A plan to promote the amount of planting street trees in Songpa-gu analyzed the streets. Complements the understory layer sections were the highest the entire length of 34,206 m of 63.6% in strengthening for network streets. Greenspace network streets were calculated for planting of volume by promotion plan. Planting volume increased 4,708 trees before expand planting plan, so the total tree was considered 9,518 tre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송파구의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와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송파구 관내 공원,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고, 가로변 녹지 현황, 보도폭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로변에 위치한 19개 공원과 녹지축 연계가 가능한 13개 가로를 도출하였다. 가로변 녹지는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와 연계된 가로가 56,546m이었고, 보도폭은 추가적인 띠녹지 확보 및 보식 가능한 보도폭 5m 이상의 가로가 8,600m이었다. 이를 종합하여 도시녹지 네트워크 가로로 올림픽로, 송파대로, 남부순환로, 위례성길을 선정하였다. 네트워크 가로의 가로녹지 조성 현황을 분석하여 가로녹지 조성 및 가로수 식재량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가로녹지 개선은 관목 위주 가로녹지의 녹지구조 다양화, 가로변 녹지를 활용한 가로녹지 보완을 제시하였다. 가로수 식재량 증진은 가로녹지 개선계획을 바탕으로 수목 보완 식재를 통해 식재량 증진이 가능한 가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중 아교목 보식(1주) 가능 구간은 전체 길이 34,206m중 63.6%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수변화를 산정한 결과 4,708주의 추가식재를 통해 전체 9,518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송파구의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와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송파구 ...

      본 연구는 송파구의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와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송파구 관내 공원,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고, 가로변 녹지 현황, 보도폭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로변에 위치한 19개 공원과 녹지축 연계가 가능한 13개 가로를 도출하였다. 가로변 녹지는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와 연계된 가로가 56,546m이었고, 보도폭은 추가적인 띠녹지 확보 및 보식 가능한 보도폭 5m 이상의 가로가 8,600m이었다. 이를 종합하여 도시녹지 네트워크 가로로 올림픽로, 송파대로, 남부순환로, 위례성길을 선정하였다. 네트워크 가로의 가로녹지 조성 현황을 분석하여 가로녹지 조성 및 가로수 식재량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가로녹지 개선은 관목 위주 가로녹지의 녹지구조 다양화, 가로변 녹지를 활용한 가로녹지 보완을 제시하였다. 가로수 식재량 증진은 가로녹지 개선계획을 바탕으로 수목 보완 식재를 통해 식재량 증진이 가능한 가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중 아교목 보식(1주) 가능 구간은 전체 길이 34,206m중 63.6%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수변화를 산정한 결과 4,708주의 추가식재를 통해 전체 9,518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범수, "지방도시 가로 녹지의 존재효과에 대한 보행자와 상업종사자의 의식 연구- 충주시 가로수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과학회 16 (16): 159-169, 2007

      2 김수봉,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 30 (30): 25-34, 2002

      3 성현찬,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1 (31): 48-57, 2003

      4 양석우, "도시 그린웨이 네트워크를 위한 계획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209-220, 2007

      5 이석준, "가로수 유형별 모델링을 통한 가로공간 조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1 (21): 391-399, 2012

      6 한봉호,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 - 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253-265, 2013

      7 "http://www.mospa.go.kr"

      8 Kim, H. W.,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medial measures of street trees on major road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14 : 161-172, 2008

      9 Niall, G. K.,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2003

      10 Songpa-gu,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by Street Trees Basic Plan in Songpa-gu" Songpa-gu 107-, 2008

      1 김범수, "지방도시 가로 녹지의 존재효과에 대한 보행자와 상업종사자의 의식 연구- 충주시 가로수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과학회 16 (16): 159-169, 2007

      2 김수봉,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 30 (30): 25-34, 2002

      3 성현찬,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1 (31): 48-57, 2003

      4 양석우, "도시 그린웨이 네트워크를 위한 계획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209-220, 2007

      5 이석준, "가로수 유형별 모델링을 통한 가로공간 조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1 (21): 391-399, 2012

      6 한봉호,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 - 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253-265, 2013

      7 "http://www.mospa.go.kr"

      8 Kim, H. W.,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medial measures of street trees on major road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14 : 161-172, 2008

      9 Niall, G. K.,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2003

      10 Songpa-gu,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by Street Trees Basic Plan in Songpa-gu" Songpa-gu 107-, 2008

      11 Seoul, "The Basic Plan for the Effective Connection of Parks and Green" Seoul 301-, 2004

      12 Kim, J. I., "Study on the Methods of Planning and Management Enhancing the Liveliness of Urban Parks: Focusing on the Accommodation Diversity and the Adaptation for Chang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13 Shin, H.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provement plan of street trees in Chuncheon city" 20 : 144-169, 2004

      14 Songpa-gu, "Statistical Yearbook" Songpa-gu 346-, 2012

      15 Cho, W.,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12 (12): 78-90, 1998

      16 James, D.M., "Park, Recreation, Open Space and Greenway Guidelines"

      17 The European Greenways Association, "Good Practice Guide" European Commission 91-, 2000

      18 Beckett. K. P., "Effective tree species for local air-quality management" 26 : 12-19, 2000

      19 Byon, H. O., "Design of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Street in Seoul" University of Seoul, 2009

      20 Moon, C. H.,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decisive factors about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9 (9): 97-118, 2001

      21 Han, B.H.,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growth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reet trees in Seoul" 10 (10): 39-48, 1996

      22 Lee, K. J.,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esent status of urban roadside trees and the problem of the improvement for roadside trees in Korea - Focused on Seoul and Inchen -" 31 (31): 74-78, 1996

      23 Sung, H.C, "A Study on the Planting & Management of Roadside Tree in Kyonggi-Do" Gyeonggi Reaserch Institute 296-, 2002

      24 Kim, E. L., "A Study on the Evaluation Ecological Properties for the Urban Neighborhood Park - In the case of Songpa-gu, Seoul-" Hanyang University 2005

      25 Kim, Y. Y., "A Study on Planting Method for the Specification of Buffer Green Space - In the case of Songpa-gu in Seoul -"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2004

      26 Lee, D. S., "A Study on Planning Standards of Walking and Bicycle in the Green Modes" HyupSung University 2009

      27 Han, B. H., "A Study o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Growth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reet Trees in Seoul" University of Seoul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